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논과 논농사
Ⅲ. 논과 논토양
Ⅳ. 논과 논가격
Ⅴ. 논과 농업노동요
참고문헌
Ⅱ. 논과 논농사
Ⅲ. 논과 논토양
Ⅳ. 논과 논가격
Ⅴ. 논과 농업노동요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논 가격의 경우 서로 다른 시기에 서로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등급의 논 가격 정보가 분산적으로 존재한다. 이런 형태의 자료로부터 전국 평균 논 가격이 어떻게 변해갔는지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연도별로 이용 가능한 농지가격을 단순 평균을 계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경기도와 충청도의 비중이 압도적이므로 단순평균치는 이 지역에서의 토지 가격 변화를 주로 반영하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매년 관찰 지역의 분포가 바뀐다면 이는 다음과 같은 偏倚(bias)를 발생시킬 것이다. 가령 어떤 도의 논 가격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편이라면 그 도에 위치한 필지에 대한 기록이 많은 해에 대한 단순 평균치는 실제의 전국 평균치를 웃돌 가능성이 많다.
이런 문제를 피하는 간단한 방법은 우선 도별로 평균 논 값을 계산한 뒤 이를 가중 평균해서 전국 논가를 계산하는 것이다. 18세기 초부터 당오전 주조가 시작되는 1883년까지 도별 연도별 평균 명목 논가 논가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황해도의 명목 논가가 다른 지역에 비해 두드러지게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사이에 논 가격의 커다란 격차는 보이지 않으며 장기적 변화추세도 비슷하다. 즉 모든 도에서 명목 논가는 18세기 후반 동안 완만히 상승한 후 19세기 전반에는 안정되었다가 후반 들어 빠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논과 농업노동요
농업노동요는 농업과 관련된 노동에서 부르는 소리이다. 우리나라 농업노동요는 각 지역의 특색을 잘 반영하고 있으면서 종류 또한 다양하고 풍부하여 한국민요의 꽃이라 할 수 있다.
농사에 따른 소리는 크게 논농사 소리와 밭농사 소리로 나뉠 수 있다. 전국적으로 보았을 때, 논농사 소리가 밭농사 소리 보다 훨씬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지만 지역적인 특성으로 제주도는 논농사와 관련된 소리는 거의 찾을 수 없고 밭농사와 관련된 소리들이 주류를 이룬다.
논농사와 관련된 소리는 논가는 소리, 논삶는 소리, 모찌는 소리, 모심는 소리, 논매는 소리, 벼베는 소리, 벼타작소리, 말질하는 소리, 물푸는 소리 등 각각의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논농사는 4월경에 논을 가는 쟁기질에서 시작하여 논의 한 부분에다 볍씨를 뿌려서 모자리를 만들고, 5월의 소만 무렵에는 산에서 비료로 사용할 갈나무순을 꺾어다 논에 넣고 다시 갈아서 섞었다. 이때 불려지는 소리로는 논가는 소리와 산에서 갈짐을 지고 내려오면서 부르는 ‘갈짐지고 오는 소리’가 있다. 논을 갈아 놓은 다음에는 6월경에 일정하게 자란 모를 뽑아서 모든 논으로 옮겨심게 되는데 이때 부르는 소리가 모를 뽑을 때 부르는 모찌는 소리와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모심는 소리이다. 모를 심고 약 20일이 지나면 김매기를 시작한다. 이 경우 처음 매는 초벌매기를 한 다음에 약 7일이 지나면 두벌매기를 한다. 그리고 두벌 김이 끝나면 바로 이어서 세벌 김을 맨다. 따라서 논은 모두 세 번을 매며 이 일은 대부분 8월 이전에 모두 끝이 난다. 초벌이나 두벌김을 맬 때는 호미를 사용하거나 또는 손으로 매게 되는데 이것은 각 지역의 지질에 의해서 조금씩 달라진다. 그리고 세벌 김은 대부분의 지역이 손으로 풀을 뜯어주거나 논을 훔쳐주기만 한다. 논을 매면서 부르는 소리는 초벌, 두벌, 세벌 김에 따르는 소리가 각각 따로 있어서 다른 논농사 소리보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논매기가 끝나고 가을에 추수를 할 때는 논에서 벼를 베면서 부르는 소리가 있고, 볏단을 운반하거나 쌓으면서 부르는 소리가 있다. 그리고 타작소리는 볏단을 나무토막이나 돌에다 때려서 터는 태질 소리가 대표적이다. 다음은 털어 놓은 나락(벼 알맹이)의 검불을 날리면서 하는 검불 날리는 소리와 나락을 말로 되면서 수를 세는 말질하는 소리가 있다. 이외에도 비가 오지 않을 때 마른논에다 물을 퍼서 넣으며 부르는 ‘파래소리’가 있다.
참고문헌
◈ 김명숙 외 17명, 논토양의 화학성과 질의 장기 변동,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 박상원 외 7명, 우리나라 논 토양 중 수은함량과 벼 흡수이행,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8
◈ 서동균, 논농사 국토·환경 보전기능의 사회경제적 평가, 농촌진흥청, 2001
◈ 이동훈, 농업노동요의 담화체계 연구, 동아대학교, 2001
◈ 이우연, 19세기 농업생산성의 하락과 임야 소유권, 한국의 장기경제통계, 2003
◈ 차명수 외 1명, 우리 나라의 논가격 및 생산성, 1700년-2000년, 경제사학회, 2004
이런 문제를 피하는 간단한 방법은 우선 도별로 평균 논 값을 계산한 뒤 이를 가중 평균해서 전국 논가를 계산하는 것이다. 18세기 초부터 당오전 주조가 시작되는 1883년까지 도별 연도별 평균 명목 논가 논가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황해도의 명목 논가가 다른 지역에 비해 두드러지게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사이에 논 가격의 커다란 격차는 보이지 않으며 장기적 변화추세도 비슷하다. 즉 모든 도에서 명목 논가는 18세기 후반 동안 완만히 상승한 후 19세기 전반에는 안정되었다가 후반 들어 빠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논과 농업노동요
농업노동요는 농업과 관련된 노동에서 부르는 소리이다. 우리나라 농업노동요는 각 지역의 특색을 잘 반영하고 있으면서 종류 또한 다양하고 풍부하여 한국민요의 꽃이라 할 수 있다.
농사에 따른 소리는 크게 논농사 소리와 밭농사 소리로 나뉠 수 있다. 전국적으로 보았을 때, 논농사 소리가 밭농사 소리 보다 훨씬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지만 지역적인 특성으로 제주도는 논농사와 관련된 소리는 거의 찾을 수 없고 밭농사와 관련된 소리들이 주류를 이룬다.
논농사와 관련된 소리는 논가는 소리, 논삶는 소리, 모찌는 소리, 모심는 소리, 논매는 소리, 벼베는 소리, 벼타작소리, 말질하는 소리, 물푸는 소리 등 각각의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논농사는 4월경에 논을 가는 쟁기질에서 시작하여 논의 한 부분에다 볍씨를 뿌려서 모자리를 만들고, 5월의 소만 무렵에는 산에서 비료로 사용할 갈나무순을 꺾어다 논에 넣고 다시 갈아서 섞었다. 이때 불려지는 소리로는 논가는 소리와 산에서 갈짐을 지고 내려오면서 부르는 ‘갈짐지고 오는 소리’가 있다. 논을 갈아 놓은 다음에는 6월경에 일정하게 자란 모를 뽑아서 모든 논으로 옮겨심게 되는데 이때 부르는 소리가 모를 뽑을 때 부르는 모찌는 소리와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모심는 소리이다. 모를 심고 약 20일이 지나면 김매기를 시작한다. 이 경우 처음 매는 초벌매기를 한 다음에 약 7일이 지나면 두벌매기를 한다. 그리고 두벌 김이 끝나면 바로 이어서 세벌 김을 맨다. 따라서 논은 모두 세 번을 매며 이 일은 대부분 8월 이전에 모두 끝이 난다. 초벌이나 두벌김을 맬 때는 호미를 사용하거나 또는 손으로 매게 되는데 이것은 각 지역의 지질에 의해서 조금씩 달라진다. 그리고 세벌 김은 대부분의 지역이 손으로 풀을 뜯어주거나 논을 훔쳐주기만 한다. 논을 매면서 부르는 소리는 초벌, 두벌, 세벌 김에 따르는 소리가 각각 따로 있어서 다른 논농사 소리보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논매기가 끝나고 가을에 추수를 할 때는 논에서 벼를 베면서 부르는 소리가 있고, 볏단을 운반하거나 쌓으면서 부르는 소리가 있다. 그리고 타작소리는 볏단을 나무토막이나 돌에다 때려서 터는 태질 소리가 대표적이다. 다음은 털어 놓은 나락(벼 알맹이)의 검불을 날리면서 하는 검불 날리는 소리와 나락을 말로 되면서 수를 세는 말질하는 소리가 있다. 이외에도 비가 오지 않을 때 마른논에다 물을 퍼서 넣으며 부르는 ‘파래소리’가 있다.
참고문헌
◈ 김명숙 외 17명, 논토양의 화학성과 질의 장기 변동,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 박상원 외 7명, 우리나라 논 토양 중 수은함량과 벼 흡수이행,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8
◈ 서동균, 논농사 국토·환경 보전기능의 사회경제적 평가, 농촌진흥청, 2001
◈ 이동훈, 농업노동요의 담화체계 연구, 동아대학교, 2001
◈ 이우연, 19세기 농업생산성의 하락과 임야 소유권, 한국의 장기경제통계, 2003
◈ 차명수 외 1명, 우리 나라의 논가격 및 생산성, 1700년-2000년, 경제사학회, 2004
추천자료
한국농업의 문제점과 그해결방안 (농업경제 농업경영
농업 보호 정책의 정치 경제학적 접근 - 우리는 왜 농업을 보호할까?
[친환경농업]세계각국 유기농업의 전개와 우리나라 친환경농업과 유통에의 교훈
[북한 교육][북한 교육제도][북한 산업화][북한 산업구조조정][북한 농업][북한 농업구조개혁...
[농업기술자][건축기술자][건축설계기술자][네온사인]농업기술자(농업기술자 직업특성), 건축...
[한국사회문제E형] 한EU, 한미FTA로 인한 농업분야피해 최소화방안-FTA농업피해최소화방안, F...
A+<한국의 농업의 현실과 농업발전필요성> - 한국의농업새로운농정구상-
[중국][생산][중국 농업 생산성][중국 국유기업 생산성][중국 2차산업 생산성][중국 능금 생...
[생산][제조업생산][기업생산][어업생산][농업생산][산업생산][공공재생산][제조업][기업][어...
[여성능력][여성능력 의의][여성능력 정보화시대][여성능력 농업경영][여성능력 제도]여성능...
일본농업의 이해 및 일본 축산업 브랜드의 성공요인 [일본농업 축산업] (일본농업 현황, 동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