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즉 왜구의 빈번한 침임이나 노략질 가혹한 조세의 징수 대토지 소유자의 횡포들은 직접적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백성에 대한 이색과 다른 생각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백성의 교화만을 중시했던 이색과 달리 정도전의 경우는 항산(恒産)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물질적 측면 혹은 사회적인 면을 강조하여 백성의 생활 향상을 도모하려고 했던 것이다. 즉 그것은 생산력을 증진시키는 것이고 증진된 생산량의 합리적인 배분에 신경을 쓰고자 하는 태도이며 그것을 통해서 국가의 재정을 확보하여 그로 인한 민생 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필려는 의지가 감겨져 있다. 생산력의 증대를 위한 시비법 수리시설의 확충 신품종 생산도구의 보급을 주력하여 생산성 향상을 노력하거나 개간의 중요성을 말한다.
정도전은 이색과 달리 항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항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시책을 내고 혁신적인 전제개혁을 하지만 지존의 세력을 효과적으로 포섭하지 못하는 난관에 직면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농민을 위하는 것이라고는 생각될 수 있지만 정도전의 국가의 재정의 확보에 중요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으면서 백성을 생산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것이 너무나 비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2) 이색
이색의 경우는 민생의 안정과 인민교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맹자가 말하는 항심(恒心)과 항산의 논리 중에서 항심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으며 항심의 고양을 통해서 당시 사회의 문제였던 유민현상에 의한 백성의 동요 사회불안 상하 신분질서의 붕괴를 막고자하는 것으로 물질적 사회적 측면보다는 개인의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백성을 교화하여 국가를 경영하고자 하는 태도로 백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색의 경우는 민의 교화를 위하여 항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이색의 항심에 대한 주장은 고려말 농민의 생활에 대해서는 제대로 생각하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 즉 농민들의 대토지 소유자들에게 의해서 착취당하는 현실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며 단지 유민화되는 농민과 서민들의 교화만을 강조하고 있으면 생산서의 향상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내세우고는 있지 못한 것이다
7. 정부의 역할에 대한 생각
(1) 정도전
정도전의 경우 민본 위민사상을 기초로 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강력한 중앙집권국가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귀족이나 지방호족들에 의한 사적인 지배의 폐해 관리의 타락으로 인한 통치권력의 남용은 민의 피해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며 민에 대한 통치권 내지는 지배권을 중앙정부에 집중시켜 관권에 의한 통치와 관권의 감독 견제를 주장하면서 중앙집권국가를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2) 이색
이색은 정도전과 달리 모든 행정의 주체를 국가에서 시행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책임 있는 사대부를 통해서 교육이든지 지방정치를 실행하여야 한다는 입장으로 사부를 통해서 백성을 교화하여 국가경영을 하고 책임 있는 사대부들이 지방행정을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사실상 고려 말기의 부패하고 타락해버린 사대부의 수신만을 강조할 뿐 실질적으로 지방분권화를 위해서는 선도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정도전은 이색과 달리 항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항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시책을 내고 혁신적인 전제개혁을 하지만 지존의 세력을 효과적으로 포섭하지 못하는 난관에 직면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농민을 위하는 것이라고는 생각될 수 있지만 정도전의 국가의 재정의 확보에 중요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으면서 백성을 생산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것이 너무나 비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2) 이색
이색의 경우는 민생의 안정과 인민교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맹자가 말하는 항심(恒心)과 항산의 논리 중에서 항심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으며 항심의 고양을 통해서 당시 사회의 문제였던 유민현상에 의한 백성의 동요 사회불안 상하 신분질서의 붕괴를 막고자하는 것으로 물질적 사회적 측면보다는 개인의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백성을 교화하여 국가를 경영하고자 하는 태도로 백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색의 경우는 민의 교화를 위하여 항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이색의 항심에 대한 주장은 고려말 농민의 생활에 대해서는 제대로 생각하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 즉 농민들의 대토지 소유자들에게 의해서 착취당하는 현실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며 단지 유민화되는 농민과 서민들의 교화만을 강조하고 있으면 생산서의 향상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내세우고는 있지 못한 것이다
7. 정부의 역할에 대한 생각
(1) 정도전
정도전의 경우 민본 위민사상을 기초로 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강력한 중앙집권국가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귀족이나 지방호족들에 의한 사적인 지배의 폐해 관리의 타락으로 인한 통치권력의 남용은 민의 피해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며 민에 대한 통치권 내지는 지배권을 중앙정부에 집중시켜 관권에 의한 통치와 관권의 감독 견제를 주장하면서 중앙집권국가를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2) 이색
이색은 정도전과 달리 모든 행정의 주체를 국가에서 시행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책임 있는 사대부를 통해서 교육이든지 지방정치를 실행하여야 한다는 입장으로 사부를 통해서 백성을 교화하여 국가경영을 하고 책임 있는 사대부들이 지방행정을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사실상 고려 말기의 부패하고 타락해버린 사대부의 수신만을 강조할 뿐 실질적으로 지방분권화를 위해서는 선도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