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경제발전, 일본경제발전 요인, 일본경제발전 특징, 일본경제발전과 금융자유화, 엔화환율변동]일본경제발전의 요인, 일본경제발전의 특징, 일본경제발전과 금융자유화, 일본경제발전과 엔화환율변동, 제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경제발전, 일본경제발전 요인, 일본경제발전 특징, 일본경제발전과 금융자유화, 엔화환율변동]일본경제발전의 요인, 일본경제발전의 특징, 일본경제발전과 금융자유화, 일본경제발전과 엔화환율변동,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본경제발전의 요인
1. 유교적 전통
2. 강력한 중압집권체제
3. 좁은 국토와 과잉인구
4. 강한 교육열
5. 해외 지향적 정책
6. 상대적 후발성이익의 극대활용

Ⅲ. 일본경제발전의 특징

Ⅳ. 일본경제발전과 금융자유화
1. 확실한 벌칙의 결여
1) 자본시장으로부터의 규율의 결여
2) 규제당국의 역할
2. ‘금융자유화’ 실태

Ⅴ. 일본경제발전과 엔화환율변동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리 디플레이션 현상을 피할 수 있었다. 즉 1874~1887년까지 일본의 도매물가(wholesale price)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는 일본의 은본위제를 변동환율제하에서 효율적으로 운용되었음을 증명해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일본 엔화는 미국 달러화와 영국 파운드화에 대해 평가절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1887년부터 1896년의 기간에 달러화에 대한 엔화환율은 연간 3.15% 상승하였으며 파운드화에 대한 엔화환율은 연간 3.03% 상승하였던 것이다.
특히 엔화환율의 연간 변동성(Variability)이 파운드화의 변동성보다 더 크게 증가되고 있으며 1883~1896년 기간에는 매우 극심한 환율변동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변동성은 실질무역(trade flow)이나 실질생산물(real output)에 대한 역효과(adverse affects)를 나타내주고는 있지 못하다.
일본의 실질소득증가율과 산업생산은 미국과 영국의 그것과 비교가능하거나 혹은 더 높은 수준이다. 일본의 실질소득은 미국의 2.35%, 영국의 2.79%보다 높은 3.10%를 기록하고 있으며 1874~1896년 기간의 산업생산은 미국의 1.96%, 영국의 4.4%보다 높은 4.75%를 점하고 있다.
19세기에 걸쳐 각국들은 은본위제에서 금본위제로의 지속적인 이동과 함께 이에 대한 상대적인 수요도 변화하고 있지만, Fisher(1911)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금본위제 이행의 국가들의 물가수준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은본위제 국가들의 물가수준은 하락추세를 보여준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일본은 1919~1920년 기간에 최초로 달러화에 대한 엔화의 고정(peg)을 가져왔고 이로 인해 엔화는 평가절하되기 시작하여 일본의 금본위제 복귀가 다시 허용되었다.
그러나 일본은 1923년 일본의 Kanto 지방의 대지진과 금융공황(financial panic)으로 인해 달러화의 peg를 철회하게 되었고 1915~1940년 기간의 실질환율의 변동성은 급증하였다.
그 이후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국제거래(intemational transactions) 및 공식적인 엔화환율(official yen exchange rate)은 붕괴되었다. 이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물가수준의 추가적인 증가로 이어졌고 특히 일본은 도매물가가 53.8% 이상이나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엔화환율이 공식적으로 재발표되기 시작하였고 이때 환율은 달러당 4.53엔으로 달러당 160엔보다 평가절상 되어져 있었다. 일본의 인플레이션의 장기적 영향으로 달러당 361엔까지 평가절하 되었다가 이후 브레튼우즈체제의 범위내에서 환율은 안정되었다.
미국은 통화량 초과공급 현상에 따른 영향으로 브레튼우즈체제도 붕괴되면서 각국은 변동환율제를 채택하게 되었다. 일본도 1973년 변동환율제를 채택하게 되었고 이후 엔화는 달러화와 파운드화에 대해 평가절상추세를 보이기 시작하였고 몇 번의 등락을 거듭하였다.
이러한 엔화환율변동의 발전과정 속에서 일본의 엔고현상은 닉슨쇼크(Nixon Shock)로 인해 브레튼우즈체제의 붕괴와 함께 일본의 변동환율제의 채택에 따라 일본 엔화는 변하기 시작하였다.
즉 변동환율제 채택 이전까지의 일본 엔화는 달러당 360엔이었던 것이 처음으로 263.45엔으로 절상되는 이른바 제1차 엔고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후 제1차 석유위기를 거치면서 등락을 되풀이하다 미국의 무역수지의 구조적 적자와 더불어 일본의 무역수지의 흑자로 달러당 176엔까지 상승하는 제2차 엔고시대를 경험하였다. 하지만 플라자회담(plaza accord) 이후 미국의 고금리 정책에 따라 100엔대라고 하는 본격적인 엔고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를 우리는 제3차 엔고시대라고 정의하고 있다. 일본의 변함없는 무역흑자의 증대로 인해 더 한층의 엔고조짐과 함께 미일정상회담이 기폭제가 되어 마침내 제4차 엔고시대는 동서의 냉전종식에 따른 세계경제체제의 변화 및 일본의 지속적인 무역흑자에 따른 것이다.
이후 한때 달러당 100엔대가 붕괴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대체적으로 110엔대를 유지하고 있다.
Ⅵ. 결론 및 제언
일본경제는 2차 대전 이후 전통적인 신고전파적 경제시스템과는 다른 일본특유의 경제시스템을 발전시키면서 1980년대까지 높은 성장률을 달성해왔다. 그러나 일본경제는 1990년대 이후 장기적 저성장률을 기록하고 있고, 이러한 장기적 저성장률에 대해 일본경제가 시스템적 변화를 필요로 한다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일본경제의 성장률에 대해 주목할 만한 것으로 R. van Elkan(1996)의 논문과 M. Aoki(1988)가 자신의 책 5장에서 제시하는 주장을 들 수 있다.
R. van Elkan은 노동자가 선택하는 노동시간배분(현재생산과 미래의 생산성향상을 위한 인적자본스톡의 축적에 대한 노동시간배분)에 의해 경제 성장률이 결정되는 모델을 통해 전후 후진국이던 일본의 고도성장을 설명한다. 이 모델에서 그는 외국에 비해 인적자본스톡의 수준이 현저히 낮은 소규모 경제는 초창기에는 모방잠재력이 커서 성장률이 높지만, 인적자본스톡이 축적됨에 따라 모방잠재력이 감소하고 성장률이 점차 감소하다가 장기적으로는 외국과 같은 일정한 성장률을 보이는 균제상태(steady state)에 이른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1990년대 이후 미국보다 현저히 낮은 일본경제의 성장률 추이를 설명하지 못한다. 이는 경제시스템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나라의 경제시스템이 서로 다르다면 노동자의 노동시간배분이 달라지고 따라서 성장률의 추이도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참고문헌
ⅰ. 박병윤(1987), 전후 일본경제발전의 특수성에 관한 일고찰, 영남대학교
ⅱ. 소금방홍 외 1명(1994), 일본경제발전전략 : 21C를 향한 정보기술혁명, 법문사
ⅲ. 안림(1978), 일본경제발전과 정책적 특징, 성균관대학교경제연구소
ⅳ. 이재근(2005), 한국과 일본의 경제발전 과정에 관한 고찰, 한몽경상학회
ⅴ. 이덕훈(2009), 일본의 경제발전과 무사도, 비앤엠북스
ⅵ. 임천석(2009), 일본의 경제발전과 대외관계, 청목출판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