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혈역학검사][방사선투과검사(RT)][주관절검사][흉곽검사][요추천자검사][덴버발달검사][소변검사]혈역학검사, 방사선투과검사(RT), 주관절검사, 흉곽검사, 요추천자검사, 덴버발달검사, 소변검사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검사][혈역학검사][방사선투과검사(RT)][주관절검사][흉곽검사][요추천자검사][덴버발달검사][소변검사]혈역학검사, 방사선투과검사(RT), 주관절검사, 흉곽검사, 요추천자검사, 덴버발달검사, 소변검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혈역학검사
1. 순환시간 측정
2. 심박출량 측정
3. 중심 정맥압
4. 폐동맥과 폐동맥 쐐기압측정

Ⅱ. 방사선투과검사(RT)
1. 방사선투과검사(RT)의 원리
2. 방사선투과검사의 적용
3. 방사선투과검사의 특징
1) 장점
2) 단점
4. 안전 및 유의사항

Ⅲ. 주관절검사
1. 주관절의 운동범위(Range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2. 코젠의 검사(Cozen's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3. 주관절 굴곡검사(Elbow flexion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4. 신전 스트레스 검사(Extension stress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5. 골퍼의 엘보 검사(Golfer's elbow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6. 과굴곡 스트레스 검사(Hyperflexion stress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7. 카프란의 검사(Kaplan's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8. 밀의 검사(Mill's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9. 회내 스트레스 검사(Pronation stress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10. 역 코제의 검사(Reverse Cozen's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11. 회외 스트레스 검사(Supination stress test)
1) 방법
2) 원리
3) 고전적 의미
4) 임상적 의미
5) 추적검사

Ⅳ. 흉곽검사
1. 목적
2. 방법
3. 간호

Ⅴ. 요추천자검사
1. 정의
2. 진단목적
3. 치료목적
4. 진단절차
1) pressure
2) Quckenstedt's test
3) 비정상적 소견
5. 검사 전 간호
6. 검사 후 간호
7. 금기증

Ⅵ. 덴버발달검사
1. 검사 목적
2. 우리나라의 표준화
3. 검사구성
1) 개인성, 사회성
2) 미세운동, 적응성
3) 언어
4) 전체운동
4. 검사형태 및 시간과 대상연령
5. 검사의 유용성
6. 검사시 주의사항
7. 검사의 실시방법

Ⅶ. 소변검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하여야 한다.
①DDST는 지능검사가 아닌 선별검사로, 현재나 미래의 적응능력 혹은 지적능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검사가 아니다.
②DDST는 학습장애, 언어장애, 또는 정서장애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전문가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는 있지만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검사는 아니고 또한 신체검사를 대신할 수도 없다.
③정확한 검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해진 검사용구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검사자는 충분한 훈련을 받고 정기적으로 검사능력을 재확인해야한다. 또한 깨지거나 분실된 검사용구는 처음의 도구와 같은 것으로 보충하여야 한다.
④유아의 주의집중 시간은 짧다는 것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순서의 융통성 있는 시행이 요구된다.
⑤검사 전에 유아가 검사도구에 익숙하도록 검사도구를 보여준다. 그러나 검사가 시작된 후에는 필요한 도구만 제시한다.
⑥각 검사항목은 세 번까지 해보도록 한 후, P나 F를 결정한다. 지나치게 여러 번 반복하면 학습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3회 이상은 시도하지 않는다.
7. 검사의 실시방법
※검사를 실행 할 때 다음의 사항을 유의하여 검사를 하여야 한다.
부모나 환아와의 관계형성이 중요하다.
부모에게 다음사실을 잘 설명해준다.
이 검사는 발달수준을 평가하는 선별검사이다.
피검아가 검사항목 전부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피검아를 편안하게 해준다.
R 표시가 없는 것은 부모의 보고에 의해서는 안 된다.
피검아 책상위에 1-2개 검사용구를 놓아두고 검사를 시작한다.
낮은 항목의 검사부터 시작한다.
검사한 항목의 검사도구는 치운다.
기재된 표준화된 방법대로 실시한다.
항목의 검사순서는 편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Ⅶ. 소변검사
오줌은 체외로 배출될 때 일정한 압력을 가진다. 오줌발이 쎄다 함은 소변 배출력이 강한 상태이다. 방광이라는 폐수하치장에 소변이 가득 차면 방광벽의 쥐어짜기로 오줌을 밖으로 밀어낸다.
아랫배에 힘을 집중시켜 만들어진 복압(腹壓)이 방광수축력에 가세, 소변을 더욱 세차게 내보낸다. 그러나 이 소변의 흐름을 저해하는 훼방꾼이 있다. 방광의 쥐어짜기 위세에 저항하는 도전의 힘이다. 폐수하치장에서 체외로 연결된 기다란 대롱, 요도 내압이 방광내압에 대항하여 소변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다. 요도내에서 가장 큰 요류 저항세력은 요도조임문(요도괄약근)이다.
요도조임문은 이중문으로 사람의 의지와 무관하게 작동되는 자동조임문(평활근육으로 구성)과 사람이 인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조임문(골격근으로 구성)이 있다. 평소에는 이들 조임문이 닫혀 있어 요도내압이 방광내압보다 높아 소변을 방광내에 붙잡고 있다가, 오줌을 체외로 밀어내는 힘이 방해하는 힘을 압도해야만 소변의 체외배출이 이루어진다.
정상인의 배뇨 패턴은 방광 기능과 요도괄약근 기능이 서로 공조하여 조화를 이룬다.
소변개시 시점에서 방관수축 수초 전에 벌써 요도의 이중조임문이 활짝 열린다. 요도저항을 극소화시켜 방광이 쉽게 소변을 밀어내도록 배려한 생리현상이다.
결국 배뇨란 서로 대치하는 방광의 쥐어짜내기와 요도조임문의 문닫기가 양보없는 힘겨루기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방광의 쥐어짜내는 힘이 떨어지거나 요도조임문의 닫기 기능이 병적으로 증가되어 있을 때 배뇨장애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변의 흐름을 잘 관찰하면 방광과 요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낼 수 있다.
소변의 흐름을 체크하는 오줌발검사는 그래서 중요한 진단가치를 지닌다. 전자장치(트랜스듀서)를 부착한 용기내에 자연스럽게 소변을 갈기기만 하면 용기에 떨어지는 오줌발의 압력을 읽어내고 이 압력을 곧 용적으로 환산해주는 기기를 사용한다.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소변용적을 요속(尿速)이라고 하며 보통 1초당 통과하는 소변의 양(ml/sec) 으로 나타낸다. 오줌발검사의 결과를 평가하는 여러 가지 지표 가운데 최고요속이 가장 신뢰성이 있다.
정상인의 최고요속은 남자가 20∼25ml/초, 여자가 25∼30ml/초이지만 배뇨량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오줌발검사에서 임상적 의의를 기대하기 위해선 오줌발검사 당시의 소변배출량이 최소한 150ml 이상은 되어야 한다.
이 오줌발검사로 방광, 요도괄약근의 기능을 추측할 수 있고 배뇨 패턴에 대한 임상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이나 요도협착(좁아짐)과 같은 기계적 폐색이 요도저항을 증대시켜 요속을 떨어뜨린다. 또한 방광의 수축력을 떨어뜨리는 여러 질병도 요속을 감소시킨다.
방광수축력은 정상이나 방광이 수축할 때 당연히 열려 있어야 할 요도조임문이 열리지 않고 그대로 닫혀 있는 기능적 폐색이 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요속이 감소된다.
기계적 폐색과 기능적 폐색은 요류(尿流) 그라프의 모양을 참고하여 감별하기도 한다. 때로는 방광내압과 복압, 근전도(筋電圖)를 요류와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다채널 요류역학 기기로 방광에서 요도에 이르는 하부요로(下部尿路)의 전반적인 기능을 알아내기도 한다.
대체로 최고 오줌발 속도가 15ml/초에 못 이르면 요로폐색을 의심할 수 있고 10ml/초 이하이면 확실한 요로폐색이 있다고 판독한다.
그러나 요로폐색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방광내압을 함께 측정해야 할 때가 많다. 방광 내압측정은 고무호스를 방광내에 삽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노인이 되어도 젊은이들 못지 않는 성력을 지니고, 젊은이에게 결코 되지 않는 오줌발 세기를 자랑하기 위해선 심신의 건강을 지키고 유지하는 피나는 자기 노력이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 강형구 외 3명(2006), 중환자에서 비관혈적인 교류저항 심장도 검사를 이용한 혈역학적 검사의 유용성, 대한중환자의학회
* 김형석 외 2명(1998), 뇌성마비아의 덴버발달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의 비교 연구, 대한재활의학회
* 노영섭(1968), 흉곽수술후의 폐기능검사, 중앙의학사
* 임수용 외 2명(2006), 동적 방사선투과검사를 이용한 지상연소시험 기술개발, 한국추진공학회
* 임장훈 외 4명(2003), 열을 동반한 첫 번째 경련 환아에서의 요추 천자 검사의 유용성, 대한소아신경학회
* 조남수(2009), 주관절의 이학적 검사, 대한견주관절학회
  • 가격9,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