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소화기 개념][소화기 종류][소화기 사용법과 관리][소화기와 소화호스][소화호스]소화기의 개념, 소화기의 종류, 소화기의 사용법과 관리, 소화기와 소화호스 분석(소화기, 소화기 개념, 소화기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화기][소화기 개념][소화기 종류][소화기 사용법과 관리][소화기와 소화호스][소화호스]소화기의 개념, 소화기의 종류, 소화기의 사용법과 관리, 소화기와 소화호스 분석(소화기, 소화기 개념, 소화기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소화기의 개념

Ⅲ. 소화기의 종류
1. 쓰는 약제에 따라
1) 분말소화기
2) 이산화탄소소화기
3) 할로겐화합물(하론)소화기
2. 작동하는 방식에 따라
1) 수동식소화기
2) 자동식소화기
3) 자동겸용 수동소화기
3. 약제를 밀어내는 기체의 저장방식에 따라
1) 축압식 소화기
2) 가스가압식 소화기
4. 소화약제의 양에 따라
1) 간이소화용구
2) 소형 소화기
3) 대형 소화기

Ⅳ. 소화기의 사용법과 관리
1. 사용방법
2. 소화기 사용시 주의할 점
3. 관리요령

Ⅴ. 소화기와 소화호스
1. 기본적 소화호스 사용기법
2. 소방호스 훼손 방지
3. 소방호스 설치자세
4. 작은 규격의 소방호스 사용기법
5. 큰 규격의 소방호스 사용기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령은 호스를 직선으로 놓으면 된다.
○ 호스가 튕기는 사고는 호스가 굵으면 증가한다. 1½″(40mm), 2½″(65mm)호스라인을 사용할 때는 적어도 노즐 뒤 약 3.5m 정도 곧게 놓아야 한다.
○ 화재에 접근하여 진화할 때도 계속 화재에 대한 판단을 하여야 하고, 판단은 화재 진화작업 전과정에 걸쳐 실시하여야 한다.
○ 화재가 갑자기 확대되었거나 강도가 커졌다면 진화작업은 일단 뒤로 물러서야 할 때도 있다. 더 크고 강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재공격을 개시하여야 한다.
○ 진화작업이 완전히 완료되었을 때 소방대원은 재발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저하게 젖어 있는가의 점검을 전 지역에 걸쳐 실시하여야 한다.
4. 작은 규격의 소방호스 사용기법
○ 작은 규격의 호스, 즉 1″(25mm), 1½″(40mm)호스로는 한명이 화재를 다룰 수 있다. 그러나, 대화재시는 대형호스가 필요하고, 수십명의 대원이 필요하게 된다.
○ 유류 등의 누출화재의 경우는 직사 또는 복사열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변식 분무노즐을 분사로 고정시켜 사용한다.
○ 분무에 더 큰 효과가 있게 하려면 바람이 부는 방향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 노즐을 작동시켜 직사, 분무 등의 조작이 완전한 것인가를 작동시험후 노즐을 약 30°나 그 이하로 고정시킨다.
○ 1½″(40mm)호스를 연결하는 것이 대원을 보호하는 데 더 유리하다.
○ 두 사람이 지면화재를 공격할 때는 1½″호스를 연결하고 가변식 분무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물줄기 각도는 90~120°사이의 각도를 택하는 것이 유효하다.
5. 큰 규격의 소방호스 사용기법
○ 2½″(65mm)호스라인 한 줄기를 사용할 경우 대원들은 호스를 중심으로 서로 엇갈린 방향에서 작업한다. 이 자세는 안정성이 좋고, 특히 지면이 미끄러울 때 유효하다.
○ 2½″(65mm)호스 2라인을 사용할 때 지휘자는 V자형 호스안에 대원 사이에 위치한다. 각 대원(hose man)들은 호스의 같은 방향에 있어야 한다. 지휘자와 대원간의 의사소통은 V자형 안이 더 쉽다. V자형은 곤란한 진화작업, 복사열로부터 보호하는 데 유효하다
○ 대원은 자기들의 위치에서 서서히 전진하고 계속 심사숙고 하여 상황판단을 하여야 한다.
○ 발디딤을 가장 안전하게 유지하려면 옆걸음을 걷거나 발을 질질 끌면서 걸어야 좋다.
○ 화재에 접근할 때는 지휘자는 물줄기를 조절하고 노즐의 위치를 결정한다.
○ 맨 끝에서 호스를 잡고 있는 대원은 호스를 땅에 붙여야 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땅에 닿은 호스의 마찰이 후진력 또는 반동력을 많이 흡수하여 감소시킨다.
○ 불꽃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서 호스를 잡고 있는 대원은 후퇴할 때 대원을 인도하여야 하고, 이때 지휘자나 그 외 대원들은 화재를 계속 지켜봐야 한다.
○ 대원이 후퇴할 때는 처음에는 깊이 구부린 자세를 하고 다음에는 약간 구부린 자세를 취하는 것이 화재 위험지역으로부터 완전히 보호하는 방법이 된다.
○ 화재 위험지역으로부터 대원이 완전히 물러서기 전에는 노즐맨은 노즐을 닫아서는 안되며 지휘자의 명령에 의하여 행동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성수 외 5명(2012) - 휴대용 중발포 소화기 성능 분석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이상우 외 2명(2009) - 군 소화기 사격장 소음측정 및 소음저감 방안 평가,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이상근 외 3명(2011) - 동력을 이용한 분말소화기 자동관리 시스템,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지덕림(2002) - 소화기의 능력단위,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소방검정공사(2005) - 분말소화기 경년변화 연구보고, 한국소방산업기술원
Mark L. Robin 외 2명(2005) - 소화기의 선택과 배치, 한국화재보험협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