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당
Ⅲ. 이탈리아 공산당의 조직원칙
Ⅳ. 이탈리아 공산당과 노동자
1. 그들의 실천은 ‘노동자 국가’(프롤레타리아트 독재)가 무엇인가 하는 점을 아주 정확하게 보여주었다
2. 러시아의 혁명적 노동자들의 실천은 ‘공산주의에 이르는 길’에서 사회주의가 마주치게 될 난관들, 그리고 이 난관들을 돌파하는 데서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계급투쟁 능력’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Ⅴ. 이탈리아 공산당과 공천제도
참고문헌
Ⅱ.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당
Ⅲ. 이탈리아 공산당의 조직원칙
Ⅳ. 이탈리아 공산당과 노동자
1. 그들의 실천은 ‘노동자 국가’(프롤레타리아트 독재)가 무엇인가 하는 점을 아주 정확하게 보여주었다
2. 러시아의 혁명적 노동자들의 실천은 ‘공산주의에 이르는 길’에서 사회주의가 마주치게 될 난관들, 그리고 이 난관들을 돌파하는 데서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계급투쟁 능력’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Ⅴ. 이탈리아 공산당과 공천제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리고 이 난관들을 돌파하는 데서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계급투쟁 능력’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한마디로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로 도약하는 이행기’의 계급투쟁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이는 사회주의를 구체화시키는 것이었다. 비록 스탈린 반혁명에 패배하고 말았지만, 러시아의 혁명적 노동자들의 경험을 통해 공산주의를 향한 첨예한 계급 투쟁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사회주의 이행기의 계급투쟁의 양상들이 명료하게 드러났다. 경제적, 정치적, 이데올로기 투쟁만이 아니라 문화 투쟁이 갖는 결정적 의의가 부각되었다. 여기서 문화 투쟁이란 노동자계급이 국가와 사회를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체계적으로 고양시키는 것, 관료주의나 여성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 민족적 억압 등등의 부르주아적 오염물을 말끔히 제거하는 것 등을 뜻한다.
특히 중요하게 부각된 점은 혁명 이후에도 노동자계급은 자기 내부로 스며드는 부르주아적 요소에 맞선 단호한 투쟁에 철저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만일 이 투쟁에서 투철하지 못하다면 결국 부르주아적 요소에 잠식되고 만다는 사실이었다. 관료주의는 노동자 운동 내부로 스며든 부르주아적 요소의 표현이다. 이는 단지 노동자 국가에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노동자 당(볼셰비키 당) 자신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다음이 근본 문제로 떠올랐다. 그것은 “노동자 당”이 미래 공산주의의 세포로 단호하게 기능해야 한다는 사실이었다. 만일 새로운 사회의 건설을 주도하는 노동자 당이 ‘공산주의적 조직’으로 우뚝 서지 못한다면 노동자계급은 공산주의로 안내하는 지도자가 없기에 결국 부르주아적 요소에 굴복할 수밖에 없으며, 최소한 공산주의를 향한 일관된 발걸음을 내딛지 못한 채 방황하다가 붕괴될 수밖에 없었다.
Ⅴ. 이탈리아 공산당과 공천제도
당해 선거구에 존재하는 모든 당 조직은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다.
지방(comune)의회 후보자 명부는 지부회의의 관찰과 제안을 기초로 하여 시읍면위원회가 최종작성하여 연합위원회와 연합통제위원회의 합동회의에서 승인된다.
현(provincia)의회 후보자 명부는 당해 선거구의 지부위원회의 집회에서 작성승인되며, 현 전체의 명부가 다시 연합위원회와 연합통제위원회의 합동회의에서 승인된다.
주의회 후보자 명부는 연합위원회가 선출하고 주위원회 또는, 주위원회가 없는 경우는 중앙위원회가 승인한다.
국회의 상하원 후보자 명부는 연합위원회가 선출하여 연합대표회의에서 최종작성하며 중앙위원회 또는 중앙통제위원회가 승인한다.
참고자료
김동훈(1976), 이탈리아 공산당 어디로 갈 것인가, 세대사
권형기(1991), 공산당 조직원리의 변화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탈리아 공산주의재건당(2002), 개방과 혁신: 사회를 바꾸기 위해 우리 자신부터 바꾸자, 이론과 실천, 2002
이혁(1990), 이탈리아공산당의 구조개혁론, 성균관대학교
페리 앤더슨(1995), 안토니오 그람시의 단층들, 갈무리
홍민희(2000), 이탈리아 공산당의 전환 : 좌파민주당으로의 정당조직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마디로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로 도약하는 이행기’의 계급투쟁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이는 사회주의를 구체화시키는 것이었다. 비록 스탈린 반혁명에 패배하고 말았지만, 러시아의 혁명적 노동자들의 경험을 통해 공산주의를 향한 첨예한 계급 투쟁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사회주의 이행기의 계급투쟁의 양상들이 명료하게 드러났다. 경제적, 정치적, 이데올로기 투쟁만이 아니라 문화 투쟁이 갖는 결정적 의의가 부각되었다. 여기서 문화 투쟁이란 노동자계급이 국가와 사회를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체계적으로 고양시키는 것, 관료주의나 여성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 민족적 억압 등등의 부르주아적 오염물을 말끔히 제거하는 것 등을 뜻한다.
특히 중요하게 부각된 점은 혁명 이후에도 노동자계급은 자기 내부로 스며드는 부르주아적 요소에 맞선 단호한 투쟁에 철저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만일 이 투쟁에서 투철하지 못하다면 결국 부르주아적 요소에 잠식되고 만다는 사실이었다. 관료주의는 노동자 운동 내부로 스며든 부르주아적 요소의 표현이다. 이는 단지 노동자 국가에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노동자 당(볼셰비키 당) 자신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다음이 근본 문제로 떠올랐다. 그것은 “노동자 당”이 미래 공산주의의 세포로 단호하게 기능해야 한다는 사실이었다. 만일 새로운 사회의 건설을 주도하는 노동자 당이 ‘공산주의적 조직’으로 우뚝 서지 못한다면 노동자계급은 공산주의로 안내하는 지도자가 없기에 결국 부르주아적 요소에 굴복할 수밖에 없으며, 최소한 공산주의를 향한 일관된 발걸음을 내딛지 못한 채 방황하다가 붕괴될 수밖에 없었다.
Ⅴ. 이탈리아 공산당과 공천제도
당해 선거구에 존재하는 모든 당 조직은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다.
지방(comune)의회 후보자 명부는 지부회의의 관찰과 제안을 기초로 하여 시읍면위원회가 최종작성하여 연합위원회와 연합통제위원회의 합동회의에서 승인된다.
현(provincia)의회 후보자 명부는 당해 선거구의 지부위원회의 집회에서 작성승인되며, 현 전체의 명부가 다시 연합위원회와 연합통제위원회의 합동회의에서 승인된다.
주의회 후보자 명부는 연합위원회가 선출하고 주위원회 또는, 주위원회가 없는 경우는 중앙위원회가 승인한다.
국회의 상하원 후보자 명부는 연합위원회가 선출하여 연합대표회의에서 최종작성하며 중앙위원회 또는 중앙통제위원회가 승인한다.
참고자료
김동훈(1976), 이탈리아 공산당 어디로 갈 것인가, 세대사
권형기(1991), 공산당 조직원리의 변화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탈리아 공산주의재건당(2002), 개방과 혁신: 사회를 바꾸기 위해 우리 자신부터 바꾸자, 이론과 실천, 2002
이혁(1990), 이탈리아공산당의 구조개혁론, 성균관대학교
페리 앤더슨(1995), 안토니오 그람시의 단층들, 갈무리
홍민희(2000), 이탈리아 공산당의 전환 : 좌파민주당으로의 정당조직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