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의 특성
1. 형용사는 어간 + く + て의 형태로 다른 활용어에 접속되나, 형용동사는 어간 + で의 형태로 이어진다
2. 형용동사 어간 + に의 연용형으로서 다른 활용어를 꾸미는 연용수식어(우리말의 부사적 역할)가 된다
Ⅲ.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의 구성
1. 한자말 + だ
2. 접두어 + 형용동사
3. 한자말 + 的 + だ
Ⅳ.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의 활용
1. 미연형
2. 연용형
1) だっ 의 용법
2) で 의 용법
3) に 의 용법
3. 종지형
4. 연체형
5. 가정형
Ⅴ.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와 복합형용동사
참고문헌
Ⅱ.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의 특성
1. 형용사는 어간 + く + て의 형태로 다른 활용어에 접속되나, 형용동사는 어간 + で의 형태로 이어진다
2. 형용동사 어간 + に의 연용형으로서 다른 활용어를 꾸미는 연용수식어(우리말의 부사적 역할)가 된다
Ⅲ.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의 구성
1. 한자말 + だ
2. 접두어 + 형용동사
3. 한자말 + 的 + だ
Ⅳ.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의 활용
1. 미연형
2. 연용형
1) だっ 의 용법
2) で 의 용법
3) に 의 용법
3. 종지형
4. 연체형
5. 가정형
Ⅴ.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와 복합형용동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 [きれいだった] 예뻤다.
[きれいで ない] 예쁘지 않다.
[きれいに] 예쁘게
1) だっ 의 용법
조동사 た 가 와서 ~ 했다.를 나타낸다.
또 조사 たり 가 와서 병렬 ~ 하기도 하고 을 나타내기도 한다.
靜かだったり やかましかったりした(조용하기도 했는가 하면 시끄럽기도 했다.)
2) で 의 용법
뒤에 형용사 [ない] 가 와서 부정을 만든다.
靜かで ない (조용하지 않다.)
- で 다음에 조사 は,も 가 올 수 있다.
- 뒤에 보조동사 ある가 와서 ~ 하다. 가 된다.
- ある를 쓰면 문어체 이다. 그 자체가 중지법으로 쓰인다. ~하고
3) に 의 용법
뒤에 오는 용언을 수식한다.
3. 종지형
기본형과 같다. 문장 끝에 놓여 ~ 하다 는 뜻. 조사 [と],[けれども], [が] 조동사 [そうだ] 등의 뒤에 이어진다.
きれいだ - 顔は きれいだ = 예쁘다
顔は きれいだと = 예쁘다고
顔は きれいだけれども= 예쁘지만
顔は きれいだが = 예쁘지만
顔は きれいだそうだ = 예쁘다고 한다.
4. 연체형
어미가 [な] 다. 역시 명사 앞에 놓인다. 동사나 형용사의 연체형은 종지형과 모양이 같지만 , 형용동사의 연체형은 다르다.
しずかな ところです(조용한 곳입니다.)
きれいな えです(예쁜 그림입니다.)
※ 조사 の , のに , ので 앞에 놓이기도 한다. 이 때의 조사를 준체조사라 한다.
しずかなの 조용한 것,
じずかなので 조용해서,
じずかなのに 조용한데도
5. 가정형
어미가 [なら] 다. 형용동사의 가정형은 [ば] 가 생략될 수 있다.
しずかなら(ば) 조용하면 , きれいなら(ば) 예쁘면
Ⅴ.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와 복합형용동사
(1) こ, ご, お가 붙은 것
(2) 「げ, 的」이 붙은 것
悲しい →悲しげだ(슬픈 듯 하다)
名詞 + 的だ : 政治的だ(정치적이다)
참고문헌
목정수(2008), 일본어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유형론적 함의,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성희경(2011), 일어유해의 일본어 어법에 대하여 -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서성조(2005), 형용동사에 관한 소고,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용규(2000), 일본어의 형용사·형용동사에 관한 소고, 인천대학교어학원
주은경(2005),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형용사·형용동사 문형 분석, 건국대학교
최영철(2007), 일본어 음성상징어의 변화와 판별기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きれいで ない] 예쁘지 않다.
[きれいに] 예쁘게
1) だっ 의 용법
조동사 た 가 와서 ~ 했다.를 나타낸다.
또 조사 たり 가 와서 병렬 ~ 하기도 하고 을 나타내기도 한다.
靜かだったり やかましかったりした(조용하기도 했는가 하면 시끄럽기도 했다.)
2) で 의 용법
뒤에 형용사 [ない] 가 와서 부정을 만든다.
靜かで ない (조용하지 않다.)
- で 다음에 조사 は,も 가 올 수 있다.
- 뒤에 보조동사 ある가 와서 ~ 하다. 가 된다.
- ある를 쓰면 문어체 이다. 그 자체가 중지법으로 쓰인다. ~하고
3) に 의 용법
뒤에 오는 용언을 수식한다.
3. 종지형
기본형과 같다. 문장 끝에 놓여 ~ 하다 는 뜻. 조사 [と],[けれども], [が] 조동사 [そうだ] 등의 뒤에 이어진다.
きれいだ - 顔は きれいだ = 예쁘다
顔は きれいだと = 예쁘다고
顔は きれいだけれども= 예쁘지만
顔は きれいだが = 예쁘지만
顔は きれいだそうだ = 예쁘다고 한다.
4. 연체형
어미가 [な] 다. 역시 명사 앞에 놓인다. 동사나 형용사의 연체형은 종지형과 모양이 같지만 , 형용동사의 연체형은 다르다.
しずかな ところです(조용한 곳입니다.)
きれいな えです(예쁜 그림입니다.)
※ 조사 の , のに , ので 앞에 놓이기도 한다. 이 때의 조사를 준체조사라 한다.
しずかなの 조용한 것,
じずかなので 조용해서,
じずかなのに 조용한데도
5. 가정형
어미가 [なら] 다. 형용동사의 가정형은 [ば] 가 생략될 수 있다.
しずかなら(ば) 조용하면 , きれいなら(ば) 예쁘면
Ⅴ. 일본형용동사(일본어 형용동사, 일어 형용동사)와 복합형용동사
(1) こ, ご, お가 붙은 것
(2) 「げ, 的」이 붙은 것
悲しい →悲しげだ(슬픈 듯 하다)
名詞 + 的だ : 政治的だ(정치적이다)
참고문헌
목정수(2008), 일본어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유형론적 함의,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성희경(2011), 일어유해의 일본어 어법에 대하여 -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서성조(2005), 형용동사에 관한 소고,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용규(2000), 일본어의 형용사·형용동사에 관한 소고, 인천대학교어학원
주은경(2005),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형용사·형용동사 문형 분석, 건국대학교
최영철(2007), 일본어 음성상징어의 변화와 판별기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추천자료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일본어 학습 효과에 관한 분석
남여가 구사하는 일본어의 차이점
2011년 2학기 중급일본어활용2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관동지방과관서지방비교)
2011년 2학기 중급일본어활용2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일본어기초1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일본어활용1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중급일본어활용2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일본어기초2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일본어기초2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일본어문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중급일본어활용2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