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1. 열전도대의 원리
2. 열전도대의 구조 및 열전도대의 증폭회로
3. 열전도대의 특징
4. 계측방법
Ⅱ. 온도측정과 측정실험
Ⅲ. 온도측정과 측정장치
1. 저온측정을 위한 장비 구성
2. 0℃ 측정을 위한 장비구성
3. 100℃ 측정을 위한 장비구성
Ⅳ. 온도측정과 측정시스템
1. Multiplexer의 원리와 역할
2. <<A/D>변환기의 원리와 역할>
3. <DC 증폭기의 원리와 역할>
4. <cold junction compensation circuit>의 역할 및 원리
Ⅴ. 온도측정과 광학식 온도측정
Ⅵ. 온도측정과 카타온도계(KATA온도계)
1. KATA온도계(Kata thermometer)
1) 건KATA 냉각력
2) 습KATA 냉각력
2. KATA온도계 측정방법
참고문헌
1. 열전도대의 원리
2. 열전도대의 구조 및 열전도대의 증폭회로
3. 열전도대의 특징
4. 계측방법
Ⅱ. 온도측정과 측정실험
Ⅲ. 온도측정과 측정장치
1. 저온측정을 위한 장비 구성
2. 0℃ 측정을 위한 장비구성
3. 100℃ 측정을 위한 장비구성
Ⅳ. 온도측정과 측정시스템
1. Multiplexer의 원리와 역할
2. <<A/D>변환기의 원리와 역할>
3. <DC 증폭기의 원리와 역할>
4. <cold junction compensation circuit>의 역할 및 원리
Ⅴ. 온도측정과 광학식 온도측정
Ⅵ. 온도측정과 카타온도계(KATA온도계)
1. KATA온도계(Kata thermometer)
1) 건KATA 냉각력
2) 습KATA 냉각력
2. KATA온도계 측정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하여 2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광원을 이용하는 측정방법[8]과 다이오드 레이저 광을 이용한 초소형 굴절계[9]가 개발되어 있다.
굴절률의 측정 시 온도가 변화하면 측정값이 온도에 매우 민감하게 변화함으로 일정한 온도조건에서 측정을 하거나 온도변화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를 보상해 주어야 정확한 굴절률 측정이 가능하므로 굴절률의 온도 의존성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하는 자동식 굴절계는 굴절률 측정을 위한 빛의 측정을 위해 CCD (Charge Coupled Device)나 광전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빛의 굴절 정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굴절계들은 오프라인으로 보통 사용하며 온라인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온도보상이 되지 않아 시료의 온도가 일정한 범위 내에 도달하도록 따로 온도조절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장치의 소형화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 온도조절을 위하여 측정시간을 많이 소요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정밀 굴절계 (Kyoto Electronics Co., Japan, Model RA-510)의 경우 시료의 온도가 설정온도에서 ±0.02。C 이내일 때 측정치를 출력하므로 시료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거나 설정온도에서 많이 벗어나는 경우 온도조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측정 시간이 매우 길다. 또 장치가 커서 해수의 염도 측정에 온라인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뿐 만 아니라 굴절률은 염도에 따라 변하기도 하지만 온도에 의해서도 변하기 때문에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보상을 해줄 필요가 있다.
Ⅵ. 온도측정과 카타온도계(KATA온도계)
1. KATA온도계(Kata thermometer)
KATA온도계는 L. Hi11(1919)이 구부가 인체의 방열량과 같도록 고안한 일종의 유리제 온도계로 비교적 큰 구부를 가지고 있는 일종의 알코올 온도계로서 95°F 와 100°F의 두 개 눈금이 있다.
구부는 지름 약 1.7㎝이고 길이 4.0㎝이고 가는 목부분의 길이는 약20㎝로서 그 속에는 훅신으로 염색한 빨간 알코올이 들어있다.
눈금은 체온에 비교적 가까운 38℃와 35℃ 두 곳에만 새겨져 있다. 온도계를 38.℃이상으로 데운 후에 측정하고자 하는 환경에 내놓는다.
구부에 천을 씌운 것을 습KATA온도계 라 하고 천을 씌우지 않은 것을 건KATA온도계라고 하여 구별하고 있다.
1) 건KATA 냉각력
복사 및 대류에 기인하는 카타냉각력을 말한다. 다음 식에 의해 건카타냉각력(H)을 산출한다.
H =
2) 습KATA 냉각력
복사, 대류 및 증발에 기인하는 KATA냉각력을 말한다. 이것의 측정법은 건KATA온도계의 구부를 헝겊으로 싸고 기동측정의 경우와 똑같이 하여 평균값 T\'를 구하여 이것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하여 습KATA냉각력(H\')을 산출한다.
H\' =
2. KATA온도계 측정방법
냉각 과정에서 온도가 38℃와 35℃ 이 두 점 사이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스톱워치를 가지고 초 단위로 잰다.
실측된 시간을 t초라하면 이 온도 계의 표면 l제곱센티미터에서 매초 달아나는 열량은 t초 동안 달아난 총열량인 F (mcal Cm-2)를 시간 t초로 나누어 구하는데 이를 KATA냉각력(H : mcalcm.2sec-1)이라 한다, 즉,
H = F/t = C x (36.5 - Ta)
Ta : 환경기온(℃)
C : 온도계 구부의 감도(표면적의 열발산도에 관계되는 상수)
이 KATA냉각력은 환경온도와 풍속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풍속 v(msec^-1)인 기류가 방열체에 미치는 냉각력은 다음과 같다.
v = 0(무풍)일 때 : H=0.27 (36.5 - Ta)
v < 1 일때 : H = (0.20 +0.40√v) (36.5 - Ta)
v > l 일때 : H = (0.13 +0.47√v) (36.5 - Ta)
Hill 이후에 개발된 조금씩 다른 상수의 적용 방법이 있지만 대체로 위 식들이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영호 외 2명, 폭방향 온도 측정 장치를 통한 품질관리, 세아베스틸 기술연구소, 2007
◈ 김형표 외 2명, 무선 체감온도 측정 시스템 개발, 한국센서학회, 2009
◈ 이대용, 광섬유를 이용한 용융금속의 온도측정 연구, 경희대학교, 2003
◈ 전상민 외 1명, 광 위상지연기를 이용한 온도측정, 한국광학회, 2002
◈ 채만병, 온도측정에 의한 반응속도의 해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976
◈ 차부상 외 3명, 무선 기반의 실내 온도 측정 시스템 설계, 대구대학교정보통신연소, 2005
굴절률의 측정 시 온도가 변화하면 측정값이 온도에 매우 민감하게 변화함으로 일정한 온도조건에서 측정을 하거나 온도변화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를 보상해 주어야 정확한 굴절률 측정이 가능하므로 굴절률의 온도 의존성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하는 자동식 굴절계는 굴절률 측정을 위한 빛의 측정을 위해 CCD (Charge Coupled Device)나 광전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빛의 굴절 정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굴절계들은 오프라인으로 보통 사용하며 온라인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온도보상이 되지 않아 시료의 온도가 일정한 범위 내에 도달하도록 따로 온도조절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장치의 소형화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 온도조절을 위하여 측정시간을 많이 소요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정밀 굴절계 (Kyoto Electronics Co., Japan, Model RA-510)의 경우 시료의 온도가 설정온도에서 ±0.02。C 이내일 때 측정치를 출력하므로 시료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거나 설정온도에서 많이 벗어나는 경우 온도조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측정 시간이 매우 길다. 또 장치가 커서 해수의 염도 측정에 온라인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뿐 만 아니라 굴절률은 염도에 따라 변하기도 하지만 온도에 의해서도 변하기 때문에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보상을 해줄 필요가 있다.
Ⅵ. 온도측정과 카타온도계(KATA온도계)
1. KATA온도계(Kata thermometer)
KATA온도계는 L. Hi11(1919)이 구부가 인체의 방열량과 같도록 고안한 일종의 유리제 온도계로 비교적 큰 구부를 가지고 있는 일종의 알코올 온도계로서 95°F 와 100°F의 두 개 눈금이 있다.
구부는 지름 약 1.7㎝이고 길이 4.0㎝이고 가는 목부분의 길이는 약20㎝로서 그 속에는 훅신으로 염색한 빨간 알코올이 들어있다.
눈금은 체온에 비교적 가까운 38℃와 35℃ 두 곳에만 새겨져 있다. 온도계를 38.℃이상으로 데운 후에 측정하고자 하는 환경에 내놓는다.
구부에 천을 씌운 것을 습KATA온도계 라 하고 천을 씌우지 않은 것을 건KATA온도계라고 하여 구별하고 있다.
1) 건KATA 냉각력
복사 및 대류에 기인하는 카타냉각력을 말한다. 다음 식에 의해 건카타냉각력(H)을 산출한다.
H =
2) 습KATA 냉각력
복사, 대류 및 증발에 기인하는 KATA냉각력을 말한다. 이것의 측정법은 건KATA온도계의 구부를 헝겊으로 싸고 기동측정의 경우와 똑같이 하여 평균값 T\'를 구하여 이것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하여 습KATA냉각력(H\')을 산출한다.
H\' =
2. KATA온도계 측정방법
냉각 과정에서 온도가 38℃와 35℃ 이 두 점 사이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스톱워치를 가지고 초 단위로 잰다.
실측된 시간을 t초라하면 이 온도 계의 표면 l제곱센티미터에서 매초 달아나는 열량은 t초 동안 달아난 총열량인 F (mcal Cm-2)를 시간 t초로 나누어 구하는데 이를 KATA냉각력(H : mcalcm.2sec-1)이라 한다, 즉,
H = F/t = C x (36.5 - Ta)
Ta : 환경기온(℃)
C : 온도계 구부의 감도(표면적의 열발산도에 관계되는 상수)
이 KATA냉각력은 환경온도와 풍속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풍속 v(msec^-1)인 기류가 방열체에 미치는 냉각력은 다음과 같다.
v = 0(무풍)일 때 : H=0.27 (36.5 - Ta)
v < 1 일때 : H = (0.20 +0.40√v) (36.5 - Ta)
v > l 일때 : H = (0.13 +0.47√v) (36.5 - Ta)
Hill 이후에 개발된 조금씩 다른 상수의 적용 방법이 있지만 대체로 위 식들이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영호 외 2명, 폭방향 온도 측정 장치를 통한 품질관리, 세아베스틸 기술연구소, 2007
◈ 김형표 외 2명, 무선 체감온도 측정 시스템 개발, 한국센서학회, 2009
◈ 이대용, 광섬유를 이용한 용융금속의 온도측정 연구, 경희대학교, 2003
◈ 전상민 외 1명, 광 위상지연기를 이용한 온도측정, 한국광학회, 2002
◈ 채만병, 온도측정에 의한 반응속도의 해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976
◈ 차부상 외 3명, 무선 기반의 실내 온도 측정 시스템 설계, 대구대학교정보통신연소, 2005
추천자료
[기계실험]발표용 온도센서 파워포인트
지리정보시스템(GIS) 역사,발전, 지리정보시스템(GIS) 특성, 지리정보시스템(GIS) 중요성, 지...
[공정제어]PID 온도제어설계 실험보고서
모세관 규격에 따른 온도차 실험
[건축환경실험] 유효온도 실험
리스크관리시스템(위험관리시스템, VaR)의 의미, 의의, 리스크관리시스템(위험관리시스템, Va...
위험관리시스템(VaR, 리스크관리시스템) 개념, 중요성, 위험관리시스템(VaR, 리스크관리시스...
생산시스템 자동화의 개념, 생산시스템 자동화의 성격, 생산시스템 자동화의 배경, 생산시스...
화학공학 실험 - 열풍온도제어
화학공학 실험 - 열풍온도제어기를 통하여 피드백제어와 피드포워드제어의 특성 알기
기계종합 실험 - 온도계시간상수 보고서
[유기화학실험] 온도계보정 결과보고서
화공기초실험 보고서,수은 온도계의 보정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 전기전도도(EC.), 탁도(Turb.)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