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로봇보일러][귀뚜라미보일러][콘덴싱보일러][삼광수기]보일러의 종류, 보일러의 현상, 보일러의 업계현황, 보일러와 로봇보일러, 보일러와 귀뚜라미보일러, 보일러와 콘덴싱보일러, 보일러와 삼광수기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일러][로봇보일러][귀뚜라미보일러][콘덴싱보일러][삼광수기]보일러의 종류, 보일러의 현상, 보일러의 업계현황, 보일러와 로봇보일러, 보일러와 귀뚜라미보일러, 보일러와 콘덴싱보일러, 보일러와 삼광수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보일러의 종류
1. 노통(爐筒)보일러
1) 이점
2) 결점
2. 연관보일러
3. 혼식(混式)보일러
4. 수관보일러
1) 횡수관보일러(horzontally inclined water-tube boiler)
2) 입수관 보일러(vertically-inclined water-tube boiler)
3) 복사보일러
4) 특수 수관보일러

Ⅲ. 보일러의 현상
1. 프라이밍(priming : 비수작용)
2. 포오밍(forming : 거품작용)
3. 캐리오버현상(carry over : 기수 공발 현상)
4. 수격 작용(water hammering : 워터 해머)

Ⅳ. 보일러의 업계현황
1. 중공업 3사간의 발전설비 통합작업
2. 산업환경정보 제58호('99.8.31)
3. 대한상공회의소의 열사용기자재관리규칙 중 개정령

Ⅴ. 보일러와 로보트보일러

Ⅵ. 보일러와 귀뚜라미보일러

Ⅶ. 보일러와 콘덴싱보일러
1. 콘덴싱이란 무엇인가
1) 사전적 의미
2) 기술적 의미
2. 경동콘덴싱 보일러의 기술력
1) 콘덴싱의 본고장 유럽에 수출하는 경동 콘덴싱
2) 친환경 경동 콘덴싱
3) Sately경동 콘덴싱
4) Well-being경동 콘덴싱

Ⅷ. 보일러와 삼광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오랜 시간과 노력 , 비용을 들여 축적한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에 발을 내디딘 지금, 20여 년 축적한 기술노하우들이 너무도 쉽게 중국 등 외국사에 카피돼 국내업체들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국내업체들의 책임이 크다.
중국시장 내에서의 무분별한 과당경쟁 등도 한 요인일 것이며 갖춰지지 않은 수출마인드도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작금의 수준을 이룬 기술이 너무도 허망하게 누수 되어 국내업체들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상황을 막으려는 노력이 시급한 현실이다. 주 철제 보일러를 중국에 10여 년 이상 보급하던 독일의 한 업체는 경쟁력 있는 한국업체 등의 중국진출이 가시화 되면서 중국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자 주 철제 보일러에 대한 기술이전을 추진하는 등 우리와는 다른 모습의 전략을 보이고 있다. 국내업체들은 중국진출 불과 2년 남짓 된 상황에서 수출제품의 기술이 중국 내에 만연되는 결과를 만들고 있는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물론 일부업체 관계자들이 지적하듯이 제품의 질은 제대로 된 제품보다 떨어질 것이다. 그러나 특정제품이중국내에서 시장경쟁력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가격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는 일임을 주지할 때 \'공든 탑이 무너지랴\' 라는 속담이 꼭 그대로 적용될 지는 의문인 것이다.
Ⅱ. 보일러의 종류
1. 노통(爐筒)보일러
노로부터의 열 손실이 적어서 좋은 노의 크기, 즉, 화격자면적 및 화격자 위의 연소실 용적이 보일러본체의 크기에 따라 제한되는 결점이 있다. 형체가 큰 것과 구조가 간단하다.
1) 이점
①보일러 내부의 소제(掃除)와 점검(點檢)이 용이하고, 따라서 고장이 적고 수명(壽命)이 길다.
②보일러 수실이 크고, 따라서 보유열량이 크므로, 즉 수요(需要)의 변동에 대해압력 변동이 적다.
2) 결점
① 구조부분이 강직(剛直)하므로 열응력(熱應力)이 발생하기 쉽다.
②보일러수가 많으며, 순환이 불충분하므로, 처음 불을 지필 때 많은 석탄과 시간(6~8)을 요한다.
③ 만일에 보일러 파열이 일어나면 위험성이 크다.
④ 상응압력을 크게 할 수 없다.
⑤ 증발량이 적다.
2. 연관보일러
연관보일러를 노통보일러와 비교
① 설치(設置)면적(또는 기초면적)이 적음에 비하여 일정체적에서 얻을 수 있는 전열면적, 따라서 증발용량(蒸發容量)이 비교적 크다.
② 보일러를 시동시키는 에 요하는 시간이 비교적 적다.(3~4시간)
③ 외화관(外火關)이므로, 외설로(外設爐,external furnace)를 연료의 성질에 맞는 크기로 취할 수 있다.
④ 동이 노의 불(火)에 직접 노출되므로 동판이 과열되어 손상되기 쉽고, 불균일한 가열을 피하기 위해 비교적 엷은 동판을 사용하므로 상용압력과 증발용량이 제한된다.
⑤ 보일러내의 소제가 곤란하므로, 비교적 양질(良質)의 급수를 사용해야 한다.
3. 혼식(混式)보일러
노통보일러와 연관보일러와를 조합하여 서로의 장점을 이용하는 것이며, 노를 보일러본체 내에 넣어 내화보일러로 하므로, 보일러 설치가 매우 간편해지며, 또 연관을 배치함으로써 전열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내부소제는 곤란하나 널리 사용되며, 그 용도(用途)에 따라 각종 형식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는 케와니 보일러, 기관차보일러, 선박용(船舶用)원동보일러 및 입형(立形)보일러 등이 있다.
① 케와니 보일러(Kewanee boiler) - 공장용보일러로 많이 사용. 효율이 높다.
② 기관차보일러(locomotive boiler) - 철도운전상 매우 신뢰성이 있고, 그 부하능력(負荷能力,증발량)이 매우 크며, 보유수량이 과히 크지 않으므로 가열이 빠르다.
③ 박용 원동(舶用圓胴)보일러(marine cylindrical boiler) - 상선(商船)용으로 많이 사용되나, 보일러수 순환이 불충분하고 전열면 1m2당의 중량이 크고 연소실 주위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소제가 곤란하며 또한 고장이 생기기 쉬운 결점 등이 있다.
④ 입형(立形)보일러(vertical boiler) - 특징은 보일러의 저면적(底面積)이 적은것. 화실을 가지고 있어, 설치가 간편한 것. 증기 발생이 빠른것. 설비비가 적은것. 결점으로는 열효율이 낮은것 (60%이하), 과부하(過負荷)능력이 적은 것.
4. 수관보일러
원동보일러에 비하여 고압증기를 만드는 데 적합함은 물론이고, 주요 전열면이 수관인 까닭으로 일정한 장소에서 넓은 전열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 기포를 포함하는 물, 즉 시수혼합물(氣水混合物)의 상승통로가 될 승수관(昇水官,upriser tube)과 증발수관에의 송수로(送水路)가 될 강수관(降水官,downcomer tube)이 증발수관과 증기동과를 연락하여 일정한 순환로(循環路)를 형성화므로 보일러수의 규칙적인 자연순환을 마련하여 전열을 개선하고, 전열면의 단위 면적당의 증발량을 매우 높일 수 있다.
노의 형태를 거의 자유로 정할 수 있으므로 각종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반면, 구조가 복잡해지고, 특히 고압이 될수록 급수에는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1) 횡수관보일러(horzontally inclined water-tube boiler)
보일러의 수관은 모두 직관(直觀)이며, 그 경사는 보통 수평에 대하여 10~15˚최대 45˚이다.
2) 입수관 보일러(vertically-inclined water-tube boiler)
수관경사는 45˚이상 90˚까지이며, 수관의 상단이 증기동에, 하단이 수동(水胴)에 직접 연락된다.
3) 복사보일러
ⓐ미분탄(微粉炭)연소의 발달로, 처음에 노벽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 됐던 수냉노벽(水冷爐壁)이 극히 유효한 복사전열면이 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연소실벽을 되도록 완전이 수냉벽관으로 덮으며, 따라서 종래의 접촉전열면이 될 수관군이 감소되고, 보일러본체의 전열면의 주요부가 이 수냉노벽으로 되는 복사전열면으로 옮겨져 간다.
ⓑ 증발률은 대류전열의 경우에 비하여 매우 높아지며 따라서 보일러는 고능력화(高能力化)된다. 또한 대류전열면에서와 같은 통풍손실을 가져오지 않는다.
4) 특수 수관보일러
ⓐ 강제순환(强制循環)보일러(forced circulation boiler)
㉠ 라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7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