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논리 의미][논리 구조][논리 추론][논리 검증][논리 오류][논증][타당성][추론][검증][오류][논제][논거]논리의 의미, 논리의 구조, 논리의 추론, 논리의 검증, 논리의 오류, 논리와 논증, 논리의 타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리][논리 의미][논리 구조][논리 추론][논리 검증][논리 오류][논증][타당성][추론][검증][오류][논제][논거]논리의 의미, 논리의 구조, 논리의 추론, 논리의 검증, 논리의 오류, 논리와 논증, 논리의 타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논리의 의미

Ⅲ. 논리의 구조
1. 인지과정의 일반적인 모습
2. 이론구성의 일반모형
1) 이론->경험연구 전략(연역법 deduction)
2) 경험연구->이론 전략(귀납법 inducion)
3) 두 가지 전략의 비교

Ⅳ. 논리의 추론

Ⅴ. 논리의 검증

Ⅵ. 논리의 오류
1. 순환 논리의 오류
2. 분할의 오류
3. 결합의 오류
4. 말 앞에 수레 놓는 오류
5. 흑백 사고의 오류
6.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7. 원칙 혼동의 오류
8. 거짓 원인의 오류
9. 피장파장의 오류

Ⅶ. 논리와 논증
1. 정의
2. 논증의 구성 요건
1) 논제
2) 논거
3) 논증
3. 논증의 방식
1) 추리 형식
2) 논증 방식
4. 논증의 규칙
1) 논제의 규칙
2) 논거의 규칙

Ⅷ. 논리의 타당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각될 수 있는 명제를 그의 주장으로부터 이끌어 냄에 있어서 우리가 의거할 수 있을 어떤 규칙을 그가 제공할 수 없음을 고백했다고 가정하자. 이럴 경우 우리는 다음과 같이 대꾸할 것이다: 당신의 주장은 전혀 아무 주장도 아니다. 그것은 아무 것도 말한 바가 없다. 그것은 일련에 공허한 낱말에 불과하다. 그것은 전혀 아무 의미도 없다.
그가 그의 말에 연관된 어떤 심상이나 심지어 어떤 느낌까지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 사실은 심리학적으로는 중요할는지 모르나 이론적으로는 부당한 것이다. 어떤 명제에 이론적 의미를 주는 것은 그에 附隨(부수)하는 심상이나 사고내용이 아니라, 그로부터 지각될 수 있는 명제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가능성, 다시 말하면 검증 가능성이다. 명제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에는 심상의 현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것은 필요한 것조차도 아니다. 우리는 電磁場에 관한 어떠한 실제적인 심상도 갖고 있지 않으며, 심지어는 인력장에 관해서도 그런 갖고 있지 않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場에 관하여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명제는 완전한 의미를 갖고 있으니, 그것은 그로부터 지각될 수 있는 명제가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우리가 부력장을 상상하거나 생각해 볼 수 없기 때문에, 그런 場에 관해 방금 언급된 명제를 반대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내가 그 명제를 반대하는 이유는 오직 우리가 그것을 검증할 方途(방도)를 모른다는 데에 있다.
Ⅵ. 논리의 오류
1. 순환 논리의 오류
결론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결론을 되풀이하는 논리의 오류를 ‘순환 논리의 오류’라고 한다. 여기서 ‘순환’이란 ‘계속 되풀이됨’을 뜻한다.
2. 분할의 오류
어떤 것을 나누어 쪼개 놓아도 그와 똑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으리라 생각하는 것은 오류이다. 이러한 오류를 ‘분할의 오류’라고 한다. 여기서 ‘분할’이란 ‘나누어 쪼갬’이라는 뜻이다.
3. 결합의 오류
부분을 몽땅 합해 놓으면 그와 똑같은 성질을 가진 것이 되리라 생각하는 오류를 ‘결합의 오류’라고 한다. ‘결합’이란 ‘모아서 하나로 묶는다.’는 뜻이다.
4. 말 앞에 수레 놓는 오류
앞뒤 순서를 바꾸는 오류이다.
5. 흑백 사고의 오류
“이것이 아니면 저것이다.”는 식으로 하는 생각을 ‘흑백 사고’라고 한다. 이처럼 두 가지로 딱 갈라서 판단함으로써 생기는 오류를 ‘흑백 사고의 오류’라고 한다.
6.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어떤 특별한 경우에만 맞는 판단을 때와 장소를 가릴 것 없이 두루 맞는 판단이라고 여기는 오류이다.
‘일반’은 ‘두루 맞음’이라는 뜻. ‘일반화’는 ‘두루 맞는 것으로 만든다.’라는 뜻이다.
7. 원칙 혼동의 오류
먼저 지켜야 할 원칙과 그에 뒤따라 지켜야 할 원칙을 혼동하여 원칙을 잘못 따를 때 생기는 오류이다.
여러 가지 원칙 가운데에는 먼저 지켜야 할 원칙과 그에 뒤따라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 그리고 그 때의 조건에 가장 알맞은 원칙이 가장 먼저 지켜야 할 원칙이다.
8. 거짓 원인의 오류
원인을 잘못 판단했을 때 생기는 오류이다.
9. 피장파장의 오류
‘피장파장’이란 ‘서로 마찬가지’라는 뜻이다.
“저것이 이러저러하니, 이것도 이러저러하다”는 식으로 마찬가지인 다른 것을 근거로 삼아 어떤 결론을 끌어 낼 때 생기는 오류가 ‘피장파장의 오류’이다.
“너도 잘못했으니 나도 잘못해도 된다.”는 식의 주장은 하지 말기로 하자. 그건 ‘너’와 ‘나’를 함께 잘못된 길로 빠지게 할 아주 위험한 주장이니까.
Ⅶ. 논리와 논증
1. 정의
진리임이 이미 확증된 명제에 근거하여 어떤 명제가 진리라는 것을 증명하는 사유 과정.
2. 논증의 구성 요건
1) 논제
논증에 의하여 그 진리성이 밝혀져야 하는 명제.
2) 논거
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제
3) 논증
일정한 근거(논거)를 가지고 어떤 명제의 진리성 여부를 확증하는 것.
3. 논증의 방식
1) 추리 형식
①연역적 논증
연역 추리의 형식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논증.
논제는 특수한 경우의 판단이고 논거가 일반적 원리.
②귀납적 논증
귀납추리의 형식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논증.
논제가 일반적 원리의 판단이고 논거가 특수한 경우.
2) 논증 방식
①직접적 논증
논증, 논거의 진리성에 근거하여 직접 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는 논증.
②간접적 논증
논제와 모순되는 명제의 거짓을 논증함으로써 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는 논증.
- 선언적 논증 : 논제와 배타적 관계에 있는 판단들이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확증함으로써 논제의 진리성을 논증하는 것.
- 귀류적 논증 : 논제와 대립 관계에 있는 판단이 거짓임을 확증함으로써 논제의 논제의 진리성을 논증하는 것.
4. 논증의 규칙
1) 논제의 규칙
①논제가 반드시 명확하고 확정적이어야 한다.
②논제가 반드시 논증의 전 과정에서 시종일관 동일한 것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2) 논거의 규칙
①논거는 반드시 그 자체가 진리이어야 한다.
②논거는 반드시 논제의 충족한 이유가 되어야 한다.
③논거의 진리성이 논제에 의해 증명된 것이어야 한다.
Ⅷ. 논리의 타당성
타당성 : 전제가 참이면 결론도 반드시 참인 논증
전제들이 모두 참고 결론이 거짓인 경우는 불가능한 경우
= 반례가 불가능한 논증
▣ 반례 : 전제는 참인데 결론은 거짓이 되는 경우 (‘~ 경우’ 끝을 맺어야 한다.)
예) 수험생은 100명이다.(T)
∴ 답안지도 100장이다.(F)
→ 반례 : 안내는 사람이 있는 경우, 2장 이상 내는 사람이 있는 경우
▣ 불가능
(1) 현실적인 어려움을 표시하는 경우
(2) 자연법칙에 위배되는 경우(법칙적 불가능성)
(3) 사상조차 할 수 없는 경우 = 모순을 범하는 경우 ☜ 논리적 불가능성
참고문헌
김태성(2004), 신 부재논리의 타당성 고찰,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지구촌선교신학연구소
배종수(1991), 논리와 추론 교육에 대한 고찰, 서울교육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
박준호(2003), 논리와 논증의 이해, 한국문화사
손창민(2006), 논리구조를 이용한 구조적 프로그램 생성 방법, 대구미래대학
신승철(2004), 양상 논리의 이해, 한국정보과학회
에드워드 데이머 외 1 명(2010), 논리의 오류, 중원문화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7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