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
3) 실습 과정
① 시료 채취
-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 하기 위해 시료를 건조 시킨다.
② 시료의 무게 측정
③ 체진동기에 표준망체를 설치
- 설치 후 시료를 가장 위에 있는 체에 넣는다.
④ 체가름
- 체진동기를 통해 수직, 수평운동을 주어 시료를 흔든다. 1분 동안에 각 체에 걸린 시료의 양이 1%이상이 체를 통과하지 않게 될 때 까지 작업을 한다. 수동식, 자동식 체진동기에 각각 한번씩 실시한다.
⑤ 체를 분리하여 각 체별로 걸러진 흙의 무게를 측정하여 입도를 파악한다.
0.025이하의 큰 저울로 측정하기 어려운 값의 무게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작은 저울을 이용했다.
4) BOD 실험 결과
(1) 자동 체진동기
체의 크기
체에 남은 흙
통과백분율
(g)
(%)
(%)
2.36㎜
179.18
35.837
64.163
2.00㎜
43.15
8.630
91.370
1.18㎜
160.94
32.189
67.811
500㎛
0.99
0.198
99.802
212㎛
109.23
21.846
78.154
106㎛
3.95
0.790
99.21
25㎛
0.55
0.011
99.989
남은 판
2.00
0.400
99.6
계
499.99
100
(2) 수동 체진동기
체의 크기
체에 남은 흙
통과백분율
(g)
(%)
(%)
2.36㎜
176.18
36.046
60.954
2.00㎜
43.11
8.820
91.18
1.18㎜
160.91
32.921
67.079
500㎛
0.91
0.186
99.814
212㎛
101.23
20.711
79.289
106㎛
3.94
0.806
99.194
25㎛
0.51
0.010
99.99
남은 판
1.98
0.405
99.595
계
488.77
100
3. 실험 시 주의사항 및 논의
① 매주 사용하는 체이므로 껴있는 흙들이 많았다. 무게 오차를 줄이기 위해 최대한 흙을 제거해야 한다.
② 체를 쌓아 올릴 때 눈이 가장 작은 것을 맨 아래로 오게 하며 순서에 유의하여 쌓는다.
③ 시료에 체를 부을 때 골고루 뿌리는 것이 좋다.
④ 체가름시에 1분동안 1%남을 때까지 해야 하지만 체가름시 통과율이 아예 없을때까지 체가름을 해야 한다.
⑤ 실라버스에 있는 체눈크기 1.08이 없어 1.18로 대체 해야 한다.
⑥ 0.025이하의 흙은 큰저울로 측정하기에 무게가 너무 작게 나가므로 작은 저울로 측정해야 한다.
4. 실험 결과 분석
통과 백분율과 입경을 통해서 입도분포 곡선을 그릴수 있다.
5. 느낀 점
체가름 시 체에 끼어있는 흙들과 골재의 무게를 측정할 때 공극률을 최소화 하지 않아 오차가 발생했다. 또한 체가름 전후의 공극률도 일정하지 않았고 두 번의 체가름 시험동안 흙을 옮기는데 있어 정확하게 흘리지 않고 옮겼어야 했는데 흙을 조금씩 흘렸기 때문에 오차도 발생했다. 또 체가름한 입도별로 무게를 잴 때 입경이 작은 골재는 무게가 매우 작아 저울이 정확하게 인식하지 않을 수 있고 무거운 입자보다 상대적으로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오차가 발생했다. 많은 오차들이 발생되어 ‘좀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었는데’라는 아쉬움이 들었다. 흙을 돌리면서 흙이 크기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눈에 바로 바로 보여 재밌는 실습이었다. 그리고 그림과 같이 입도분포그래프를 이용해 투수 계수를 구하고 그것을 이용해 토목회사에서는 안정성을 확보하고 골재의 사용을 결정 하였다. 그림-1은 실제로 울산~포항 복선전철 3공구에서 투수계수를 이용해 골재와 쟤료의 안정성을 평가한 내용이다. 내가 지금 실습한 것이 여러 방면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단순히 흙을 분류하는 과정이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이 굉장히 신기 했던 실험이었다.
그림-1
3) 실습 과정
① 시료 채취
-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 하기 위해 시료를 건조 시킨다.
② 시료의 무게 측정
③ 체진동기에 표준망체를 설치
- 설치 후 시료를 가장 위에 있는 체에 넣는다.
④ 체가름
- 체진동기를 통해 수직, 수평운동을 주어 시료를 흔든다. 1분 동안에 각 체에 걸린 시료의 양이 1%이상이 체를 통과하지 않게 될 때 까지 작업을 한다. 수동식, 자동식 체진동기에 각각 한번씩 실시한다.
⑤ 체를 분리하여 각 체별로 걸러진 흙의 무게를 측정하여 입도를 파악한다.
0.025이하의 큰 저울로 측정하기 어려운 값의 무게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작은 저울을 이용했다.
4) BOD 실험 결과
(1) 자동 체진동기
체의 크기
체에 남은 흙
통과백분율
(g)
(%)
(%)
2.36㎜
179.18
35.837
64.163
2.00㎜
43.15
8.630
91.370
1.18㎜
160.94
32.189
67.811
500㎛
0.99
0.198
99.802
212㎛
109.23
21.846
78.154
106㎛
3.95
0.790
99.21
25㎛
0.55
0.011
99.989
남은 판
2.00
0.400
99.6
계
499.99
100
(2) 수동 체진동기
체의 크기
체에 남은 흙
통과백분율
(g)
(%)
(%)
2.36㎜
176.18
36.046
60.954
2.00㎜
43.11
8.820
91.18
1.18㎜
160.91
32.921
67.079
500㎛
0.91
0.186
99.814
212㎛
101.23
20.711
79.289
106㎛
3.94
0.806
99.194
25㎛
0.51
0.010
99.99
남은 판
1.98
0.405
99.595
계
488.77
100
3. 실험 시 주의사항 및 논의
① 매주 사용하는 체이므로 껴있는 흙들이 많았다. 무게 오차를 줄이기 위해 최대한 흙을 제거해야 한다.
② 체를 쌓아 올릴 때 눈이 가장 작은 것을 맨 아래로 오게 하며 순서에 유의하여 쌓는다.
③ 시료에 체를 부을 때 골고루 뿌리는 것이 좋다.
④ 체가름시에 1분동안 1%남을 때까지 해야 하지만 체가름시 통과율이 아예 없을때까지 체가름을 해야 한다.
⑤ 실라버스에 있는 체눈크기 1.08이 없어 1.18로 대체 해야 한다.
⑥ 0.025이하의 흙은 큰저울로 측정하기에 무게가 너무 작게 나가므로 작은 저울로 측정해야 한다.
4. 실험 결과 분석
통과 백분율과 입경을 통해서 입도분포 곡선을 그릴수 있다.
5. 느낀 점
체가름 시 체에 끼어있는 흙들과 골재의 무게를 측정할 때 공극률을 최소화 하지 않아 오차가 발생했다. 또한 체가름 전후의 공극률도 일정하지 않았고 두 번의 체가름 시험동안 흙을 옮기는데 있어 정확하게 흘리지 않고 옮겼어야 했는데 흙을 조금씩 흘렸기 때문에 오차도 발생했다. 또 체가름한 입도별로 무게를 잴 때 입경이 작은 골재는 무게가 매우 작아 저울이 정확하게 인식하지 않을 수 있고 무거운 입자보다 상대적으로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오차가 발생했다. 많은 오차들이 발생되어 ‘좀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었는데’라는 아쉬움이 들었다. 흙을 돌리면서 흙이 크기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눈에 바로 바로 보여 재밌는 실습이었다. 그리고 그림과 같이 입도분포그래프를 이용해 투수 계수를 구하고 그것을 이용해 토목회사에서는 안정성을 확보하고 골재의 사용을 결정 하였다. 그림-1은 실제로 울산~포항 복선전철 3공구에서 투수계수를 이용해 골재와 쟤료의 안정성을 평가한 내용이다. 내가 지금 실습한 것이 여러 방면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단순히 흙을 분류하는 과정이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이 굉장히 신기 했던 실험이었다.
그림-1
추천자료
융기현상의 종류
나무의 종류와 쓰임새
토양생물의 종류와 역할
토공장비의 종류
자연재해의 종류와 원인분석
복합재료의 종류와 제조방법
잔디의 종류별 생육환경과 번식방법(종속, 영양번식)
계의 종류
골프공의 종류와 크기 및 진화과정
건설폐기물 종류 및 처리현황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에 대하여 조사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 방안에 대하여 조사 하시오
연료의 종류, 연료와 연료분사장치, 연료와 연료공동구매, 연료의 장단점, 연료와 보일러연료...
댐의 종류 및 특징 _ 댐의 개념과 분류(필댐, 록필댐, 흙댐, 콘크리트 중력댐, 중공중력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