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소설가][시인]이상(소설가, 시인)의 생애, 이상(소설가, 시인)의 의식, 이상(소설가, 시인)의 언어, 이상(소설가, 시인)의 소설관, 이상(소설가, 시인)의 소설구조, 이상(소설가, 시인)의 작품 지주회시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상][소설가][시인]이상(소설가, 시인)의 생애, 이상(소설가, 시인)의 의식, 이상(소설가, 시인)의 언어, 이상(소설가, 시인)의 소설관, 이상(소설가, 시인)의 소설구조, 이상(소설가, 시인)의 작품 지주회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이상(소설가, 시인)의 생애
1. 1910(1세) 9월23일(음력 8월20일)
2. 1912(3세)
3. 1917(8세) 4월
4. 1921(12세) 3월
5. 1924(15세)
6. 1926(17세) 3월 5일
7. 1929(20세) 3월
8. 1931(22세) 7월
9. 1932(23세)
10. 1933(24세) 3월
11. 1934(25세)
12. 1935(26세)
13. 1936(27세) 3월
14. 1937(28세) 2월
15. 1939

Ⅲ. 이상(소설가, 시인)의 의식

Ⅳ. 이상(소설가, 시인)의 언어

Ⅴ. 이상(소설가, 시인)의 소설관

Ⅵ. 이상(소설가, 시인)의 소설구조

Ⅶ. 이상(소설가, 시인)의 작품 지주회시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신의 생애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 자기 스스로 작중의 인물이 되어 자신의 삶을 타인이 알아줄 것을 강요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 작품에 나오는바 동거하는 아내에게 맞는 이 이야기는 날개에서 좀 더 자세히 서술되고 있다. 날개의 나는 장지문으로 분할된 방에서 아내와 각방을 쓰며 지내는데, 독자들은 아내의 직업이 남자를 상대하는 매소부임을 짐작하게 하면서, 자신은 아내의 직업을 모르고 있다. ‘나’는 어느 날 외출하고 왔다가 아내가 하는 일을 직접 목격하게 되자 아내는 ‘나’를 마구 구타한다. 아내의 출분과 귀가에 고민하는 모습은 봉별기나 날개 외에도 지주회시와 환시기에서도 중요한 내용으로 등장한다. 이에 반해 종생기, 동해, 단발, 실화 등에서는 부정한 여인과 관계를 맺고 있는 ‘나’의 고민과 여인들의 배신이 중요한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태에 대한 ‘나’의 반응은 심각하면서 또한 희극적으로 처리되고 있을 뿐이다.
여인의 부정과 배신은 이상 소설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이상의 작품들은 동일한 소재의 반복적 서술이라는 느낌을 강하게 준다. 이상 소설에 등장하는 여인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부정을 감추지만 결국 비밀은 밝혀지고 ‘나’는 충격을 받는다. 그러나 이를 서술하는 ‘나’의 자세는 타인의 그것을 말하듯 담담할 뿐이다. 일상적이지 않는 개인적인 체험을 소재로 하여 이야기하면서 오히려 담담함을 가장하고 있는 것이다.
종생기에서의 ‘나’는 일상생활 하나하나에서 계산된 행동을 하여 그것을 타인들에게 보여준다.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타인과는 다른 기이한 행동을 하고 그를 통해 자신을 감춘다는, 즉 자신의 삶 자체가 타인을 속이기 위해 계산된 것이라는 이러한 진술은 자신의 소설에서 자신의 실제 모습을 드러내는 의미를 짐작하게 해준다.
이상의 소설을 읽으면서 독자들은 이상의 실제 모습을 읽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독자들이 그의 작품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철저한 의도에 따른 결과로서의 ‘나’의 모습일 뿐이다. 이상은 독자들이 작중 인물과 작가를 동일한 인물로 느끼게 하기 위해 작중 인물의 행적과 자신의 행적을 일치 시켜 작중 인물이 작가 자신임을 의도적으로 강조한다. 위의 인용에서 보듯이 이상이라는 이름을 작품의 도처에서 사용하여 더 심하게는 작품 속의 ‘나’를 실제 인물로서의 작가 이상과 동일한 인물로 보아 줄 것을 강요하기도 한다.
이상 소설에 있어서 사소설적인 형식은 이를 통하여 삶의 전 모습과 내밀한 부분까지를 드러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창작방식은 작가의 삶이 독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다분히 작가 우월주의적인 의식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이 활약하던 시기에 모더니즘 계열에 속하는 작가들은 자신을 소설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당대 사회라든가 역사에 대한 관심이 봉쇄된 시기에 그들은 소위 심리주의라는 새로운 소설 창작 방법을 알게 된 것이었으며, 그들이 인간의 내면심리를 가장 완전하게 포착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을 제재를 할 때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작가 자신의 일상적 삶을 소설화 하는 방식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상 소설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것은 나태하고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한 인물, 부정한 여인, 아내의 출분 등으로 한정되어 동어반복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그의 소설에서 우리가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은 그의 소설에 나타난 기법적인 실험정신이다. 그의 소설은 한 인물의 내면을 분석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사건이 지니는 중후함이나 새로움을 통해 독자들에게 무언가를 전달해 주기보다는 작가 자신을 주인공으로 하여 삶의 모습을 그대로 노출시키고 그에 따른 인물의 내면을 철저히 분석한다. 한 인물의 내면세계를 드러내는 것이 소설이라면 이에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자신이 작품의 소재가 되는 것이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상은 1930년대 문학의 한 경향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그는 리얼리즘의 전통이 약화되고 모더니즘의 소설이 유행하는 이 시기에 독특한 창작 방법으로 작중 인물의 내면을 그려 심리소설을 실험하였다. 그의 이러한 내면심리 묘사의 실험정신은 그 자체로서 완결을 이룬 것은 아니겠으나 이후 우리 소설사에 미친 영향은 적지 않다.
Ⅵ. 이상(소설가, 시인)의 소설구조
이상의 소설 텍스트를 크게 구분 짓는다면 그 구조를 형성하는 영역을 도입부의 에피그램, 직접적인 대화 영역, 그리고 그것을 해석하는 내적 발화 영역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구분은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고 에피그램은 텍스트 부분 부분에서 내적 발화 전체 영역에 삼투되어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여기서 이와 같이 구분하고자 하는 것은 텍스트 내 ‘나’의 의식이 투영되어 나타난 부분의 내면 표출과 에피그램의 외적 세계에 대한 발화가 가지는 외부 세계와의 소통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에피그램이 제시되는 부분과 내적 발화는 그 주어진 형태의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확연히 변별된다고 할 수 있는데, 내적 발화가 텍스트 내 구성 요소로 구조적으로 대화 부분과 연관되며 그로 인해 텍스트를 구성하는 요인이라면 이 에피그램 부분은 언제나 텍스트에 이질적으로 접해 있으며 해석의 코드로 제시되는 외부성의 한 측면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적으로 에피그램은 그 내적 성격상 텍스트 내부에서 발화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전체를 구조화하는 것으로서 항상 메타적인 층위에서 발화되는 것이다. 먼저 이 에피그램에 대해서 말해 보기로 하자.
肉身이 흐느적흐느적하도록 疲勞했을 때만 精神이 銀貨처럼 맑소. 니코틴이 내 蛔ㅅ배 앓는 뱃속으로 스미면 머리 속에 으레히 白紙가 準備되는 법이오. 그 위에다 나는 위트와 파라독스를 바둑布石처럼 늘어놓소. 可憎할 常識의 病이오.
나는 또 女人과 生活을 設計하오. 戀愛技法에마저 서먹서먹해진, 知性의 極致를 흘깃 좀 들여다 본 일이 있는 말하자면 一種의 精神奔逸者말이오. 이런 女人의 半-그것은 온갖 것의 半이오-만을 領愛하는 生活을 設計한다는 말이오. 그런 生活 속에 한 발만 들여놓고 恰似 두 개의 太陽처럼 마주 쳐다보면서 낄낄거리는 것이오. 나는 아마 어지간히 人生의 諸行이 싱거워서 견딜 수가 없게끔 되고 그만둔 모양이오.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