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연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면 그것을 보완할 변수들을 찾아내고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어 한계점을 인식하는 과정과 같이 말이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행복지수는 얼마인지 평가해보자. 이것은 미국의 심리학자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개인의 행복을 수치화 할 수 있게 만든 공식이다. 비록 이 방법이 완벽하다고 할 수도 없고 수치화 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경제학의 특성이기도 한 대상의 수치화를 한번 경험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행복 = P+(5 X E)+(3 X H)
P : Personal Characteristic(인격) - 인생관, 적응력, 유연성 등 개인적 특성
E : Existence(존재) - 건강, 돈, 인간관계 등 생존조건
H : Higher Order Needs(고차원 상태) - 자존심, 기대, 유머 감각 등 더 높은 수준의 조건
* 위 2쪽을 참고하여 네 문항에 답하도록 한다.
* 문항은 1, 2번이 P, 3번이 E, 4번이 H요소에 해당한다.
* 질문마다 1부터 10까지의 점수로 답할 수 있고 자신이 얻은 각각의 점수를 공식에 대입 하면 지수를 얻을 수 있다.
* 100점에 가까울수록 더 행복하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행복지수는 얼마인지 평가해보자. 이것은 미국의 심리학자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개인의 행복을 수치화 할 수 있게 만든 공식이다. 비록 이 방법이 완벽하다고 할 수도 없고 수치화 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경제학의 특성이기도 한 대상의 수치화를 한번 경험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행복 = P+(5 X E)+(3 X H)
P : Personal Characteristic(인격) - 인생관, 적응력, 유연성 등 개인적 특성
E : Existence(존재) - 건강, 돈, 인간관계 등 생존조건
H : Higher Order Needs(고차원 상태) - 자존심, 기대, 유머 감각 등 더 높은 수준의 조건
* 위 2쪽을 참고하여 네 문항에 답하도록 한다.
* 문항은 1, 2번이 P, 3번이 E, 4번이 H요소에 해당한다.
* 질문마다 1부터 10까지의 점수로 답할 수 있고 자신이 얻은 각각의 점수를 공식에 대입 하면 지수를 얻을 수 있다.
* 100점에 가까울수록 더 행복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