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내장산
Ⅱ. 계룡산
Ⅲ. 마니산
Ⅳ. 마이산
Ⅴ. 북한산
Ⅵ. 지리산
Ⅶ. 천등산
Ⅷ. 칠갑산
Ⅸ. 화학산
참고문헌
Ⅱ. 계룡산
Ⅲ. 마니산
Ⅳ. 마이산
Ⅴ. 북한산
Ⅵ. 지리산
Ⅶ. 천등산
Ⅷ. 칠갑산
Ⅸ. 화학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진왜란 이후에 유행한 건축 양식을 잘 보여 준다. 법당 안에 들어서면 정면에 금동약사여래좌상(金銅藥師如來坐像)이 모셔져 있다. 복장(腹藏)에서 나온 기록에 의하면 1346년(고려 충목왕 2년)에 조성되었다는 흔치 않은 고려시대 불상이다. 고려 후기 불상 양식의 편년 설정에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보물 제337호이다.
하대웅전 맞은편으로 나지막한 강당 건물인 운학루(雲鶴樓)가 있고, 양 옆에 요사채와 종무소가 있다 그 밖에 볼 만한 것은 종무소에 보관중인 큰 북과 절 입구의 통나무 그릇이다. 큰 북은 신라시대에 이곳에 있던 한 스님이 국난에 대비, 위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코끼리 가죽으로 만들었다는 말이 구전되고, 역시 신라시대부터 내려온다는 통나무 그릇은 대중 스님들에게 공양 올릴 밥을 퍼 담던 그릇으로 사용하던 것인데 길이가 7m에 이르는 것으로 미루어 옛날에는 규모가 큰 대찰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대웅전 두 채와 응진전, 운학루, 그리고 몇 채의 요사채가 전부인 조촐한 절간 안에 국보 1점과 보물 4점을 간직한 장곡사. 규모에 비해 이만큼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절도 찾아보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상대웅전과 하대웅전에 각각 약사여래를 봉안하고 있는 이 절은 영험 있는 약사도량으로도 이름이 높아, 건강을 기원하려는 많은 신도들이 찾는다. 특히 상대웅전의 약사여래는 난치병을 낫게 하는 영험 있는 부처님이라는 소문이 나 있기도 하다. 장곡사는 현재 비구니 스님들의 수도처로 이용되고 있다.
Ⅸ. 화학산
전라남도 화순군(8-21)의 화학산은 화순군 청풍면과 도암면의 경계이며 장흥군과 인접지역에 위치해있다. 경위도상의 위치는 동경 126。 55′00″~127。 00′00″ 및 북위 34。 52′30″~ 34。 50′00″ 사이에 놓여 있다. 화순군(8-21) 화학산(613.8 m)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하며 장흥과 인접한곳으로 호남정맥이 화순의 최남단인 봉미산으로 이어진 후 서쪽으로 향하다가 삼계봉에 이르러 북쪽으로 치솟은 산이다.
이 지역의 연평균기온 12.8 ℃이고, 1월 평균기온 0.4 ℃, 8월 평균기온 25.4 ℃이다. 전남 내륙지방의 지형성 강우로 인하여 연 강수량이 1,458.7 mm에 이르며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보다 많은 다우지에 속하며 연간 강수량의 55%정도가 6~8월 3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내리는 지역이다.
전라남도 화순군(7-12) 화학산의 식물상 전체 종수는 36목 93과 239속 309종 45변종 3품종 총 357종류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개비자나무, 굴피나무, 예덕나무, 말오줌때, 사스레피나무, 개미탑, 마삭줄, 보춘화 등과 같은 식물이 생육하는 것으로 보아 남부아구에 속한다. 식물구계학적 평가단위별 및 등급별 특정 식물종 및 평가표에 의해 조사된 화순군(8-21)의 화학산 소권역 전체 총점은 4등급 1분류군 8점, 3등급 3분류군 18점, 2등급 2분류군 8점 및 1등급 16분류군 32점으로 총 22분류군 66점으로 나타났다. 정밀생태 조사 종에 해당하는 5등급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4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매미꽃(Hylomecon hylomeconnoides)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길봉섭 외 2명 : 내장산 남부지역의 삼림식생, 한국생태학회, 2000
김기동, 북한산국립공원 탐방로 훼손지역 식생복원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2
고선근, 천등산의 양서·파충류 상, 호남대학교, 2004
성효현, 마이산일대에 나타나는 미지형의 기후지형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3
안상경 : 계룡산 산신제의 역사성과 구비성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007
윤충원 외 7명 : 강화도 마니산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한국임학회, 2009
하대웅전 맞은편으로 나지막한 강당 건물인 운학루(雲鶴樓)가 있고, 양 옆에 요사채와 종무소가 있다 그 밖에 볼 만한 것은 종무소에 보관중인 큰 북과 절 입구의 통나무 그릇이다. 큰 북은 신라시대에 이곳에 있던 한 스님이 국난에 대비, 위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코끼리 가죽으로 만들었다는 말이 구전되고, 역시 신라시대부터 내려온다는 통나무 그릇은 대중 스님들에게 공양 올릴 밥을 퍼 담던 그릇으로 사용하던 것인데 길이가 7m에 이르는 것으로 미루어 옛날에는 규모가 큰 대찰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대웅전 두 채와 응진전, 운학루, 그리고 몇 채의 요사채가 전부인 조촐한 절간 안에 국보 1점과 보물 4점을 간직한 장곡사. 규모에 비해 이만큼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절도 찾아보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상대웅전과 하대웅전에 각각 약사여래를 봉안하고 있는 이 절은 영험 있는 약사도량으로도 이름이 높아, 건강을 기원하려는 많은 신도들이 찾는다. 특히 상대웅전의 약사여래는 난치병을 낫게 하는 영험 있는 부처님이라는 소문이 나 있기도 하다. 장곡사는 현재 비구니 스님들의 수도처로 이용되고 있다.
Ⅸ. 화학산
전라남도 화순군(8-21)의 화학산은 화순군 청풍면과 도암면의 경계이며 장흥군과 인접지역에 위치해있다. 경위도상의 위치는 동경 126。 55′00″~127。 00′00″ 및 북위 34。 52′30″~ 34。 50′00″ 사이에 놓여 있다. 화순군(8-21) 화학산(613.8 m)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하며 장흥과 인접한곳으로 호남정맥이 화순의 최남단인 봉미산으로 이어진 후 서쪽으로 향하다가 삼계봉에 이르러 북쪽으로 치솟은 산이다.
이 지역의 연평균기온 12.8 ℃이고, 1월 평균기온 0.4 ℃, 8월 평균기온 25.4 ℃이다. 전남 내륙지방의 지형성 강우로 인하여 연 강수량이 1,458.7 mm에 이르며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보다 많은 다우지에 속하며 연간 강수량의 55%정도가 6~8월 3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내리는 지역이다.
전라남도 화순군(7-12) 화학산의 식물상 전체 종수는 36목 93과 239속 309종 45변종 3품종 총 357종류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개비자나무, 굴피나무, 예덕나무, 말오줌때, 사스레피나무, 개미탑, 마삭줄, 보춘화 등과 같은 식물이 생육하는 것으로 보아 남부아구에 속한다. 식물구계학적 평가단위별 및 등급별 특정 식물종 및 평가표에 의해 조사된 화순군(8-21)의 화학산 소권역 전체 총점은 4등급 1분류군 8점, 3등급 3분류군 18점, 2등급 2분류군 8점 및 1등급 16분류군 32점으로 총 22분류군 66점으로 나타났다. 정밀생태 조사 종에 해당하는 5등급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4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매미꽃(Hylomecon hylomeconnoides)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길봉섭 외 2명 : 내장산 남부지역의 삼림식생, 한국생태학회, 2000
김기동, 북한산국립공원 탐방로 훼손지역 식생복원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2
고선근, 천등산의 양서·파충류 상, 호남대학교, 2004
성효현, 마이산일대에 나타나는 미지형의 기후지형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3
안상경 : 계룡산 산신제의 역사성과 구비성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007
윤충원 외 7명 : 강화도 마니산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한국임학회, 20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