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심장과 심장기형
Ⅱ. 심장과 심장장애
Ⅲ. 심장과 발작
Ⅳ. 심장과 심낭천자
1. 목적
2. 심낭천자 부위
Ⅴ. 심장과 심장병
1. 돌연사
2. 실신
3. 부정맥
4. 심장 판막 질환
5. 심근증
6. 심부전증
7. 고혈압
8. 동맥경화증
9. 관상동맥 질환
10. 협심증
11. 심근경색증
Ⅵ. 심장과 혈압
1. 수축기(최고) 혈압
2. 확장기(최저) 혈압
3. 혈압 측정
Ⅶ. 심장과 심음
1. 제 1심음(S1)
2. 제 2심음(S2)
3. 제 3심음(S3)
4. 제 4심음(S4)
Ⅷ. 심장과 흡연
참고문헌
Ⅱ. 심장과 심장장애
Ⅲ. 심장과 발작
Ⅳ. 심장과 심낭천자
1. 목적
2. 심낭천자 부위
Ⅴ. 심장과 심장병
1. 돌연사
2. 실신
3. 부정맥
4. 심장 판막 질환
5. 심근증
6. 심부전증
7. 고혈압
8. 동맥경화증
9. 관상동맥 질환
10. 협심증
11. 심근경색증
Ⅵ. 심장과 혈압
1. 수축기(최고) 혈압
2. 확장기(최저) 혈압
3. 혈압 측정
Ⅶ. 심장과 심음
1. 제 1심음(S1)
2. 제 2심음(S2)
3. 제 3심음(S3)
4. 제 4심음(S4)
Ⅷ. 심장과 흡연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1일 1회∼2회 측정하면 되고, 하루 2번 측정하면 오전 10시와 오후 8시경에 측정하고, 1번만 측정한다면 하루 중 가장 편안 할 때에 측정하면 된다.
Ⅶ. 심장과 심음
심음은 심장의 수축과 판막의 폐쇄 및 혈류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음으로 심장부에서 들리는 독특한 소리이며, 청진기로 잘 청취된다.
1. 제 1심음(S1)
심실 수축 초기에 이첨판과 삼첨판의 폐쇄시 혈액이 판막벽에 부딪치는 소리로 길고 둔한 저음이다. 방실판막의 폐쇄부전이 있을 때는 제 1심음은 제 2심음이 들리기 직전까지 계속하여 들린다.
2. 제 2심음(S2)
심실확장 직후에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닫힘으로써 일어나는 진동음으로 짧은 고음이다. 대동맥판막의 폐쇄가 폐동맥 판막보다 약간 빠른데, 이것은 좌심실의 혈액분출이 우심실 보다 일찍 끝나기 때문이다. 반월판막의 폐쇄부전이 있을 때 제 2심음은 제 1심음이 들릴 때까지 이어진다.
3. 제 3심음(S3)
제 2심음 후 0.12초~0.16초 사이의 심장확장기 초에 일어나는 심실의 충만음 이다. 이것은 방실판막이 열려 심방으로부터 들어온 혈액이 심실을 통과한 직후에 발생되는 아주 약하고 짧은 음으로 청진 상으로도 젊은 사람에서 가끔 정상적으로 들을 수 있으나 성인에서는 심장질환의 첫 징후일 수 있다. 즉 정상적으로 제 3심음은 30대 이후에는 드물고 순환계 질환이 없는 40대 이후에는 전혀 볼 수 없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항진증이나 빈혈로 좌심실의 박동량이 많을 때나 대동맥 폐쇄부전증, 승모판이나 삼첨판의 역류, 심장중격 결손증, 폐성심 등 심장의 순환부담이 클 때는 청취된다.
4. 제 4심음(S4)
정상 심장인 사람에게는 일반적으로 들을 수 없으며 선천성 심장 질환자에서 청취된다. 또 대동맥 협착증이나 허혈성 심질환, 동성 부정맥, 심부전증 등에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제 3심음, 제 4심음은 말발굽 소리와 같은 분마성 리듬이다. 심음은 보통 승모판 부위, 삼첨판 부위, 대동맥 부위 폐동맥 부위에서 잘 청취된다.
Ⅷ. 심장과 흡연
소량의 간접흡연도 비흡연가의 심장혈관 계통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23일 보도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 의대 교수이자 금연운동가인 스탠턴 글랜츠는 의학저널 `순환\'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장기간의 간접흡연은 심장발작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을 비롯해 심장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글랜츠 교수와 동료 호아퀸 바노야 교수는 직접 흡연과 간접흡연의 영향을 비교한 1995년 이후 의학보고서 29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만성적으로 간접흡연에 노출된 사람은 하루 한 갑씩 담배를 피우는 흡연가의 80% 정도 건강에 나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랜츠 교수는 \"수 분에서 수 시간을 넘지 않는 짧은 간접흡연조차 만성적인 직접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80~90%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글랜츠 교수는 \"간접흡연을 통한 담배연기 속 독성물질이 끼치는 영향 중 대부분은 5분 내의 노출로 발생한다.\"며 \"만일 이미 관상동맥 순환계통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담배 연기가 가득 찬 공간 속으로 들어간다면, 급성 심장 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상당히 커진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혈전, 혈관의 수축능력, 혈관 경직, 동맥경화, 염증, 심박변이도 등을 포함해 심장혈관 기능의 핵심 요인들이 간접흡연에서 발견되는 독성물질에 매우 민감하다는 여러 증거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바로냐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담배업계가 주장하는 것과 배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비흡연가의 간접흡연량은 소량에 불과하므로 흡연가만큼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게 담배업계의 주장\"이라며 하지만 비흡연가는 담배연기에 더 민감하고, 흡연가보다 건강에 더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곽철 외 1명, 심음 기반의 심장질환 분류를 위한 새로운 시간영역 특징, 한국음향학회, 2010
드와이트 런델 외 2명, 심장병의 치료와 예방 : 온나라 국민을 구한다!, 엠디월드, 2010
정해억, 혈압 및 심장 관련 평가, 약업신문사, 2002
최경숙 외 2명, 선천성 심장기형의 산전 진단 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질적연구센터, 2003
홍양자 외 1명, 심장장애아동을 위한 체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989
Edward K. Chung 외 1명, 심장발작과 관련 심장문제에 대한 100문 & 100답, 신일북스, 2007
Ⅶ. 심장과 심음
심음은 심장의 수축과 판막의 폐쇄 및 혈류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음으로 심장부에서 들리는 독특한 소리이며, 청진기로 잘 청취된다.
1. 제 1심음(S1)
심실 수축 초기에 이첨판과 삼첨판의 폐쇄시 혈액이 판막벽에 부딪치는 소리로 길고 둔한 저음이다. 방실판막의 폐쇄부전이 있을 때는 제 1심음은 제 2심음이 들리기 직전까지 계속하여 들린다.
2. 제 2심음(S2)
심실확장 직후에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닫힘으로써 일어나는 진동음으로 짧은 고음이다. 대동맥판막의 폐쇄가 폐동맥 판막보다 약간 빠른데, 이것은 좌심실의 혈액분출이 우심실 보다 일찍 끝나기 때문이다. 반월판막의 폐쇄부전이 있을 때 제 2심음은 제 1심음이 들릴 때까지 이어진다.
3. 제 3심음(S3)
제 2심음 후 0.12초~0.16초 사이의 심장확장기 초에 일어나는 심실의 충만음 이다. 이것은 방실판막이 열려 심방으로부터 들어온 혈액이 심실을 통과한 직후에 발생되는 아주 약하고 짧은 음으로 청진 상으로도 젊은 사람에서 가끔 정상적으로 들을 수 있으나 성인에서는 심장질환의 첫 징후일 수 있다. 즉 정상적으로 제 3심음은 30대 이후에는 드물고 순환계 질환이 없는 40대 이후에는 전혀 볼 수 없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항진증이나 빈혈로 좌심실의 박동량이 많을 때나 대동맥 폐쇄부전증, 승모판이나 삼첨판의 역류, 심장중격 결손증, 폐성심 등 심장의 순환부담이 클 때는 청취된다.
4. 제 4심음(S4)
정상 심장인 사람에게는 일반적으로 들을 수 없으며 선천성 심장 질환자에서 청취된다. 또 대동맥 협착증이나 허혈성 심질환, 동성 부정맥, 심부전증 등에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제 3심음, 제 4심음은 말발굽 소리와 같은 분마성 리듬이다. 심음은 보통 승모판 부위, 삼첨판 부위, 대동맥 부위 폐동맥 부위에서 잘 청취된다.
Ⅷ. 심장과 흡연
소량의 간접흡연도 비흡연가의 심장혈관 계통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23일 보도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 의대 교수이자 금연운동가인 스탠턴 글랜츠는 의학저널 `순환\'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장기간의 간접흡연은 심장발작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을 비롯해 심장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글랜츠 교수와 동료 호아퀸 바노야 교수는 직접 흡연과 간접흡연의 영향을 비교한 1995년 이후 의학보고서 29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만성적으로 간접흡연에 노출된 사람은 하루 한 갑씩 담배를 피우는 흡연가의 80% 정도 건강에 나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랜츠 교수는 \"수 분에서 수 시간을 넘지 않는 짧은 간접흡연조차 만성적인 직접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80~90%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글랜츠 교수는 \"간접흡연을 통한 담배연기 속 독성물질이 끼치는 영향 중 대부분은 5분 내의 노출로 발생한다.\"며 \"만일 이미 관상동맥 순환계통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담배 연기가 가득 찬 공간 속으로 들어간다면, 급성 심장 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상당히 커진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혈전, 혈관의 수축능력, 혈관 경직, 동맥경화, 염증, 심박변이도 등을 포함해 심장혈관 기능의 핵심 요인들이 간접흡연에서 발견되는 독성물질에 매우 민감하다는 여러 증거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바로냐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담배업계가 주장하는 것과 배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비흡연가의 간접흡연량은 소량에 불과하므로 흡연가만큼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게 담배업계의 주장\"이라며 하지만 비흡연가는 담배연기에 더 민감하고, 흡연가보다 건강에 더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곽철 외 1명, 심음 기반의 심장질환 분류를 위한 새로운 시간영역 특징, 한국음향학회, 2010
드와이트 런델 외 2명, 심장병의 치료와 예방 : 온나라 국민을 구한다!, 엠디월드, 2010
정해억, 혈압 및 심장 관련 평가, 약업신문사, 2002
최경숙 외 2명, 선천성 심장기형의 산전 진단 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질적연구센터, 2003
홍양자 외 1명, 심장장애아동을 위한 체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989
Edward K. Chung 외 1명, 심장발작과 관련 심장문제에 대한 100문 & 100답, 신일북스, 2007
추천자료
사후 피임약의 개념과 피임약에 대한 여성들의 잘못된 생각
약물(마약류) 남용의 원인 및 예방 전략과 치료
대부 (The Godfather) 감상문
대공황의 전개에대해
[민사소송법]존그리샴의 소환장에 대한 법률적 고찰
애들러와 개인심리학
[협심증][협심증 개념][협심증 원인][협심증 종류][협심증 증상][협심증 징후][협심증 진단][...
병원에서 실시하는 검사의 목적, 방법, 간호
강원대학교 '인간과 마약' 내용요약 Chapter2
[생물학적 노화] 생물학적 노화의 개념과 특성 및 양상
[간호학] 울혈성심부전 CHF. (congestive heart failure) 케이스 스터디
심근경색(MI)
관상동맥우회술(CABG)
청소년 약물남용과 사회복지적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 및 교육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