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평안남도 개관
1. 연혁 ……………………………………………………………………………3
Ⅱ. 자연지리
1. 기후 ……………………………………………………………………………4
2. 지세와 지질 ………………………………………………………………… 4
1) 지세 …………………………………………………………………………4
2) 지질 …………………………………………………………………………5
3. 강 …………………………………………………………………………·…6
1) 대동강 ………………………………………………………………………6
2) 청천강 ………………………………………………………………………7
4. 문화유적 ………………………………………………………………………8
Ⅲ. 인문지리
1. 행정구역 ……………………………………………………………………8
2. 교육기관 ……………………………………………………………………19
3. 시설물 ………………………………………………………………………22
1) 체육시설 …………………………………………………………………22
2) 관광시설 …………………………………………………………………23
4. 역사적 사건 …………………………………………………………………24
1) 제너럴 셔먼호 사건 ………………………………………………………24
2) 평안도 농민전쟁 …………………………………………………………24
Ⅳ. 산업지리
1. 교통 (철도/도로/배) ………………………………………………………26
1) 철도 ……………………………………………………………………… 26
2) 도로 ……………………………………………………………………… 26
3) 수로 ……………………………………………………………………… 26
2. 주요산업(시설) ………………………………………………………………27
1) 북창화력발전소 ……………………………………………………………28
2) 순천비날론공장 ……………………………………………………………28
3) 순천시멘트공장 ……………………………………………………………29
4) 승리자동차공장 ……………………………………………………………30
3. 경협사업 ………………………………………………………………………30
4. 서해갑문 ………………………………………………………………………31
Ⅴ. 평안남도의 미래 ………………………………………………………………33
표
<표-1. 평안남도의 문화유적>
<표-2. 평안남도의 행정구역>
<표-3. 평안남도 행정구역의 특징>
<표-4. 평안남도의 교육기관>
<표-5. 평안남도의 주요 체육시설>
<표-6. 평안남도의 교통수단>
1. 연혁 ……………………………………………………………………………3
Ⅱ. 자연지리
1. 기후 ……………………………………………………………………………4
2. 지세와 지질 ………………………………………………………………… 4
1) 지세 …………………………………………………………………………4
2) 지질 …………………………………………………………………………5
3. 강 …………………………………………………………………………·…6
1) 대동강 ………………………………………………………………………6
2) 청천강 ………………………………………………………………………7
4. 문화유적 ………………………………………………………………………8
Ⅲ. 인문지리
1. 행정구역 ……………………………………………………………………8
2. 교육기관 ……………………………………………………………………19
3. 시설물 ………………………………………………………………………22
1) 체육시설 …………………………………………………………………22
2) 관광시설 …………………………………………………………………23
4. 역사적 사건 …………………………………………………………………24
1) 제너럴 셔먼호 사건 ………………………………………………………24
2) 평안도 농민전쟁 …………………………………………………………24
Ⅳ. 산업지리
1. 교통 (철도/도로/배) ………………………………………………………26
1) 철도 ……………………………………………………………………… 26
2) 도로 ……………………………………………………………………… 26
3) 수로 ……………………………………………………………………… 26
2. 주요산업(시설) ………………………………………………………………27
1) 북창화력발전소 ……………………………………………………………28
2) 순천비날론공장 ……………………………………………………………28
3) 순천시멘트공장 ……………………………………………………………29
4) 승리자동차공장 ……………………………………………………………30
3. 경협사업 ………………………………………………………………………30
4. 서해갑문 ………………………………………………………………………31
Ⅴ. 평안남도의 미래 ………………………………………………………………33
표
<표-1. 평안남도의 문화유적>
<표-2. 평안남도의 행정구역>
<표-3. 평안남도 행정구역의 특징>
<표-4. 평안남도의 교육기관>
<표-5. 평안남도의 주요 체육시설>
<표-6. 평안남도의 교통수단>
본문내용
. 오늘날의 평안남도는 석탄공업, 전력공업, 화학공업, 광업, 기계공업, 금속공업, 건재, 임업, 경공업 등 고른 산업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산업이 발달된 데에는 기본적으로 공업의 재료가 되는 광물자원과 임산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또한 평안남도는 황해남도와 함께 북한의 곡창지역으로서 중시되어 왔고, 평안북도 다음으로 수산업이 발달하였으며, 우리나라 제일의 탄전을 자랑하는 개천탄전을 비롯하여 여러 탄전이 있어 가히 ‘검은 금강석’지대라 할 수 있는 지역이다.
또한 평양을 안고 있는 지형적 특성으로 ‘북한의 수도권’이라 불리며, 북한에서 교통 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고, 활발한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남포항도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평안남도는 여러 유물, 유적과 온천 등의 관광자원을 많이 가지고 있다.
1. 교통체계 발전
북한만을 놓고 보았을 때 평안남도는 북한의 남북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데다 평양시를 둘러싸고 있기에 경제뿐 아니라 교통에 대해서도 중심지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내에는 철도운수, 도로운수, 해상운수 등 다양한 교통망이 구축되어 있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철도이다. 평안남도는 북한에서 철도연장길이와 분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다. 도 내외는 간선철도인 평의선, 평라선, 만포선 등 철도와 평남선, 평덕선, 개천선을 비롯한 20여 개의 지선과 인입선에 의해 도 안팎 여러 지역을 연결하도록 짜인 철도망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철도망은 석탄, 철광석, 화학비료, 시멘트, 기계설비, 강재, 목재, 농산물 등을 도 안팎으로 수송하는 등 지역 간 경제·문화적 연결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112&eid=32SQi1nULo6r0gpPfvfF4SAq
9IDMQjxO.
그러나 현재로서는 대부분의 교통망이 평양을 중심으로 한 교통망이므로 그 주변지역의 교통체계는 아직은 미약한 것이 사실이지만, 이렇게 기반이 조성되어 있는 교통망들을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발전시킨다면, 평안남도는 미래 한반도 교통의 중심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미래 통일 시에는 여러 북한 방문객이나, 관광객들이 평양의 순안공항으로 항공편을 이용하여 북한에 진입한 후, 가까운 평안남도의 철도망과 교통망을 이용하여 남북 각지로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평안남도를 관통하는 경의선을 발전시켜 남한에서 신의주, 나아가 러시아 등의 나라까지 연결이 된다면, 경제적, 문화적 등 많은 성과들을 더불어 가져올 것이다.
또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북한 제일의 무역항인 남포항을 대중국 무역 등에 이용한다면, 커다란 무역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2. 관광자원 발전
평안남도에는 쌍영총, 강서삼묘 등의 유물, 유적과 룡강온천의 휴양지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또한 평안남도에는 60년대 중반 발견된 ’지하금강’으로 불리는 석회동굴로, 왕복 4㎞를 둘러보는데 2시간30분가량 걸리는 송암동굴이 유명한데, 조선신보에 따르면 ‘평안남도 개천시와 안주시 사이에 있는 송암동굴은 지난 2004년 4월 첫 관람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2년 남짓한 기간에 무려 23만여 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 해마다 3월초부터 12월초까지 참관이 가능한 이 동굴은 하루 평균 참관자가 800여명에 달하고 5.1절(노동절) 등 명절과 휴일에는 1천여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고 있다. 지난 2002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현장을 찾아 개건(改建) 사업 방향에 대한 현지 지도를 한 곳인 이 동굴은 자연경치에 어울리는 휴게시설이 잘 갖춰져 관광객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관광자원을 평안남도의 교통망과 연계하여 발전시킨다면, 후에 커다란 이득창출의
원천이 될 것이다.
또한 통일 시에, 와우도 유원지나 만경대 유희장을 확대개편하여 미국의 디즈니랜드나,
한국의 에버랜드, 롯데월드 같은 놀이시설을 건설하게 된다면, 북한의 중심지역에서 사회주
의를 버리고, 자본주의의 상징인 놀이공원을 건설하는 상당한 의미를 갖게 될 것으로 보인
다. 이러한 자본주의의 상징물을 대규모로 도입한다면, 이는 곧 민주주의로의 상징으로 발
전될 수 있을 것이다.
평안남도는 수도인 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나 서해를 옆에 두고 철도, 도로, 해상 교
통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등 우리나라의 경기도와 입지적으로 비슷한 위치에 있다. 이러한
입지적 조건으로 인해 실제로 그 기능적인 면에서도 평양과 지방의 경제, 교통, 문화적 교
량의 역할을 하고 있어 북한의 '수도권'이라 말할 수 있다.
통일시 평안남도는 북한의 수도권으로서 역할이 주어질 것이고, 급격히 발전될 것이다.
하지만, 그 발전은 빠른 속도만큼이나 무분별한 발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 평안남도와 유사
한 남한의 경기도를 표본으로 삼아 계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현재 경기도는 인구 수용능력이 포화된 서울로 인해,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 조건으로 역
시 인구과열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과거의 무분별한 난개발로 인하여 현재, 그에 대
한 대책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난개발의 역사가 재발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통일한국을 대비한 평안남도의 도시계획 청사진이 필요하다고 여
겨진다.
이러한 지리적, 기능적 자원을 기반으로 하여, 교통, 관광, 산업 등을 고루 발전시켜 나간다면, 평안남도는 통일 후 제2의 ‘수도권’의 역할을 충분히 해낼 것으로 여겨진다.
□ 참 고 문 헌 □
○「신 북한 지리지』, 배기찬. 다나, 1994.
○ 2006 북한연감』, 연합뉴스. 2006.
○「백과전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2.
○ 두산세계대백과
○ 북한의 시멘트산업」, 한국양회공업협회, 2000.
○ 연합뉴스 2005-07-20. /
○ 한겨레 2006-10-10
○ 국민일보 2006-06-26.
○ 연합뉴스 2006-06-23.
○ 국가정보원, http://www.nis.go.kr/app/board/view.
○ http://www.nkchosun.com
○ http://www.naver.com
또한 평안남도는 황해남도와 함께 북한의 곡창지역으로서 중시되어 왔고, 평안북도 다음으로 수산업이 발달하였으며, 우리나라 제일의 탄전을 자랑하는 개천탄전을 비롯하여 여러 탄전이 있어 가히 ‘검은 금강석’지대라 할 수 있는 지역이다.
또한 평양을 안고 있는 지형적 특성으로 ‘북한의 수도권’이라 불리며, 북한에서 교통 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고, 활발한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남포항도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평안남도는 여러 유물, 유적과 온천 등의 관광자원을 많이 가지고 있다.
1. 교통체계 발전
북한만을 놓고 보았을 때 평안남도는 북한의 남북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데다 평양시를 둘러싸고 있기에 경제뿐 아니라 교통에 대해서도 중심지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내에는 철도운수, 도로운수, 해상운수 등 다양한 교통망이 구축되어 있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철도이다. 평안남도는 북한에서 철도연장길이와 분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다. 도 내외는 간선철도인 평의선, 평라선, 만포선 등 철도와 평남선, 평덕선, 개천선을 비롯한 20여 개의 지선과 인입선에 의해 도 안팎 여러 지역을 연결하도록 짜인 철도망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철도망은 석탄, 철광석, 화학비료, 시멘트, 기계설비, 강재, 목재, 농산물 등을 도 안팎으로 수송하는 등 지역 간 경제·문화적 연결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112&eid=32SQi1nULo6r0gpPfvfF4SAq
9IDMQjxO.
그러나 현재로서는 대부분의 교통망이 평양을 중심으로 한 교통망이므로 그 주변지역의 교통체계는 아직은 미약한 것이 사실이지만, 이렇게 기반이 조성되어 있는 교통망들을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발전시킨다면, 평안남도는 미래 한반도 교통의 중심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미래 통일 시에는 여러 북한 방문객이나, 관광객들이 평양의 순안공항으로 항공편을 이용하여 북한에 진입한 후, 가까운 평안남도의 철도망과 교통망을 이용하여 남북 각지로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평안남도를 관통하는 경의선을 발전시켜 남한에서 신의주, 나아가 러시아 등의 나라까지 연결이 된다면, 경제적, 문화적 등 많은 성과들을 더불어 가져올 것이다.
또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북한 제일의 무역항인 남포항을 대중국 무역 등에 이용한다면, 커다란 무역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2. 관광자원 발전
평안남도에는 쌍영총, 강서삼묘 등의 유물, 유적과 룡강온천의 휴양지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또한 평안남도에는 60년대 중반 발견된 ’지하금강’으로 불리는 석회동굴로, 왕복 4㎞를 둘러보는데 2시간30분가량 걸리는 송암동굴이 유명한데, 조선신보에 따르면 ‘평안남도 개천시와 안주시 사이에 있는 송암동굴은 지난 2004년 4월 첫 관람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2년 남짓한 기간에 무려 23만여 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 해마다 3월초부터 12월초까지 참관이 가능한 이 동굴은 하루 평균 참관자가 800여명에 달하고 5.1절(노동절) 등 명절과 휴일에는 1천여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고 있다. 지난 2002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현장을 찾아 개건(改建) 사업 방향에 대한 현지 지도를 한 곳인 이 동굴은 자연경치에 어울리는 휴게시설이 잘 갖춰져 관광객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관광자원을 평안남도의 교통망과 연계하여 발전시킨다면, 후에 커다란 이득창출의
원천이 될 것이다.
또한 통일 시에, 와우도 유원지나 만경대 유희장을 확대개편하여 미국의 디즈니랜드나,
한국의 에버랜드, 롯데월드 같은 놀이시설을 건설하게 된다면, 북한의 중심지역에서 사회주
의를 버리고, 자본주의의 상징인 놀이공원을 건설하는 상당한 의미를 갖게 될 것으로 보인
다. 이러한 자본주의의 상징물을 대규모로 도입한다면, 이는 곧 민주주의로의 상징으로 발
전될 수 있을 것이다.
평안남도는 수도인 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나 서해를 옆에 두고 철도, 도로, 해상 교
통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등 우리나라의 경기도와 입지적으로 비슷한 위치에 있다. 이러한
입지적 조건으로 인해 실제로 그 기능적인 면에서도 평양과 지방의 경제, 교통, 문화적 교
량의 역할을 하고 있어 북한의 '수도권'이라 말할 수 있다.
통일시 평안남도는 북한의 수도권으로서 역할이 주어질 것이고, 급격히 발전될 것이다.
하지만, 그 발전은 빠른 속도만큼이나 무분별한 발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 평안남도와 유사
한 남한의 경기도를 표본으로 삼아 계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현재 경기도는 인구 수용능력이 포화된 서울로 인해,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 조건으로 역
시 인구과열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과거의 무분별한 난개발로 인하여 현재, 그에 대
한 대책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난개발의 역사가 재발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통일한국을 대비한 평안남도의 도시계획 청사진이 필요하다고 여
겨진다.
이러한 지리적, 기능적 자원을 기반으로 하여, 교통, 관광, 산업 등을 고루 발전시켜 나간다면, 평안남도는 통일 후 제2의 ‘수도권’의 역할을 충분히 해낼 것으로 여겨진다.
□ 참 고 문 헌 □
○「신 북한 지리지』, 배기찬. 다나, 1994.
○ 2006 북한연감』, 연합뉴스. 2006.
○「백과전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2.
○ 두산세계대백과
○ 북한의 시멘트산업」, 한국양회공업협회, 2000.
○ 연합뉴스 2005-07-20. /
○ 한겨레 2006-10-10
○ 국민일보 2006-06-26.
○ 연합뉴스 2006-06-23.
○ 국가정보원, http://www.nis.go.kr/app/board/view.
○ http://www.nkchosun.com
○ http://www.nav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