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성량은 급격히 감소한다.
9. 광합성 산물의 이동과 이용
(1) 광합성 산물의 이동
① 광합성 산물은 주로 밤에 이동한다.
② 광합성 산물은 관다발의 체관을 통해 이동한다.
③ 녹말은 물에 녹을 수 있는 포도당으로 바뀌어 이동한다.
(2) 광합성 산물의 이용
① 식물체의 각 부분으로 이동된 포도당은 호흡에 의해 분해되어 생활 에너지로 쓰인다.
② 광합성 양분의 일부는 뿌리, 줄기, 종자 등에 주로 녹말의 형태로 저장된다.
③ 광합성 양분은 다른 종류의 탄수화물로 전환되거나 단백질, 지방 등으로 합성된다.
10. 식물의 호흡
(1) 식물의 호흡
① 빛이 있을 때 식물에서는 광합성과 호흡이 동시에 일어난다.
② 식물의 호흡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24시간 일어난다.
③ 식물은 호흡할 때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④ 식물이 싹틀 때, 꽃이 필 때, 생장이 활발할 때 호흡은 왕성하게 일어난다.
(2) 광합성과 호흡의 비교
구 분
일어나는 장소
일어나는 시간
기체의 출입관계
물질의 변화
에너지 관계
광합성
엽록체
낮
CO2흡수, O2방출
무기물→유기
에너지 흡수
호 흡
미토콘드리아
낮과 밤
O2흡수, CO2방출
유기물→무기물
에너지 방출
Ⅳ. 꽃의 구조와 기능
1. 꽃의 구조
(1) 암술 : 보통 한 개이며, 암술머리, 암술대, 씨방으로 되어 있다. 암술머리는 화분(꽃가루)이 붙기 쉽게 끈적끈적하며, 씨방 속에는 밑씨가 들어 있다.
(2) 수술 : 꽃밥과 수술대로 되어 있으며, 꽃밥 속에는 많은 화분이 들어 있다.
(3) 꽃잎 : 암술과 수술을 싸서 보호하며, 보통 아름다운 색깔을 띠고 있어 곤충을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4) 꽃받침 : 꽃의 가장 바깥쪽 부분으로, 꽃잎을 받쳐 보호한다.
2. 꽃의 종류
(1) 갖춘꽃과 안갖춘꽃
① 갖춘꽃 :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을 모두 가지고 있는 꽃
(예) 복숭아꽃, 민들레꽃, 개나리꽃 등
② 안갖춘꽃 :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 중 한 가지라도 없는 꽃
(예) 보리꽃, 소나무꽃, 오이꽃 등
(2) 양성화와 단성화
① 양성화 : 암술과 수술이 한 꽃 안에 있다. (예) 복숭아꽃, 개나리꽃, 보리꽃 등
② 단성화 : 암술과 수술이 다른 꽃에 있다.
· 자웅 동주 :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있는 식물 (예) 소나무, 오이, 호박 등
· 자웅 이주 : 암그루와 수그루가 따로 있어 암그루에는 암꽃만, 수그루에는 수꽃만 피는 식물 (예) 은행나무, 소철 등
(3) 통꽃과 갈래꽃
① 통꽃 : 꽃잎이 서로 붙어 있는 꽃 (예) 민들레꽃, 나팔꽃 등
② 갈래꽃 : 꽃잎이 서로 떨어져 있는 꽃 (예) 복숭아꽃, 장미꽃 등
[통꽃(나팔꽃)] [갈래꽃(장미꽃)]
(4) 충매화와 풍매화
① 충매화 : 곤충에 의해 수분이 이루어지는 꽃 (예) 복숭아꽃, 민들레꽃, 장미꽃 등
② 풍매화 : 바람에 의해 수분이 이루어지는 꽃 (예) 소나무꽃, 보리꽃 등
3. 꽃의 기능
꽃은 종자식물의 생식 기관으로 씨를 만들어 번식하는데, 씨가 만들어지려면 먼저 수분과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1) 수분 : 수술의 꽃밥에서 만들어진 화분이 암술머리에 붙는 것을 수분 이라고 한다. 화분은 스스로 운동하는 능력이 없어 곤충(충매화), 바람(풍매화), 새(조매화), 물(수매화) 등에 의해 옮겨진다.
(2) 수정 : 수분이 되면 암술머리에 붙은 화분에서 화분관이 씨방을 향하여 자라 내려가 화분관 속의 정핵과 밑씨 속의 난세포가 합쳐지는데, 이것이 수정 이다. 수정이 이루어지면 밑씨는 자라서 씨가 되고, 씨방은 자라서 열매가 된다.
Ⅴ. 열매와 씨
1. 열매
(1) 열매의 종류
① 참열매 : 씨방 부분이 자라서 된 열매. (예) 감, 복숭아, 귤, 포도 등
② 헛열매 : 씨방 이외의 꽃받기나 꽃받침 등이 자라서 된 열매
· 꽃받기로 이루어지는 열매 : 씨방은 거의 자라지 않고 꽃받기가 비대해져 열매가 된다. (예) 사과, 딸기 등
· 꽃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열매 : 꽃받침과 그 외의 부분이 함께 자라서 열매가 된다. (예) 석류, 수유나무 등
· 꽃대로 이루어지는 열매 : 작은 꽃이 많이 붙어 있는 꽃대가 비대해져서 열매가 된다. (예) 파인애플, 무화과 등
(2) 열매의 구조
① 외과피 : 열매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껍질 부분이다. 사과나 감의 껍질, 귤이나 레몬의 노란 껍질은 모두 외과피이다.
② 중과피 : 우리가 주로 먹는 부분이다. 그러나 귤의 경우는 외과피 안쪽의 흰 부분이 중과피에 해당한다.
③ 내과피 : 열매의 속껍질 부분으로, 감은 씨를 둘러싸고 있는 연한 부분, 사과는 씨방을 싸고 있는 부분, 귤은 우리가 먹는 부분이 내과피이다.
2. 씨
(1) 씨의 구조
① 씨 껍질 : 밑씨의 껍질이 변한 것으로 비교적 딱딱하다. 배를 보호하고, 싹이 틀 때 수분을 통과시킨다.
② 배와 배젖
· 배 : 자라서 어린 식물이 될 부분으로, 떡잎, 어린눈, 어린줄기, 어린뿌리로 구성되어 있다.
· 배젖 : 배가 싹틀 때 필요한 양분이 들어 있다. 배젖이 없는 식물은 떡잎에 양분을 저장한다.
- 배젖이 있는 씨 : 벼, 보리, 감, 복숭아 등
- 배젖이 없는 씨 : 밤, 강낭콩, 호두, 완두 등
(2) 씨의 퍼짐
① 바람에 의하여 퍼지는 식물
· 털을 가진 것 : 민들레, 버드나무, 목화 등
· 날개를 가진 것 : 단풍나무, 소나무 등
② 동물에 의하여 퍼지는 식물
· 동물의 먹이가 되는 것 : 귤, 포도, 딸기, 사과 등
· 동물의 몸에 붙어 퍼지는 것 : 도꼬마리, 도둑놈의갈고리 등
③ 물의 흐름에 의하여 퍼지는 것 : 야자, 가래, 수련 등
④ 씨 껍질이 터지는 힘에 의하여 퍼지는 것 : 봉선화, 콩, 제비꽃 등
(3) 씨의 발아 조건 : 씨는 환경이 적당하면 발아하여 어린 식물로 자란다.
① 물 : 식물체는 약 90% 이상이 물로 되어 있지만, 건조한 씨에는 물이 10∼20%밖에 없으므로 발아를 위하여 물을 충분히 흡수해야 한다.
② 온도 : 보통 20℃ 정도가 적당하다.
③ 공기 :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는 호흡을 통하여 얻어지므로 산소가 필요하다.
9. 광합성 산물의 이동과 이용
(1) 광합성 산물의 이동
① 광합성 산물은 주로 밤에 이동한다.
② 광합성 산물은 관다발의 체관을 통해 이동한다.
③ 녹말은 물에 녹을 수 있는 포도당으로 바뀌어 이동한다.
(2) 광합성 산물의 이용
① 식물체의 각 부분으로 이동된 포도당은 호흡에 의해 분해되어 생활 에너지로 쓰인다.
② 광합성 양분의 일부는 뿌리, 줄기, 종자 등에 주로 녹말의 형태로 저장된다.
③ 광합성 양분은 다른 종류의 탄수화물로 전환되거나 단백질, 지방 등으로 합성된다.
10. 식물의 호흡
(1) 식물의 호흡
① 빛이 있을 때 식물에서는 광합성과 호흡이 동시에 일어난다.
② 식물의 호흡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24시간 일어난다.
③ 식물은 호흡할 때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④ 식물이 싹틀 때, 꽃이 필 때, 생장이 활발할 때 호흡은 왕성하게 일어난다.
(2) 광합성과 호흡의 비교
구 분
일어나는 장소
일어나는 시간
기체의 출입관계
물질의 변화
에너지 관계
광합성
엽록체
낮
CO2흡수, O2방출
무기물→유기
에너지 흡수
호 흡
미토콘드리아
낮과 밤
O2흡수, CO2방출
유기물→무기물
에너지 방출
Ⅳ. 꽃의 구조와 기능
1. 꽃의 구조
(1) 암술 : 보통 한 개이며, 암술머리, 암술대, 씨방으로 되어 있다. 암술머리는 화분(꽃가루)이 붙기 쉽게 끈적끈적하며, 씨방 속에는 밑씨가 들어 있다.
(2) 수술 : 꽃밥과 수술대로 되어 있으며, 꽃밥 속에는 많은 화분이 들어 있다.
(3) 꽃잎 : 암술과 수술을 싸서 보호하며, 보통 아름다운 색깔을 띠고 있어 곤충을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4) 꽃받침 : 꽃의 가장 바깥쪽 부분으로, 꽃잎을 받쳐 보호한다.
2. 꽃의 종류
(1) 갖춘꽃과 안갖춘꽃
① 갖춘꽃 :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을 모두 가지고 있는 꽃
(예) 복숭아꽃, 민들레꽃, 개나리꽃 등
② 안갖춘꽃 :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 중 한 가지라도 없는 꽃
(예) 보리꽃, 소나무꽃, 오이꽃 등
(2) 양성화와 단성화
① 양성화 : 암술과 수술이 한 꽃 안에 있다. (예) 복숭아꽃, 개나리꽃, 보리꽃 등
② 단성화 : 암술과 수술이 다른 꽃에 있다.
· 자웅 동주 :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있는 식물 (예) 소나무, 오이, 호박 등
· 자웅 이주 : 암그루와 수그루가 따로 있어 암그루에는 암꽃만, 수그루에는 수꽃만 피는 식물 (예) 은행나무, 소철 등
(3) 통꽃과 갈래꽃
① 통꽃 : 꽃잎이 서로 붙어 있는 꽃 (예) 민들레꽃, 나팔꽃 등
② 갈래꽃 : 꽃잎이 서로 떨어져 있는 꽃 (예) 복숭아꽃, 장미꽃 등
[통꽃(나팔꽃)] [갈래꽃(장미꽃)]
(4) 충매화와 풍매화
① 충매화 : 곤충에 의해 수분이 이루어지는 꽃 (예) 복숭아꽃, 민들레꽃, 장미꽃 등
② 풍매화 : 바람에 의해 수분이 이루어지는 꽃 (예) 소나무꽃, 보리꽃 등
3. 꽃의 기능
꽃은 종자식물의 생식 기관으로 씨를 만들어 번식하는데, 씨가 만들어지려면 먼저 수분과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1) 수분 : 수술의 꽃밥에서 만들어진 화분이 암술머리에 붙는 것을 수분 이라고 한다. 화분은 스스로 운동하는 능력이 없어 곤충(충매화), 바람(풍매화), 새(조매화), 물(수매화) 등에 의해 옮겨진다.
(2) 수정 : 수분이 되면 암술머리에 붙은 화분에서 화분관이 씨방을 향하여 자라 내려가 화분관 속의 정핵과 밑씨 속의 난세포가 합쳐지는데, 이것이 수정 이다. 수정이 이루어지면 밑씨는 자라서 씨가 되고, 씨방은 자라서 열매가 된다.
Ⅴ. 열매와 씨
1. 열매
(1) 열매의 종류
① 참열매 : 씨방 부분이 자라서 된 열매. (예) 감, 복숭아, 귤, 포도 등
② 헛열매 : 씨방 이외의 꽃받기나 꽃받침 등이 자라서 된 열매
· 꽃받기로 이루어지는 열매 : 씨방은 거의 자라지 않고 꽃받기가 비대해져 열매가 된다. (예) 사과, 딸기 등
· 꽃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열매 : 꽃받침과 그 외의 부분이 함께 자라서 열매가 된다. (예) 석류, 수유나무 등
· 꽃대로 이루어지는 열매 : 작은 꽃이 많이 붙어 있는 꽃대가 비대해져서 열매가 된다. (예) 파인애플, 무화과 등
(2) 열매의 구조
① 외과피 : 열매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껍질 부분이다. 사과나 감의 껍질, 귤이나 레몬의 노란 껍질은 모두 외과피이다.
② 중과피 : 우리가 주로 먹는 부분이다. 그러나 귤의 경우는 외과피 안쪽의 흰 부분이 중과피에 해당한다.
③ 내과피 : 열매의 속껍질 부분으로, 감은 씨를 둘러싸고 있는 연한 부분, 사과는 씨방을 싸고 있는 부분, 귤은 우리가 먹는 부분이 내과피이다.
2. 씨
(1) 씨의 구조
① 씨 껍질 : 밑씨의 껍질이 변한 것으로 비교적 딱딱하다. 배를 보호하고, 싹이 틀 때 수분을 통과시킨다.
② 배와 배젖
· 배 : 자라서 어린 식물이 될 부분으로, 떡잎, 어린눈, 어린줄기, 어린뿌리로 구성되어 있다.
· 배젖 : 배가 싹틀 때 필요한 양분이 들어 있다. 배젖이 없는 식물은 떡잎에 양분을 저장한다.
- 배젖이 있는 씨 : 벼, 보리, 감, 복숭아 등
- 배젖이 없는 씨 : 밤, 강낭콩, 호두, 완두 등
(2) 씨의 퍼짐
① 바람에 의하여 퍼지는 식물
· 털을 가진 것 : 민들레, 버드나무, 목화 등
· 날개를 가진 것 : 단풍나무, 소나무 등
② 동물에 의하여 퍼지는 식물
· 동물의 먹이가 되는 것 : 귤, 포도, 딸기, 사과 등
· 동물의 몸에 붙어 퍼지는 것 : 도꼬마리, 도둑놈의갈고리 등
③ 물의 흐름에 의하여 퍼지는 것 : 야자, 가래, 수련 등
④ 씨 껍질이 터지는 힘에 의하여 퍼지는 것 : 봉선화, 콩, 제비꽃 등
(3) 씨의 발아 조건 : 씨는 환경이 적당하면 발아하여 어린 식물로 자란다.
① 물 : 식물체는 약 90% 이상이 물로 되어 있지만, 건조한 씨에는 물이 10∼20%밖에 없으므로 발아를 위하여 물을 충분히 흡수해야 한다.
② 온도 : 보통 20℃ 정도가 적당하다.
③ 공기 :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는 호흡을 통하여 얻어지므로 산소가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무현정부의 지방분권화를 위한 과제 - 경찰자치,교육자치,특별행정기관을 중심으로
[금융마케팅]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금융기관의 경영전략 및 마케팅 대응전략
유아교육기관의 시설 설비
[부모교육]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의 목적, 필요성, 내용, 유형에 대하여
비영리의료기관의 시스템적 관점 분석
국내 금융기관의 M&A 방향
[아동건강교육] 유아교육기관 건강교육의 방법의 유형, 영유아건강관련 기사 요약, 누리과정 ...
영유아 교육기관에서의 급식의 의의와 필요성
신공공관리론적 관점에서 본 공공기관 통합 사례 연구(대한체육회 – 국민생활체육...
공기업 개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아동건강교육4D)유아교육기관 급식관리에 대해 논하시오(급식관리 관련 법령, 급식관리의 유...
[아동건강교육 D형] 유아교육기관 급식관리에 대해 논하시오(급식관리 관련 법령, 급식관리의...
일본(日本)의 정보기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