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 투사 시각 자료와 투사 시각 자료
실물 화상기와 OHP
슬라이드
디지털 이미지와 투사
실물 화상기와 OHP
슬라이드
디지털 이미지와 투사
본문내용
기구나 기계 등의 매개물 없이 있는
그대로를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자료
특징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보다 사실적인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음
추가로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활용이 용이/ 비용 저렴
학년이나 과목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종류 : 정화상, 그림, 도표, 그래프, 포스터, 만평 등
정화상
인물, 장소, 사물을 사진 찍은 것
(또는 사진처럼 표현한 것)
종류 : 사진, 엽서, 책, 정기 간행물, 목록 집 등에
들어있는 삽화, 학습용 도감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수월성
가지고 다니기 쉬우므로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다
편리성
이차원적이고 고정되어 현실감이 떨어짐
현실감 부족
.
.
.
그림
인물, 장소, 사물, 개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선을 시각적으로 나열한 것
특징
도화- 관계를 보여 주거나 특정 대상이 작동하는 과정
또는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
수업 중 여러 단계(주제의 소개에서부터 평가단계)에서 사용
사진 자료에 비해 덜 상세, 생략. 수업의 핵심 내용만 부각되어 모든 연령의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활용
그대로를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자료
특징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보다 사실적인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음
추가로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활용이 용이/ 비용 저렴
학년이나 과목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종류 : 정화상, 그림, 도표, 그래프, 포스터, 만평 등
정화상
인물, 장소, 사물을 사진 찍은 것
(또는 사진처럼 표현한 것)
종류 : 사진, 엽서, 책, 정기 간행물, 목록 집 등에
들어있는 삽화, 학습용 도감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수월성
가지고 다니기 쉬우므로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다
편리성
이차원적이고 고정되어 현실감이 떨어짐
현실감 부족
.
.
.
그림
인물, 장소, 사물, 개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선을 시각적으로 나열한 것
특징
도화- 관계를 보여 주거나 특정 대상이 작동하는 과정
또는 구성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
수업 중 여러 단계(주제의 소개에서부터 평가단계)에서 사용
사진 자료에 비해 덜 상세, 생략. 수업의 핵심 내용만 부각되어 모든 연령의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