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암석(돌)의 조직
1. 현정질조직(phaneritic texture)
2. 비현정질조직(aphanitic texture)
3. 유리질조직(glass texture)
4. 반정질조직(hypocrystalline texture)
5. 반상조직(porphyritic texture)
6. 문상조직(graphic texture)
7. 취반상조직(glomerporphyritic texture)
8. 포이킬리조직(poikilitic texture)
Ⅱ. 암석(돌)의 특징
1. 암석의 성질은 단단하다
2. 모양은 변화가 없다
3. 암석은 가치가 없다
Ⅲ. 암석(돌)의 강도
1. 취성파괴
2. 연성파괴
Ⅳ. 암석(돌)의 이용
1. 암석의 이용
2. 암석의 특성
1) 화강암
2) 대리암
3) 편마암
4) 현무암
Ⅴ. 암석(돌)과 광물
Ⅵ. 암석(돌)과 퇴적암
1. 퇴적암의 구조
1) 유수 구조(current structure)
2) 변형 구조(deformation structure)
3) 생물기원 구조(biogenic structure)
4) 화학적 구조(chemical structure)
2. 퇴적암의 조직
1) 입자의 크기
2) 분급(sorting)
3) 왜도(skewness)
4) 첨도(kurtosis)
5) 입자의 모양과 원마도
6) 조직의 성숙도
Ⅶ. 암석(돌)과 화성암
Ⅷ. 암석(돌)과 변성암
1. 변성암의 구조
1) 쪼개짐
2) 엽리(foliation)
3) 편리(schistosity)
4) 편마구조
5) 선구조
2. 변성암의 조직(metamorphic texture)
1) 암석에 참조적인 광물적 구성이 없을 때 : 입상 변정조직
2) 새로운 광물 성장에 의한 것
3) 1)과 2)의 합성으로 인한 조직
4) (다소간 ①, ②, ③, ④, ⑤의 기질부를 포함한) 광물이나 구형 광물을 보이는 것
참고문헌
1. 현정질조직(phaneritic texture)
2. 비현정질조직(aphanitic texture)
3. 유리질조직(glass texture)
4. 반정질조직(hypocrystalline texture)
5. 반상조직(porphyritic texture)
6. 문상조직(graphic texture)
7. 취반상조직(glomerporphyritic texture)
8. 포이킬리조직(poikilitic texture)
Ⅱ. 암석(돌)의 특징
1. 암석의 성질은 단단하다
2. 모양은 변화가 없다
3. 암석은 가치가 없다
Ⅲ. 암석(돌)의 강도
1. 취성파괴
2. 연성파괴
Ⅳ. 암석(돌)의 이용
1. 암석의 이용
2. 암석의 특성
1) 화강암
2) 대리암
3) 편마암
4) 현무암
Ⅴ. 암석(돌)과 광물
Ⅵ. 암석(돌)과 퇴적암
1. 퇴적암의 구조
1) 유수 구조(current structure)
2) 변형 구조(deformation structure)
3) 생물기원 구조(biogenic structure)
4) 화학적 구조(chemical structure)
2. 퇴적암의 조직
1) 입자의 크기
2) 분급(sorting)
3) 왜도(skewness)
4) 첨도(kurtosis)
5) 입자의 모양과 원마도
6) 조직의 성숙도
Ⅶ. 암석(돌)과 화성암
Ⅷ. 암석(돌)과 변성암
1. 변성암의 구조
1) 쪼개짐
2) 엽리(foliation)
3) 편리(schistosity)
4) 편마구조
5) 선구조
2. 변성암의 조직(metamorphic texture)
1) 암석에 참조적인 광물적 구성이 없을 때 : 입상 변정조직
2) 새로운 광물 성장에 의한 것
3) 1)과 2)의 합성으로 인한 조직
4) (다소간 ①, ②, ③, ④, ⑤의 기질부를 포함한) 광물이나 구형 광물을 보이는 것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왔다. 근래에는 전자부터 유문암질(화강암질), 안산암질(섬록암질) 및 현무암질(반려암질) 마그마로 불러져 왔다.
화성암은 마그마가 냉각하는 시간 길이에 따라서 광물 알갱이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냉각 장소, 즉 지각의 표면부분, 중간부분, 깊은 부분(10km 이하)에 따라서 화산암, 반심성암 및 심성암으로 분류한다. 마그마에서 결정으로 자란 알갱이 크기는 심성암에서 주로 구성하는 알갱이들(화강암인 경우 석영과 장석류)이 5mm 정도일 때 조립질이다. 화산암의 경우 지표에 분출한 마그마가 물에 접촉하여 급냉하면 석기가, 혹은 정상적으로 냉각하면 1mm 이하의 알갱이가 생기며 세립질이 된다. 유문암질 마그마가 냉각하여 굳어지면 화강암, 화강반암 혹은 유문반암 및 유문암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계열의 암석 색깔은 무색광물(felsic mineral)들이 우세하므로 밝은 색을 띤다. 안산암질 마그마나 현무암질 마그마도 냉각 장소에 따라 각 계열의 암석을 생성하며 전자는 암청색을, 후자는 어두운 색 계열인 검은색 내지 암회색을 띤다.
암석의 표면에서 무늬는 심성암의 경우에 결정 알갱이들이 사방에서 서로 밀착하게 접촉한 무늬를 이룬다. 알갱이 모양은 2 가지로서 다각형과 불규칙한 형이 있다. 화산암의 경우에 무늬는 현무암과 유문암의 무늬가 다르다. 현무암은 대개 기공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유문암은 마그마 상태에서 장석질과 석영질이 띠를 이룬 체함께 흘러내리기 때문에 유상(流狀) 무늬가 형성된다.
Ⅷ. 암석(돌)과 변성암
1. 변성암의 구조
암석이 변성작용을 받으면 압력의 방향과 관계있는 평행구조가 생겨난다. 이런 구조에는 쪼개짐(cleavage), 편리(schistosity), 편마구조(genissosity), 선구조(lineation)가 있다.
1) 쪼개짐
셰일이 약간 변성되어서 슬레이트로 변하면 일정한 두께를 가진 얇은 판으로 쪼개지는 성질이 생긴다. 이렇게 세립질인 암석에 틈이 발달되어 쪼개지는 성질을 쪼개짐이라고 한다. 쪼개짐은 슬레이트를 구성하는 광물 입자들이 어떤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서 일어나는 성질이 아니고 이와는 관계없이 생긴 틈에 기인한다.
2) 엽리(foliation)
암석이 재결정작용을 받아 운모와 같은 판상의 광물이 평행하게 배열되면 변성암은 평행구조를 나타내게 되며, 이런 구조를 엽리라고 한다.
3) 편리(schistosity)
재결정되어 만들어진 변성암의 광물들이 세립질이지만 육안으로 구별이 가능하고 엽리를 가졌으면 이런 암석을 편암(schist)이라하고 편암이 가지는 엽리를 편리라고 한다.
4) 편마구조
엽리를 가진 변성암의 입자가 크면 그 암석의 평행구조를 편마구조라고 하며, 이런 변성암을 편마암(gneiss)이라고 한다.
5) 선구조
변성암에 바늘 모양의 광물이나 주상의 광물이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면 이런 특징을 선구조라고 한다. 선구조는 엽리의 발달이 없는 암석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또 엽리를 가진 변성암에도 나타나서 바늘 모양의 광물이 대체로 엽리면에 집중된다. 선구조에는 이밖에 습곡축, 주름 같은 작은 습곡, 긁힌 줄, 거의 직교하는 두 방향의 쪼개짐이나 엽리의 교차로 생기는 줄을 포함한다.
변성암에 선구조와 평행구조가 생기는 기구에 관하여는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다. 광물들이 한 방향을 취하는 것은 아마도 압력이나 전단력에 따른 물질의 유동과 광물입자의 회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변성암의 조직(metamorphic texture)
변성암을 구성하는 광물들의 기하학적 상호관계를 조직이라고 하며, 이에는 입도, 형태, 결정 경계의 특성을 포함한다. 구조는 노두, 표본, 박편 등에서 관찰할 수 있지만, 조직은 주로 현미경 관찰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변성조직은 아래와 같은 종류로 구분된다.
1) 암석에 참조적인 광물적 구성이 없을 때 : 입상 변정조직
① 등립상 조직(isogranular texture) : 포획 변성광물의 크기가 같을 때
② 다각 조직, 모자이크 조직(polygonal, mosaic texture) : 곧거나 굽은 경계는 가지며, 많은 삼중점을 가지나 비슷하다.
③ 비등립상 조직(heterogranular texture) : 각각의 크기가 다를 때
2) 새로운 광물 성장에 의한 것
④ 비늘상쇄설성 조직(lepidoblastic texture) : 판상 광물이 다소 있을 때
⑤ 침상쇄설성 조직(nematoblastic texture) : 바늘모양이나 장축이 신장된 광물로 조직
⑥ 반상쇄설성 조직(porphyroblastic texture) : 포획체를 가지며 많은 반상을 가진다.
⑩ 다발 조직(sheaf texture)
⑪ 장미 조직(rosette texture)
⑬ 연충상 조직(vermicular texture) 잎모양의 광물
3) 1)과 2)의 합성으로 인한 조직
⑦ ①, ②, or ③ + ④ = 화강 비늘상쇄설성 조직(grano-lepidoblastic texture)
⑧ ①, ②, or ③ + ⑤ = 화강 침상쇄설성 조직(grano-nematoblastic texture)
⑨ ①, ②, or ③ + ⑥ = 화강 연충상쇄설성 조직(grano-porphyroblastic texture)
4) (다소간 ①, ②, ③, ④, ⑤의 기질부를 포함한) 광물이나 구형 광물을 보이는 것
⑫ 혹 구조(nodular texture)
⑭ 반 코로나 조직(reaction corona texture)
⑮ 안구상 조직(augen texture)
참고문헌
▷ 김재환 외 4명(2011), 암석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온도의 영향, 한국암석학회
▷ 김지영(1992), 변성암의 우리말 암석명에 대한 제안, 한국암석학회
▷ 상척소삼(1981), 도시의 석재(건축물)를 이용한 암석의 관찰, 지학 교육
▷ 정철현(1994), 암석의 강도와 역학적 계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 장찬동(2004), 퇴적암에 대한 경험적 암석강도 추정에 대한 고찰,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 최민지 외 2명(2009), 암석과 광물에 대한 초·중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화성암은 마그마가 냉각하는 시간 길이에 따라서 광물 알갱이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냉각 장소, 즉 지각의 표면부분, 중간부분, 깊은 부분(10km 이하)에 따라서 화산암, 반심성암 및 심성암으로 분류한다. 마그마에서 결정으로 자란 알갱이 크기는 심성암에서 주로 구성하는 알갱이들(화강암인 경우 석영과 장석류)이 5mm 정도일 때 조립질이다. 화산암의 경우 지표에 분출한 마그마가 물에 접촉하여 급냉하면 석기가, 혹은 정상적으로 냉각하면 1mm 이하의 알갱이가 생기며 세립질이 된다. 유문암질 마그마가 냉각하여 굳어지면 화강암, 화강반암 혹은 유문반암 및 유문암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계열의 암석 색깔은 무색광물(felsic mineral)들이 우세하므로 밝은 색을 띤다. 안산암질 마그마나 현무암질 마그마도 냉각 장소에 따라 각 계열의 암석을 생성하며 전자는 암청색을, 후자는 어두운 색 계열인 검은색 내지 암회색을 띤다.
암석의 표면에서 무늬는 심성암의 경우에 결정 알갱이들이 사방에서 서로 밀착하게 접촉한 무늬를 이룬다. 알갱이 모양은 2 가지로서 다각형과 불규칙한 형이 있다. 화산암의 경우에 무늬는 현무암과 유문암의 무늬가 다르다. 현무암은 대개 기공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유문암은 마그마 상태에서 장석질과 석영질이 띠를 이룬 체함께 흘러내리기 때문에 유상(流狀) 무늬가 형성된다.
Ⅷ. 암석(돌)과 변성암
1. 변성암의 구조
암석이 변성작용을 받으면 압력의 방향과 관계있는 평행구조가 생겨난다. 이런 구조에는 쪼개짐(cleavage), 편리(schistosity), 편마구조(genissosity), 선구조(lineation)가 있다.
1) 쪼개짐
셰일이 약간 변성되어서 슬레이트로 변하면 일정한 두께를 가진 얇은 판으로 쪼개지는 성질이 생긴다. 이렇게 세립질인 암석에 틈이 발달되어 쪼개지는 성질을 쪼개짐이라고 한다. 쪼개짐은 슬레이트를 구성하는 광물 입자들이 어떤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서 일어나는 성질이 아니고 이와는 관계없이 생긴 틈에 기인한다.
2) 엽리(foliation)
암석이 재결정작용을 받아 운모와 같은 판상의 광물이 평행하게 배열되면 변성암은 평행구조를 나타내게 되며, 이런 구조를 엽리라고 한다.
3) 편리(schistosity)
재결정되어 만들어진 변성암의 광물들이 세립질이지만 육안으로 구별이 가능하고 엽리를 가졌으면 이런 암석을 편암(schist)이라하고 편암이 가지는 엽리를 편리라고 한다.
4) 편마구조
엽리를 가진 변성암의 입자가 크면 그 암석의 평행구조를 편마구조라고 하며, 이런 변성암을 편마암(gneiss)이라고 한다.
5) 선구조
변성암에 바늘 모양의 광물이나 주상의 광물이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면 이런 특징을 선구조라고 한다. 선구조는 엽리의 발달이 없는 암석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또 엽리를 가진 변성암에도 나타나서 바늘 모양의 광물이 대체로 엽리면에 집중된다. 선구조에는 이밖에 습곡축, 주름 같은 작은 습곡, 긁힌 줄, 거의 직교하는 두 방향의 쪼개짐이나 엽리의 교차로 생기는 줄을 포함한다.
변성암에 선구조와 평행구조가 생기는 기구에 관하여는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다. 광물들이 한 방향을 취하는 것은 아마도 압력이나 전단력에 따른 물질의 유동과 광물입자의 회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변성암의 조직(metamorphic texture)
변성암을 구성하는 광물들의 기하학적 상호관계를 조직이라고 하며, 이에는 입도, 형태, 결정 경계의 특성을 포함한다. 구조는 노두, 표본, 박편 등에서 관찰할 수 있지만, 조직은 주로 현미경 관찰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변성조직은 아래와 같은 종류로 구분된다.
1) 암석에 참조적인 광물적 구성이 없을 때 : 입상 변정조직
① 등립상 조직(isogranular texture) : 포획 변성광물의 크기가 같을 때
② 다각 조직, 모자이크 조직(polygonal, mosaic texture) : 곧거나 굽은 경계는 가지며, 많은 삼중점을 가지나 비슷하다.
③ 비등립상 조직(heterogranular texture) : 각각의 크기가 다를 때
2) 새로운 광물 성장에 의한 것
④ 비늘상쇄설성 조직(lepidoblastic texture) : 판상 광물이 다소 있을 때
⑤ 침상쇄설성 조직(nematoblastic texture) : 바늘모양이나 장축이 신장된 광물로 조직
⑥ 반상쇄설성 조직(porphyroblastic texture) : 포획체를 가지며 많은 반상을 가진다.
⑩ 다발 조직(sheaf texture)
⑪ 장미 조직(rosette texture)
⑬ 연충상 조직(vermicular texture) 잎모양의 광물
3) 1)과 2)의 합성으로 인한 조직
⑦ ①, ②, or ③ + ④ = 화강 비늘상쇄설성 조직(grano-lepidoblastic texture)
⑧ ①, ②, or ③ + ⑤ = 화강 침상쇄설성 조직(grano-nematoblastic texture)
⑨ ①, ②, or ③ + ⑥ = 화강 연충상쇄설성 조직(grano-porphyroblastic texture)
4) (다소간 ①, ②, ③, ④, ⑤의 기질부를 포함한) 광물이나 구형 광물을 보이는 것
⑫ 혹 구조(nodular texture)
⑭ 반 코로나 조직(reaction corona texture)
⑮ 안구상 조직(augen texture)
참고문헌
▷ 김재환 외 4명(2011), 암석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온도의 영향, 한국암석학회
▷ 김지영(1992), 변성암의 우리말 암석명에 대한 제안, 한국암석학회
▷ 상척소삼(1981), 도시의 석재(건축물)를 이용한 암석의 관찰, 지학 교육
▷ 정철현(1994), 암석의 강도와 역학적 계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 장찬동(2004), 퇴적암에 대한 경험적 암석강도 추정에 대한 고찰,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 최민지 외 2명(2009), 암석과 광물에 대한 초·중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