본문내용
12.33/87.67
1.41n
0.071n
8.0181
12/88
12.5/87.5
테프론
(흰색 판)
10n
5.5/94.5
5.67/94.33
0.6n
0.03n
3.3879
6/94
5.5/94.5
■ 결론 및 토의
▶ 질 문
1. 공기의 유전율과 유전상수의 측정값은 실제값과 얼마나 다른가?
공기의 유전율과 유전상수의 측정값은 0.021nF/m, 2.3715 이고, 실제값은 0.00886nF/m, 1.00059 이다. 측정값은 실제값보다 약 2.37배정도로 크다.
2. 측정값과 실제값이 달리 나온 원인은 무엇일까?
이 실험에서의 모든 수치의 측정은 우리들이 직접 한 것으로 특히 R₂/R₁의 측정은 소리를 듣고 소리가 안나는 곳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그 부분에서 큰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되고 그 외의 길이측정, 넓이 측정 등에서도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토 의
이제까지의 어떤 실험보다도 오차가 큰 실험 이었다. 실제값과 무려 2.37배의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실험중에서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다. 이번 실험에서의 반성으로 다음 실험부터는 심열을 기울여 더욱 정확한 측정으로 오차를 최대한 줄여야 하겠다...
1.41n
0.071n
8.0181
12/88
12.5/87.5
테프론
(흰색 판)
10n
5.5/94.5
5.67/94.33
0.6n
0.03n
3.3879
6/94
5.5/94.5
■ 결론 및 토의
▶ 질 문
1. 공기의 유전율과 유전상수의 측정값은 실제값과 얼마나 다른가?
공기의 유전율과 유전상수의 측정값은 0.021nF/m, 2.3715 이고, 실제값은 0.00886nF/m, 1.00059 이다. 측정값은 실제값보다 약 2.37배정도로 크다.
2. 측정값과 실제값이 달리 나온 원인은 무엇일까?
이 실험에서의 모든 수치의 측정은 우리들이 직접 한 것으로 특히 R₂/R₁의 측정은 소리를 듣고 소리가 안나는 곳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그 부분에서 큰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되고 그 외의 길이측정, 넓이 측정 등에서도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토 의
이제까지의 어떤 실험보다도 오차가 큰 실험 이었다. 실제값과 무려 2.37배의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실험중에서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다. 이번 실험에서의 반성으로 다음 실험부터는 심열을 기울여 더욱 정확한 측정으로 오차를 최대한 줄여야 하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