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품질과 경쟁력
Ⅲ. 품질과 수익성
Ⅳ. 품질과 정보
Ⅴ. 품질과 정보기술
Ⅵ. 품질과 브랜드
Ⅶ. 품질과 고객서비스
Ⅷ. 품질과 고객만족
참고문헌
Ⅱ. 품질과 경쟁력
Ⅲ. 품질과 수익성
Ⅳ. 품질과 정보
Ⅴ. 품질과 정보기술
Ⅵ. 품질과 브랜드
Ⅶ. 품질과 고객서비스
Ⅷ. 품질과 고객만족
참고문헌
본문내용
1993 : Zeithaml et al. 1993 : Kelly & Davis 1995 : Lijaner & Strandvik, 1995 : Bateman & Harris 1995 : Bateson 1995 : Rust & Oliver 1996)은 이들 양자를 전혀 상이한 개념으로 보고 있다.
이들 두 용어의 사용상의 혼란과 양자간의 차이에 대한 개념적, 실증적 및 관리수준에서의 연구부족을(Oliver 1993) 주된 이유로 하여 이들 양자간에는 깊은 관련이 있음에도 서로 얽혀(Hoffman & Bateson 1997) 있어 약간의 혼돈이 있는가(Baron & Harris 1995)하면 문헌상에서 차이를 분명히 보여주지 못하고(Fisk et al., 1995 : Bacon & Harris 1995 : Hoffman & Bateson 1997)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변수간의 관계에 관한 오늘날까지의 논자들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상반된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정리된다.
첫째로 만족이 품질에 이른다(〔만족→품질〕). 즉 고객만족이 지각된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Parasuraman et al., 1988 : 1994)
둘째로 품질이 만족에 이른다(〔품질→만족〕). 즉 지각된 SQ가 CS에 영향을 미친다(Lewis & Klein 1987 : Kasper & Lemmink 1988 : Oliver 1993 : Cronin & Taylor 1992) : Anderson 1994 : Rust & Oliver 1994 : Patterson 1995 : Ruyte 1997 : Kurtz & Clow, 1998). 과정에 관한 이들 만족모형과 품질모형에 관한 토의는 계속될 것이나(Fisk et al., Rust & Oliver 1996) 이상의 토의를 거쳐 잠정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① 양자 모형간에는 어느 만큼의 차이는 있으나 체계상으로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유사하다(lacobucci et al., 1996)
② 양자의 모형 어느 것도 완전한 설명을 해 주지 못하고 있다(Oliver 1993)
③ 아직 더 검증할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훨씬 많은 논자들이 SQ와 CS는 상이한 개념이라는 관점에서 〔품질→만족〕모형 보다는 SQ을 CS의 선행요인으로 보아〔 품질→만족〕모형에 따르고 있으며 전자에서 후자에로 옮겨가고 있다(Baron & Harris, 1995).
이처럼 SQ에 관한 연구와 가장 밀접히 관련된 것이 CS/D에 관한 것이기(Chuchill & Surprenant, 1982) 때문에 흔히 함께 토의되고 있는데 실로 많은 연구가들(e.g. Hunt, 1991 : Swartz et al., 1992 : Oliver, 1993 : Patterson, 1995 : Lijander & Strandvik, 1995 : lacobucc et al., 1996 : Hoffman & Bateman, 1997)이 양자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불일치(disconfirmation) 패러다임을 사용하고 있다. SQ에 대한 기대가 CS/D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이 불일치 패러다임은 Oliver & Desarbo(1988)에서 유래되어 오늘날의 CS/D에 관한 문헌에서 거의 예외없이 다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고객의 CS/D의 개념은 마케팅의 사고와 실제에서 중추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고 그러기에 이에 관한 문헌에서 지배적인 개념적 모형은 기대에 대한 경험의 불일치(diaconfirmation of expectation) 패러다임이 되어 있다(Patterson, 1995). CS/D에 대한 다양한 대체적(alternative)인 정의가 있음에도 가장 보편적인 정의는 SQ에 대한 고객의 기대와 실제적인 경험의 비교, 즉 기대불일치모형(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에 기반하고 있다(Hoffman & Bateson, 1997). 단순히 보면 SQ에 대한 고객의 지각이 기대와 일치하지 않는, 즉 불일치는 부정적인 경험같이 보이나 그렇지 않다. 즉 불일치는 ① 실제적인 지각이 기대한 보다 적으면 성과는 부정적인 불일치가 되고 그것은 CD에 이르게 되고 ② 지각이 기대를 넘으면 성과는 긍정적인 불일치가 되고 그것은 CS에 이르게 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한편 지각이 기대와 같으면 일치(confirmation)하게 되고 그것은 CS/D에 크게 상관없다. 일반적으로 보다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기대불일치로부터 초래된 인지적 및 감정적 판단으로 보여지는데(Ruyter et al., 1997) 이 기대불일치론은 기대불일치 과정의 불일치 단계를 보다 낫거나 보다 못한(better-than/worse-than)것으로 본다. 즉 이 때의 부정적 불일치는 성과가 기대보다 못할 때 일어나며 긍정적 불일치는 성과가 기대보다 나을 때 일어나고 일치(zero불일치)는 성과가 기대와 같을 때 일어난다(Oliver, 1997 : Oliver & Desardo, 1988 : Oliver, 1993). 여기서 SQ에 대한 부정적 불일치는 만족의 감소,즉 불만에로, 긍정적 불일치는 만족의 촉진, 즉 CS에로 그리고 단순한 일치는 CS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Oliver, 1993 : Lijander & Strandvik, 1995).
결국 SQ에 대한 기대/경험의 불일치 패러다임에 따르면 CS/D는 경험과 성과 및 불일치의 함수, 즉 〔고객만족=f(기대, 성과, 불일치)〕로 나타낼 수 있다(Patterson, 1995).
참고문헌
- 김원중, 권오운, 경쟁력제고를 위한 품질경영추진론, 동현출판사, 1994
- 김대성 외 1명, 정보 품질 개선 접근법 및 사례, 한국경영공학회, 2009
- 안광호, 한상만, 전성률, 전략적 브랜드 관리, 학현사, 1999
- 윤태영, 고객 서비스, 펀앤런 북스, 1996
- 이유재, 고객만족의 결과변수에 대한 이론적 연구, 경영논집, 서울대학교, 1994
- 정해군, 제품 기능화, 품질 차별화로 수익성 높여 KISTI, 한국포장협회 / 포장계, 2006
이들 두 용어의 사용상의 혼란과 양자간의 차이에 대한 개념적, 실증적 및 관리수준에서의 연구부족을(Oliver 1993) 주된 이유로 하여 이들 양자간에는 깊은 관련이 있음에도 서로 얽혀(Hoffman & Bateson 1997) 있어 약간의 혼돈이 있는가(Baron & Harris 1995)하면 문헌상에서 차이를 분명히 보여주지 못하고(Fisk et al., 1995 : Bacon & Harris 1995 : Hoffman & Bateson 1997)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변수간의 관계에 관한 오늘날까지의 논자들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상반된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정리된다.
첫째로 만족이 품질에 이른다(〔만족→품질〕). 즉 고객만족이 지각된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Parasuraman et al., 1988 : 1994)
둘째로 품질이 만족에 이른다(〔품질→만족〕). 즉 지각된 SQ가 CS에 영향을 미친다(Lewis & Klein 1987 : Kasper & Lemmink 1988 : Oliver 1993 : Cronin & Taylor 1992) : Anderson 1994 : Rust & Oliver 1994 : Patterson 1995 : Ruyte 1997 : Kurtz & Clow, 1998). 과정에 관한 이들 만족모형과 품질모형에 관한 토의는 계속될 것이나(Fisk et al., Rust & Oliver 1996) 이상의 토의를 거쳐 잠정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① 양자 모형간에는 어느 만큼의 차이는 있으나 체계상으로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유사하다(lacobucci et al., 1996)
② 양자의 모형 어느 것도 완전한 설명을 해 주지 못하고 있다(Oliver 1993)
③ 아직 더 검증할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훨씬 많은 논자들이 SQ와 CS는 상이한 개념이라는 관점에서 〔품질→만족〕모형 보다는 SQ을 CS의 선행요인으로 보아〔 품질→만족〕모형에 따르고 있으며 전자에서 후자에로 옮겨가고 있다(Baron & Harris, 1995).
이처럼 SQ에 관한 연구와 가장 밀접히 관련된 것이 CS/D에 관한 것이기(Chuchill & Surprenant, 1982) 때문에 흔히 함께 토의되고 있는데 실로 많은 연구가들(e.g. Hunt, 1991 : Swartz et al., 1992 : Oliver, 1993 : Patterson, 1995 : Lijander & Strandvik, 1995 : lacobucc et al., 1996 : Hoffman & Bateman, 1997)이 양자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불일치(disconfirmation) 패러다임을 사용하고 있다. SQ에 대한 기대가 CS/D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이 불일치 패러다임은 Oliver & Desarbo(1988)에서 유래되어 오늘날의 CS/D에 관한 문헌에서 거의 예외없이 다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고객의 CS/D의 개념은 마케팅의 사고와 실제에서 중추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고 그러기에 이에 관한 문헌에서 지배적인 개념적 모형은 기대에 대한 경험의 불일치(diaconfirmation of expectation) 패러다임이 되어 있다(Patterson, 1995). CS/D에 대한 다양한 대체적(alternative)인 정의가 있음에도 가장 보편적인 정의는 SQ에 대한 고객의 기대와 실제적인 경험의 비교, 즉 기대불일치모형(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에 기반하고 있다(Hoffman & Bateson, 1997). 단순히 보면 SQ에 대한 고객의 지각이 기대와 일치하지 않는, 즉 불일치는 부정적인 경험같이 보이나 그렇지 않다. 즉 불일치는 ① 실제적인 지각이 기대한 보다 적으면 성과는 부정적인 불일치가 되고 그것은 CD에 이르게 되고 ② 지각이 기대를 넘으면 성과는 긍정적인 불일치가 되고 그것은 CS에 이르게 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한편 지각이 기대와 같으면 일치(confirmation)하게 되고 그것은 CS/D에 크게 상관없다. 일반적으로 보다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기대불일치로부터 초래된 인지적 및 감정적 판단으로 보여지는데(Ruyter et al., 1997) 이 기대불일치론은 기대불일치 과정의 불일치 단계를 보다 낫거나 보다 못한(better-than/worse-than)것으로 본다. 즉 이 때의 부정적 불일치는 성과가 기대보다 못할 때 일어나며 긍정적 불일치는 성과가 기대보다 나을 때 일어나고 일치(zero불일치)는 성과가 기대와 같을 때 일어난다(Oliver, 1997 : Oliver & Desardo, 1988 : Oliver, 1993). 여기서 SQ에 대한 부정적 불일치는 만족의 감소,즉 불만에로, 긍정적 불일치는 만족의 촉진, 즉 CS에로 그리고 단순한 일치는 CS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Oliver, 1993 : Lijander & Strandvik, 1995).
결국 SQ에 대한 기대/경험의 불일치 패러다임에 따르면 CS/D는 경험과 성과 및 불일치의 함수, 즉 〔고객만족=f(기대, 성과, 불일치)〕로 나타낼 수 있다(Patterson, 1995).
참고문헌
- 김원중, 권오운, 경쟁력제고를 위한 품질경영추진론, 동현출판사, 1994
- 김대성 외 1명, 정보 품질 개선 접근법 및 사례, 한국경영공학회, 2009
- 안광호, 한상만, 전성률, 전략적 브랜드 관리, 학현사, 1999
- 윤태영, 고객 서비스, 펀앤런 북스, 1996
- 이유재, 고객만족의 결과변수에 대한 이론적 연구, 경영논집, 서울대학교, 1994
- 정해군, 제품 기능화, 품질 차별화로 수익성 높여 KISTI, 한국포장협회 / 포장계, 2006
추천자료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혁명,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발전,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영향과...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범위,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현황, IT산업(정보...
[IT산업][정보기술산업]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특성,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IT...
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의미와 특성, 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목표...
수학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효과와 필요성, 수학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수...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개념과 목적,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유형과 필요성, ICT활용...
ICT(정보통신기술)활용개별화수업의 의미와 필요성, ICT(정보통신기술)활용개별화수업의 이론...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특징,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과 기반조성,...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도입배경,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지침, I...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정책, 캐나다와 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개념, 유형, 필요성,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과 교수활동, I...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수업설계의 이론적 기초, 중요성, 요소와 ICT(정보통신기술)활용...
국어과와 수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사회과와 과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
미국IT(정보기술)와 국세청(IRS), 미국IT(정보기술)와 IT아웃소싱(정보기술아웃소싱), 미국I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