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기의 내용이론과 과정이론
제 1절 내용이론(동기를 부여하는 요인에 관한 이론)
1.maslow의 욕구위계이론
2. ERG이론(maslow의 욕구위계이론 5단계를 3단계로 축소)
3. 동기위생이론
4. 3가지 획득되는 욕구이론
제 2절 과정이론(동기가 부여되는 인지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
1. 형평성이론(adams)
2. 기대이론(vroom)
3. 목표설정이론
4.강화이론
제 1절 내용이론(동기를 부여하는 요인에 관한 이론)
1.maslow의 욕구위계이론
2. ERG이론(maslow의 욕구위계이론 5단계를 3단계로 축소)
3. 동기위생이론
4. 3가지 획득되는 욕구이론
제 2절 과정이론(동기가 부여되는 인지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
1. 형평성이론(adams)
2. 기대이론(vroom)
3. 목표설정이론
4.강화이론
본문내용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과정이론은 동기부여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것에는 도움이 되나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업원들을 동기화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인센티브의 제공 등 경제적인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KOHN(1993)은 인센티브제도는 조직 내 인간관계를 무너뜨리고 상호간의 협력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DEMING(1994)도 조직성과는 집단노력의 산물이므로 사람들로 하여금 보상이나 인정을 받기 위해 경쟁하도록 내몰거나 등수를 매기는 것은 협력과 팀웍을 깨뜨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 사회복지조직은 가치를 추구하고 협력과 팀웍이 가장 중요한 조직이므로 관리자는 경제적 유인만이 아니라 여러 보상의 형태를 고려하여 보상체계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과정이론은 동기부여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것에는 도움이 되나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업원들을 동기화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인센티브의 제공 등 경제적인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KOHN(1993)은 인센티브제도는 조직 내 인간관계를 무너뜨리고 상호간의 협력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DEMING(1994)도 조직성과는 집단노력의 산물이므로 사람들로 하여금 보상이나 인정을 받기 위해 경쟁하도록 내몰거나 등수를 매기는 것은 협력과 팀웍을 깨뜨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 사회복지조직은 가치를 추구하고 협력과 팀웍이 가장 중요한 조직이므로 관리자는 경제적 유인만이 아니라 여러 보상의 형태를 고려하여 보상체계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