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논문]TV드라마 PPL 브랜드 광고가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석사논문]TV드라마 PPL 브랜드 광고가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구성 체계 3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PPL(Product Placement) 5
1. PPL의 개념 5
2. PPL의 배경 및 유형 8
3. TV드라마와 PPL광고 13
4. PPL광고 효과 16
5. PPL 관련 수용자 이론 22
제2절 브랜드 인지도 및 선호도, 제품구매 의도와의 관계 28
1. PPL광고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28
2. PPL광고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32
3. PPL광고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36

제3장 TV드라마 PPL광고 사례분석 39

제4장 연구방법 48
제1절 연구문제 48
제2절 연구 개념의 측정 53
1. 브랜드 인지도 53
2. 브랜드 선호도 54
3. 제품구매의도 54
제3절 연구 설계 55
1. 조사의 대상 및 방법 55
2. 분석방법 57

제5장 연구 분석결과 58
1.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에 따른 차이 분석 58
2. PPL광고 시청 전과 시청 후 구매의도의 변화 61
3.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PPL광고 시청 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62
4. PPL 광고에 대한 태도와 유용성이 PPL광고 시청 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63

제6장 결 론 67
1. 요약 및 결론 67
2. 제언 및 향후 연구 방향 70

참고문헌 72

부 록 80
1. 설문지 1(브랜드 선정을 위한 1차 설문지) 81
2. 설문지 2(본 조사 설문지) 85
3. 실험 광고물 노출 내용 및 주요 캡쳐 사진 90

ABSTRACT 103

표 목 차

<표 3-1> 국내 드라마에 표현된 PPL 사례 43
<표 3-2> 국내 드라마에 표현된 PPL 사례 46
<표 4-1> 브랜드 선정을 위한 1차 조사 결과 49
<표 4-2> 브랜드별 인지도와 선호도 50
<표 4-3> 제품 이용 횟수와 정보 획득 경로 56
<표 5-1> PPL광고 시청 전 구매의도 차이 58
<표 5-2> PPL광고에 대한 태도 차이 59
<표 5-3> PPL광고에 대한 유용성 차이 60
<표 5-4> PPL광고 시청 전과 시청 후 구매의도의 변화 61
<표 5-5>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PPL광고 시청 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62
<표 5-6> PPL광고에 대한 태도와 유용성이 PPL광고 시청 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64
<표 5-7> 가설 검증 결과 요약 66

사진목차
<사진 3-1> 김희애의 스타일 40
<사진 3-2> 파리의연인 41
<사진 3-3> 드라마 ‘이웃집웬수’ 44
<사진 3-4> 드라마 ‘인생은아름다워’ 45
<사진 3-5> 드라마 ‘수상한삼형제’ 46

본문내용

ng SPSS 12.0 for Windows statistic package program, and the results of analysis thereby are the following.
First, as for the brand popularity and preference of the product, as the result of the grasp of product purchase intention prior to watching PPL ads and the attitude and usefulness of PPL ad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gap before watching PPL ads, it appeared that after the examination, the brand of high preference and the brand with high preference and the brand with high popularity and low preference had high purchase intention compared with the brand without popularity. In the difference of the attitude toward PPL ads, as the result of later examination, it appeared that the brand with high preference compared with the brand without popularity and the brand with high preference and the brand with high popularity and low preference had a high attitude of PPL ads. In the difference of usefulness as to PPL ads, as the result of later examination, it appeared that the brand with high popularity and low preference had a high usefulness of PPL ads compared with the brand with high preference and the brand without popularity.
Secon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hanges of purchase intention before watching PPL ads and after watching it appeared that it, the brand with high preference had no change in the purchase intention before watching ads and after watching ads and that the brand with high popularity and low preference and the brand without popularity showed promoted purchase intention after watching compared with that before watching PPL ads.
Thirdly,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brand popularity and preference upon purchase intention after watching PPL advertising, it appeared that brand preference had a meaningful effect upon purchase intention after watching PPL advertising. It was also shown that in both case of 'brand with high popularity and low preference' and 'brand without popularity', brand preference had a meaningful effect, so the higher brand preference was, the higher purchase intention got after watching PPL advertising.
Fourth,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how the attitude and usefulness as to PPL ads had a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fter watching PPL ads, the brand with high preference and the brand without popularity advanced purchase intention after watching PPL ads with high advertising attitude and advertising usefulness, the brand with high popularity and low preference advanced purchase intention.
As this research contains time and spatial limitation and limit coming from study proceedings. in the future study, we'll have to extend the generalization and universalization of the data through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of the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and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by the ran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gress the research considering varied variables in future and the one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 and personal character etc.

키워드

ppl,   논문,   광고,   홍보,   광고홍보,   드라마,   드라마ppl,   영화ppl,   석사논문,   ppl광고
  • 가격3,300
  • 페이지수108페이지
  • 등록일2013.07.09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