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최고운전의 작품형성시기
1. 시기 추정
2. 임란 이전 형성의 의미
Ⅲ. 최고운전의 설화적 상징
Ⅳ. 최고운전의 소재
1. 역대 기록 추적
2. 중국 소설과의 관계
Ⅴ. 최고운전의 소설사적 위상
참고문헌
Ⅱ. 최고운전의 작품형성시기
1. 시기 추정
2. 임란 이전 형성의 의미
Ⅲ. 최고운전의 설화적 상징
Ⅳ. 최고운전의 소재
1. 역대 기록 추적
2. 중국 소설과의 관계
Ⅴ. 최고운전의 소설사적 위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았었는지도 모른다.
Ⅴ. 최고운전의 소설사적 위상
그간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최고운전」이 16세기 말이나 임진 병자 양란을 겪은 17세기 중반 정도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김현룡 교수가 보고한 바 高尙顔이 쓴 『效雜記』의 기록을 통해 1579년에 이미 「최고운전」이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확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최고운전」 향유 연대 소급은 16세기 소설사의 흐름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리라 생각된다. 「최고운전」의 존재는 이미 16세기 중·후반에 전기계 소설의 흐름과는 다른 맥락에서 영웅소설 양식이 성립되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최고운전」은 정병욱 교수가 처음 소개한 『김집 수택본 전기집』 소재 이본이 말해주듯이 『금오신화』의 여러 작품, 「왕경룡전」 등의 여타 한문본 전기소설 작품들과 같이 식자층에 의해 얽힌 전기소설의 범주에 포함 되는 작품이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 이 작품은 한글본을 통해 소설 독자층에 의해 수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향유 계층의 특징으로 보았을 때 이 작품은, 『齋日記』소재 번역 傳奇小說들의 존재를 통해 짐작할 수 있듯이 , 전기소설들이 한글로 번역되어 보다 다양한 계층에 의해 수용되기 시작하던 16세기 또는 17세기의 전기소설적 특징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소설은 文言的 한문체로 창작되었으며, 작품 속에 다양한 삽입시가가 등장한다는 점에서도 전기소설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이 작품은 소설의 구성과 표현에 있어서도 전기 소설적 특징을 강하게 드러낸다. 먼저 이 작품은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뛰어난 문재를 지녔으면서도 현실 세계에서 소외된 지식인의 소외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전기소설과 공통점을 지닌다. 그리고 환상적인 요소들을 등장시켜 그러한 소외 상황의 극복에 대한 낭만적인 꿈이 표현된다는 점에서도 전기 소설과 공통점을 지닌다. 현실 세계에서 소외된 비판적 지식인들이 자기 자신들의 소외의식을 작품에 투영하여 낭만적 형태로 해소시킨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전기소설의 범주에 속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대부분의 전기소설들과는 다른 특징을 드러내기도 한다. 대부분의 전기소설들에서는 주인공이 자신들의 소외 상황을 내면화된 형태로 제기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대다수의 전기 소설에서는 등장인물의 내면 표현이 중시되고 또한 삽입시들도 등장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최고운전」에서는 이처럼 소외 상황이 내면화되는 대신, 그것을 극복하려는 주인공의 적극적 행동을 통해 현실세계의 갈등이 대결적 형태로 제기된다. 그 결과 등장인물의 행동이 부각되어, 작품의 구성이 주인공의 일대기 형식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작품에 등장하는 삽입시들도 등장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것보다는 서사적 진행 과정에 나타나는 기능적 시가 형태로 탈바꿈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최고운전」은 『기재기이』나 『묵재일기』 소재 전기 소설 작품들과 형태를 달리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여타의 전기소설들에서와 달리 「최고운전」에만 나타나는 특징은 「최고운전」이 후대의 민중적 영웅소설들과 공유하는 것들이다. 예컨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대결 형식은 「전우치전」이나 「홍길동전」에서 주인공들이 소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벌이는 대결 형식과 그 성격이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영웅소설들에서처럼 전형적인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지닐 뿐 아니라, 작품을 구성하는 개별 화소들이 후대의 영웅소설에 등장하는 서사 단락들과 다음과 같이 정합적으로 대응된다.
첫째, 지하국 대적퇴치 설화 형식을 빌어 표현된 주인공 최치원의 혈통과, 작품 도중에 나타나는 적강 화소, 그리고 주인공 최치원을 원조하는 여러 형태의 천상적 힘의 존재는 후대 통속적 영웅소설에 설정된 적강 화소 및 천상적 질서와 정연하게 대응되는 요소이다. 둘째, 주인공 최치원이 부모로부터 버림을 받는 한편, 최치원도 부모를 부정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것은 아기장수 설화의 자식 살해 화소와 같은 것으로서, 김동욱, 사재동본 「전우치전」이나 「홍길동전」에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는 영웅적 인물의 부자 갈등과 대응된다. 셋째, 주인공 최치원이 나업의 종이 되어 말을 키우고 화원을 관리하다 나업의 사위가 되는 내용은 후대의 통속적 영웅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원조자와의 조우, 그리고 여인과의 결혼을 통한 계층 상승 과정과 대응된다. 넷째, 주인공 최치원이 문제를 풀어 국가의 위기를 구하고, 중국으로 건너가서 시련을 겪으면서 중국 황제와 대결하는 과정은 통속적 영웅소설에서 국가의 위기를 구하여 공업을 성취함으로써 획득한 지위를 굳게 다지는 군담의 기능과 정연하게 대응된다. 다섯째, 중국으로 가는 도중에 신이한 인물들로부터 받게 되는 원조는 통속적 영웅소설에 등장하는 도사 등의 원조와 대응된다.
이처럼 「최고운전」의 각 서사 단락들은 후대의 민중적 영웅소설 또는 통속적 영웅소설과 대응된다. 더욱이 「최고운전」은 현실 세계에 대한 강력한 비판적 대결의식을 형상화한 민중적 영웅 소설의 특징을 갖추면서도, 아울러서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후대의 통속적 영웅소설의 특징적 요소들까지 갖추어 영웅소설의 원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볼 때 「최고운전」은 16세기 후반에 비판적 지식인에 의해 창작되어 보다 다양한 계층에 의해 수용되면서, 전기 소설적 면모와 아울러 영웅소설적 면모를 갖춤으로써 영웅소설 양식의 형성 과정에 전기소설이 어떠한 형태로 개입되고 있는가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노성미(2011), 최고운전의 탄생모티프 연구, 배달말학회
○ 박일용(2010),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신재홍(2009), 최고운전의 신라사 인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유광수(2010),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오종근(1994), 최고운전의 형성과 계통, 동신대학교
○ 오종근(1990), 최고운전 연구, 원광대학교
Ⅴ. 최고운전의 소설사적 위상
그간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최고운전」이 16세기 말이나 임진 병자 양란을 겪은 17세기 중반 정도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김현룡 교수가 보고한 바 高尙顔이 쓴 『效雜記』의 기록을 통해 1579년에 이미 「최고운전」이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확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최고운전」 향유 연대 소급은 16세기 소설사의 흐름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리라 생각된다. 「최고운전」의 존재는 이미 16세기 중·후반에 전기계 소설의 흐름과는 다른 맥락에서 영웅소설 양식이 성립되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최고운전」은 정병욱 교수가 처음 소개한 『김집 수택본 전기집』 소재 이본이 말해주듯이 『금오신화』의 여러 작품, 「왕경룡전」 등의 여타 한문본 전기소설 작품들과 같이 식자층에 의해 얽힌 전기소설의 범주에 포함 되는 작품이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 이 작품은 한글본을 통해 소설 독자층에 의해 수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향유 계층의 특징으로 보았을 때 이 작품은, 『齋日記』소재 번역 傳奇小說들의 존재를 통해 짐작할 수 있듯이 , 전기소설들이 한글로 번역되어 보다 다양한 계층에 의해 수용되기 시작하던 16세기 또는 17세기의 전기소설적 특징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소설은 文言的 한문체로 창작되었으며, 작품 속에 다양한 삽입시가가 등장한다는 점에서도 전기소설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이 작품은 소설의 구성과 표현에 있어서도 전기 소설적 특징을 강하게 드러낸다. 먼저 이 작품은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뛰어난 문재를 지녔으면서도 현실 세계에서 소외된 지식인의 소외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전기소설과 공통점을 지닌다. 그리고 환상적인 요소들을 등장시켜 그러한 소외 상황의 극복에 대한 낭만적인 꿈이 표현된다는 점에서도 전기 소설과 공통점을 지닌다. 현실 세계에서 소외된 비판적 지식인들이 자기 자신들의 소외의식을 작품에 투영하여 낭만적 형태로 해소시킨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전기소설의 범주에 속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대부분의 전기소설들과는 다른 특징을 드러내기도 한다. 대부분의 전기소설들에서는 주인공이 자신들의 소외 상황을 내면화된 형태로 제기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대다수의 전기 소설에서는 등장인물의 내면 표현이 중시되고 또한 삽입시들도 등장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최고운전」에서는 이처럼 소외 상황이 내면화되는 대신, 그것을 극복하려는 주인공의 적극적 행동을 통해 현실세계의 갈등이 대결적 형태로 제기된다. 그 결과 등장인물의 행동이 부각되어, 작품의 구성이 주인공의 일대기 형식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작품에 등장하는 삽입시들도 등장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것보다는 서사적 진행 과정에 나타나는 기능적 시가 형태로 탈바꿈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최고운전」은 『기재기이』나 『묵재일기』 소재 전기 소설 작품들과 형태를 달리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여타의 전기소설들에서와 달리 「최고운전」에만 나타나는 특징은 「최고운전」이 후대의 민중적 영웅소설들과 공유하는 것들이다. 예컨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대결 형식은 「전우치전」이나 「홍길동전」에서 주인공들이 소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벌이는 대결 형식과 그 성격이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영웅소설들에서처럼 전형적인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지닐 뿐 아니라, 작품을 구성하는 개별 화소들이 후대의 영웅소설에 등장하는 서사 단락들과 다음과 같이 정합적으로 대응된다.
첫째, 지하국 대적퇴치 설화 형식을 빌어 표현된 주인공 최치원의 혈통과, 작품 도중에 나타나는 적강 화소, 그리고 주인공 최치원을 원조하는 여러 형태의 천상적 힘의 존재는 후대 통속적 영웅소설에 설정된 적강 화소 및 천상적 질서와 정연하게 대응되는 요소이다. 둘째, 주인공 최치원이 부모로부터 버림을 받는 한편, 최치원도 부모를 부정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것은 아기장수 설화의 자식 살해 화소와 같은 것으로서, 김동욱, 사재동본 「전우치전」이나 「홍길동전」에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는 영웅적 인물의 부자 갈등과 대응된다. 셋째, 주인공 최치원이 나업의 종이 되어 말을 키우고 화원을 관리하다 나업의 사위가 되는 내용은 후대의 통속적 영웅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원조자와의 조우, 그리고 여인과의 결혼을 통한 계층 상승 과정과 대응된다. 넷째, 주인공 최치원이 문제를 풀어 국가의 위기를 구하고, 중국으로 건너가서 시련을 겪으면서 중국 황제와 대결하는 과정은 통속적 영웅소설에서 국가의 위기를 구하여 공업을 성취함으로써 획득한 지위를 굳게 다지는 군담의 기능과 정연하게 대응된다. 다섯째, 중국으로 가는 도중에 신이한 인물들로부터 받게 되는 원조는 통속적 영웅소설에 등장하는 도사 등의 원조와 대응된다.
이처럼 「최고운전」의 각 서사 단락들은 후대의 민중적 영웅소설 또는 통속적 영웅소설과 대응된다. 더욱이 「최고운전」은 현실 세계에 대한 강력한 비판적 대결의식을 형상화한 민중적 영웅 소설의 특징을 갖추면서도, 아울러서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후대의 통속적 영웅소설의 특징적 요소들까지 갖추어 영웅소설의 원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볼 때 「최고운전」은 16세기 후반에 비판적 지식인에 의해 창작되어 보다 다양한 계층에 의해 수용되면서, 전기 소설적 면모와 아울러 영웅소설적 면모를 갖춤으로써 영웅소설 양식의 형성 과정에 전기소설이 어떠한 형태로 개입되고 있는가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노성미(2011), 최고운전의 탄생모티프 연구, 배달말학회
○ 박일용(2010),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신재홍(2009), 최고운전의 신라사 인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유광수(2010),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오종근(1994), 최고운전의 형성과 계통, 동신대학교
○ 오종근(1990), 최고운전 연구, 원광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