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일, 국경일 개념, 국경일 종류, 국경일 예절, 국경일 외국사례, 국경일과 계기교육, 국경일과 한글날]국경일의 개념, 국경일의 종류, 국경일의 예절, 국경일의 외국사례, 국경일과 계기교육, 국경일과 한글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경일, 국경일 개념, 국경일 종류, 국경일 예절, 국경일 외국사례, 국경일과 계기교육, 국경일과 한글날]국경일의 개념, 국경일의 종류, 국경일의 예절, 국경일의 외국사례, 국경일과 계기교육, 국경일과 한글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국경일의 개념

Ⅲ. 국경일의 종류
1. 3․1 절
2. 제헌절
3. 광복절
4. 개천절

Ⅳ. 국경일의 예절

Ⅴ. 국경일의 외국사례
1. 1월 1일 - 元日(がんじつ) New Year's Day
2. 1월 15일 - 成人の日(せいじんのひ), Adult's Day
3. 2월 11일 - 建國記念の日(けんこくきねんのひ)National Founding Day
4. 3월 21일경 - 春分の日(しゅんぶんのひ), Vernal Equinox Day
5. 4월 29일 - みどりの日(ひ), Greenery Day
6. 5월 3일 - 憲法記念日(けんぽうきねんび), Constitution Memorial Day
7. 5월 5일 - こどもの日(ひ), Children's Day
8. 7월 20일 - 海の日(うみのひ), Marine Day
9. 9월 15일 - 敬老の日(けいろうのひ), Respect-for-the-Aged Day
10. 9월 23일경 - 秋分の日(しゅうぶんのひ), Autumnal Equinox Day
11. 10월 10일 - 體育の日 (たいいくのひ), Health-Sports Day
12. 11월 3일 - 文化の日(ぶんかのひ), Culture Day
13. 11월 23일 - 勤勞感謝の日(きんろうかんしゃのひ), Labor Thanksgiving Day
14. 12월 23일 - 天皇誕生日(てんのうたんじょうび), Emperor's Birthday

Ⅵ. 국경일과 계기교육
1. 사회적인 면에서
2. 교사 측면에서
3. 학습자 측면에서

Ⅶ. 국경일과 한글날
1. 찬성
2. 반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족하다. 국경일과 현충일에 행하여지는 국기 다는 방법, 묵념, 기타 의식 행동 예절에 대하여 올바른 지식 형성과 행동 실천 방법이 미숙한 편이다. 각 가정에서도 국기 보유 가정이 적고 국기 관리가 소홀한 편이다. 기념일, 국경일, 현충일 관련 계기교육의 날 노래를 부를 줄 모르고, 국가적인 경축일이나 현충일에 대한 역사적 이해 배경이 부족하다. 어린이가 성장해 가면서 익히는 것은 사회화를 위한 초석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정체성과 자아확립의 계기가 되고, 국가관의 융화, 책임 의식 등 사회화에 필요한 기본적인 학습이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아 현장 교사와 학교, 교실에서 국경일이나 현충일에 대한 계기 교육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지도되어야 한다고 판단한다.
Ⅶ. 국경일과 한글날
1. 찬성
우리나라에 쉬는 날이 너무 많아서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공휴일을 줄여야 한다. 따라서 당연히 한글날이 다시 국정 공휴일로 한다는 것에 반대를 한다는 것이다. 얼핏 생각하기에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그럼 다른 나라의 경우는 어떠한가? 한국의 일년 동안 쉬는 날은 국경일을 포함하여 약65-67일 정도가 된다. 인도와 아르헨티나는 122일, 스페인은 114-118일이며 서구 유럽에서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은 날을 쉬고 있다.
요즘 ‘주 5일 근무제가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이렇게 되면 우리도 약 114-117일 정도 쉬게 되는 셈이 된다. 이렇게 해도 일본의 124일, 독일과 벨기에가 118일 정도니 우리의 경우는 쉬는 날이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주당 근무시간이 48.1시간이요, 대만 46.1시간, 미국이 41.6시간, 일본이 38.2시간이 됨을 보더라도 휴일이 많아 다른 나라에 비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 함은 앞뒤가 잘 맞지 아니한다.
더욱이 한글날을 단지 쉬는 공휴일의 개념 정도로 알아서는 정말 문제가 있다. 한글날을 국경일로 함은 우리 배달겨레의 자존심을 지키는 일이요, 온 인류의 문화적인 긍지를 지켜 나아가는 일이 될 것이다. 한글날은 국경일의 개념이 아니고 국존일임을 알아야 한다.
한글은 기원적으로 훈민정음에서 비롯한다. 훈민정음을 유네스코에서는 세계 기록 문화유산을 지정하여 그 가치를 높이 기리고 있으며 세종대왕의 탄신일을 기하여 문맹퇴치에 공이 있는 이들에게 세종 임금상을 준다.
기본적으로 한글은 정보의 생산과 돌려씀에 있어 세상의 그 어느 글자보다도 빠르고 정확한 글자이다. 한글이 있음으로 하여 민족문화의 정통성은 말할 것 없고 겨레의 정통성을 세계 속으로 펴 나아가는 데 거멀못의 구실을 할 수 있다고 본다.
2. 반대
(1) 공휴일 하루 증가에 따른 추가 기업 부담 금액은 7천 463억 원 정도로 추정된다. I.M.F(국제통화기금) 관리체제 이후 조성된 일하는 분위기를 저해하고 근로시간 감소에 따른 인건비 증가로 수출원가 부담이 가중돼 우리 경제여건상 바람지하지 못했다.
(2) 우리나라의 산업 현장에서의 공휴일 일수는 연간 17일(근로자의 날 포함)로, 미국(10일, 일본(15일), 영국(8일) 등 선진국에 비해 훨씬 많다.
(3) 주 5일 근무제 도입과 함께 논의되고 있는 휴일 수 조정문제에 한글날 제정 문제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므로 주 5일 근로제 도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별로도 공휴일 수를 늘리는 것은 근로 시간 논의 구조에 파장을 일으킬 것이다.
(4) 9월말에서 10월초의 경우에 추석(3일), 개천절(1일) 등 공휴일이 집중되어 있어 산업현장은 전반적인 들뜬 분위기로로 정상적인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한글날인 10월 9일이 국경일로 되어 공휴일이 된다면, 모든 기업들이 약 한 주 동안의 생산 및 수출 차질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5) 한글날을 국경일로 승격시키기보다 현행대로 한글날을 법정 기념일로 유지하면서 한글날이 속한 한 주간을 가칭 한글주간으로 지정하여 한글날의 뜻을 기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창순(1993), 사대 국경일 행사교육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 김선섭(2000), (달력 속에서 만나는)숨은 우리날 찾기 1,국경일과 법정기념일, 씨앤드씨그룹
* 곽재용(2008), 한글날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가, 우리말글학회
* 황종각(1984), 국경일·경축가제정의 의의와 이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 한글날 국경일 추진을 위한 의원 모임(2000), 한글날 국경일 지정을 위한 공청회, 대한민국국회
* (구)중앙해정기관(1996), 국가상징 및 국경일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