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 소설 소낙비][소설][도덕성][작품배경][작품분석]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줄거리,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가,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도덕성,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품배경,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품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유정 소설 소낙비][소설][도덕성][작품배경][작품분석]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줄거리,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가,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도덕성,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품배경,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품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줄거리

Ⅲ.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가

Ⅳ.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도덕성

Ⅴ.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품배경

Ⅵ.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작품분석
1. 과정
2. 인물
1) 춘호
2) 춘호 처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 놓았다. 그래 놓고 위서부터 머리칼을 재워가며 맵시있게 쪽을 따찔러 주더니 오늘 아침에 한사코 공을 들여 삼아 놓았던 짚신을 아내의 발에 신기고 주먹으로 자그자근 골을 내 주었다.
“인제 가 봐!”
하다가
“바루 곧 와 응?”
하고 남편은 그 이 원을 고히 받고자 손색없도록 실패 없도록 아내를 모양내 보냈다.
2. 인물
1) 춘호
고향을 떠나 산골로 온 자신과 부인이다. 지긋지긋한 산골에서 벗어나고파 한다. 가난 이라는 이름도 그를 비양심적 인간으로 만드는데 한 몫 했을지도 모른다. 그는 서 울로 떠나기 위해 돈을 필요로 한다. 돈이 생길 수 있다고 믿는 노름판. 그는 노름으로 돈을 모아 떠나려 그 밑천을 마련하기 위해서 자신의 처에게 매춘을 시킨다. 그러나 그는 하등의 윤리적 가책이나 양심의 저항도 느끼지 못하는 인물이다. 노름판의 밑천이 되는 돈을 구해 떠날 수만 있다면 아내가 어떤 방법으로 돈을 벌어 오더라도 상관이 없다. 아니 아내가 돈을 벌 수 있는 길은 매춘밖에 없다고 생각 한다. 돈 2원을 받아오겠다는 아내의 말을 듣고 그는 괴팍하고 험상궂은 사람에서 순하고 부드러운 사람으로 변한다. 남편으로서의 자격도 분노도 자존심도 없는 존재이다. 오히려 아내의 머리를 정성스레 빗겨준다. 실수하지 않고 돈을 받아 곧장 집으로 오라며 신발까지 챙겨 신겨준다. 이 모습이 춘호이다.
2) 춘호 처
남편과 함께 산골로 왔다. 이 곳을 벗어나 서울로 떠나기 위해 남편은 노름을 하려 한다. 남편이 노름을 하기 위해서는 노름 밑천이 필요하다. 춘호처는 남편에 게 온갖 구박과 협박을 받는다. 결국 매춘을 택하게 된다. 남편의 매질 때문에 빚어진 탈선이기는 하지만 이주사에게 몸을 허락하고는 가벼운 마음으로 집에 돌아오며 이런 생각을 한다.
의외로 아니 천행으로 오늘 일은 성공이었다. 그는 몸을 솟치며 생긋하였다. 그런 모욕과 수치는 난생처음 당하는 봉변으로, 지랄 중에도 몹쓸 지랄이었으나 성공은 성공이었다. 복을 받으려면 반드시 고생이 따르는 법이니 이까짓거야 골백번 당한대도 남편에게 매나 안맞고 의좋게 살 수만 있다면 그는 사양치 않을 것이다. 이주사를 하늘같이, 은인같이 여겼다.
남편에게 부쳐먹을 농토를 줄 테니 자기의 첩이 되라는 그 말도 죄송하였으나 더욱이 돈 2원을 줄 테니 내일 이맘때 쇠돌네 집으로 넌지시 만나자는 그 말은 무엇보다도 고마웠고 벅찬 짐이나 풀은 듯 마음이 홀가분하였다.
위 글에서 춘호처에게도 의아한 점을 볼 수 있다. 한 여성으로서 자신의 남편이 아닌 다른 남자에게 돈을 위해 매춘을 하고도 분함이나 억울함, 슬픔이 먼저 느껴지기 보다는 복을 받기 위해서 반드시 고생이 따르는 법이라며 자신에게 위로 아닌 위로를 하는 부분이 의식적으로도 평범치 않음을 알 수 있다.
가난과 궁핍이라는 것이 사람의 의식구조를 어떻게 바꿔놓았는지는 알 수가 없지만 가난이라는 이름 하에 자신을 버리고, 그리고 모든 것을 포기해가며 살아가야 는 것만이 최선의 선택이자 방법이 될 수밖에 없는지 두 사람에게 의문으로 남는 점이다. <소낙비>당시대의 밑바닥에 깔려 있는 황폐하고 찌든 우리 농촌의 생활상을 두 주인공을 통해 그려내었다.
참고문헌
김동혁, 도가적 사유로 본 김유정 소설의 세계인식, 단국대학교, 2011
송준호, 소낙비의 상징론적 해석, 한국언어문학회, 2000
이재복, 김유정 소낙비의 담론 고찰, 한국언어문화학회, 1993
장소진, 김유정의 소설 소낙비와 안해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
장진화, 김유정 소설연구 : 김유정의 사회의식과 작중인물의 성의식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2010
최남진, 김유정 소설의 초점화 연구, 부산대학교, 1995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