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업 소개
Ⅱ. 현금흐름 추정
Ⅲ. 재무비율 분석
Ⅳ. MVA, EVA
Ⅴ. WACC 구하기
Ⅵ. 자본구조와 배당정책
Ⅷ. 베타계수와 자산의 내재가치
Ⅱ. 현금흐름 추정
Ⅲ. 재무비율 분석
Ⅳ. MVA, EVA
Ⅴ. WACC 구하기
Ⅵ. 자본구조와 배당정책
Ⅷ. 베타계수와 자산의 내재가치
본문내용
.30
0.043344957
-0.002277904
0.113689095
0.045622861
0.115966999
2010.08.31
-0.022173969
-0.095022624
-0.004149378
0.072848655
0.090873247
2010.09.30
0.061268551
-0.086206897
0.12345679
0.147475448
0.209663687
2010.10.29
0.003314275
0.081232493
-0.053016453
-0.077918218
-0.134248946
2010.11.30
-0.00528009
-0.02020202
0.08365019
0.01492193
0.10385221
2010.12.30
0.063068853
0.051546392
0.208261618
0.011522462
0.156715226
요약 출력
회귀분석 통계량
다중 상관계수
0.849461
결정계수
0.721584
조정된 결정계수
0.713396
표준 오차
0.083402
관측수
36
분산 분석
자유도
제곱합
제곱 평균
F 비
유의한 F
회귀
1
0.612956
0.612956
88.11953
5.74E-11
잔차
34
0.236503
0.006956
계
35
0.849459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Y 절편
-0.00404
0.014115
-0.28656
0.77619
KOSPI-Rf
1.4234
0.151632
9.387201
5.74E-11
Y 절편
하위 95%
상위 95%
하위 95.0%
상위 95.0%
KOSPI-Rf
-0.03273
0.02464
-0.03273
0.02464
동국제강의 3년간 수익률과 코스피의 3년간 수익률을 비교하니, 베타계수는 1.423404이 나왔다. 베타계수는 시장 평균 수익률이 1% 변할 때 개별종목 또는 포트폴리오 주가가 몇 % 변하는가를 보여주는 수치로, 베타계수가 1인 종목의 주가는 시장 수익률과 거의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1보다 크면 시장 평균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 시장포트폴리오의 베타는 1이고 무위험자산의 베타는 0으로 베타계수가 크다는 것은 체계적위험(시장위험)이 크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동국제강의 베타계수는 시장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인 1보다 크므로 동국제강의 수익률은 코스피 수익률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당배당금(DPS)은 주주에게 지급할 배당금을 발행주식수로 나누어 구한 것이다. 따라서 1주당 지급되는 배당금을 말한다. 동국제강의 주당배당금을 구하면 2010년의 배당금은 45,434,084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0616.90877 이므로 2010년 주당배당금은 749528원이다. 2009년의 배당금은 36,512,267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1273.39878이므로 2009년 주당배당금은 595891원이 된다. 또 2008년의 배당금은 45,996,584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1334.57이므로 2008년의 주당배당금은 749929원이다.
2010년
2009년
2008년
배당금
45,434,084천원
36,512,267천원
45,996,584천원
발행주식수
60616.90877
61273.39878
61334.57
주당배당금(DPS)
749528원
595891원
749929원
주당 이익(EPS)은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으로, 동국제강의 주당이익을 구하면 2010년의 당기순이익은 135,539,408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0616.90877이므로 2010년의 주당이익은 2236000원이다. 또한 2009년의 당기순이익은 50,244,187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1273.39878이므로 2009년의 주당이익은 819182원이다. 마지막으로 2008년의 당기순이익은 171,859,463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1334.57 이므로 2008년의 주당이익은 2802000원이다.
2010년
2009년
2008년
당기순이익
135,539,408천원
50,244,187천원
171,859,463천원
발행주식수
60616.90877
61273.39878
61334.57
주당순이익(EPS)
2236000원
819182원
2802000원
2010년 주식시장 수익률은 0.2082616179 즉 20.83%이고, 2009년에는 0.077844311, 즉 7.78%이고 2008년의 수익률은 0.1824176, 18.24%이다. CAPM으로 구한 동국제강의 수익률은 2010년에는 0.05154639+[0.156715226]*1.423404 =0.2746155008873888 이므로 27.46%이고, 2009년에는 0.0765864 +[0.001257878]*1.42340 =0.07837690207457448이므로 7.84%이다. 2008년에는 0.21946+[0.40187928]*1.423404=0.35257495281539 이므로 수익률은 35.26%이다.
2010년
2009년
2008년
주식시장 수익률
20.83%
7.78%
8.24%
CAPM 수익률
27.46%
7.84%
35.26%
따라서 동국제강의 주식시장 수익률과 CAPM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2010년에는 주식시장 수익률이 20.83%, CAPM 수익률이 27.46%이므로 CAPM 수익률이 더 높으므로 주식가격 즉 시장가격보다 내재가치, 주식가치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010년에는 주식가격 이 과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2009년에 주식시장 수익률과 CAPM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주식시장 수익률은 7.78%이고, CAPM 수익률은 7.84%이므로 2009년 역시 CAPM 수익률이 더 높고, 이것은 주식가격이 주식가치에 비해 과대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8년에 주식시장 수익률은 8.24%이고, CAPM 수익률은 35.26%이므로 2008년 역시 주식가치보다 주식가격이 과대평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과거 3년 모두 내재가치보다 주식가격이 과대평가 되어있다. 주가가 내재가치보다 높을 때에는 매도를 하고 낮을 때에는 매수를 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동국제강의 주식은 매도하는 것이 낫다고 본다.
0.043344957
-0.002277904
0.113689095
0.045622861
0.115966999
2010.08.31
-0.022173969
-0.095022624
-0.004149378
0.072848655
0.090873247
2010.09.30
0.061268551
-0.086206897
0.12345679
0.147475448
0.209663687
2010.10.29
0.003314275
0.081232493
-0.053016453
-0.077918218
-0.134248946
2010.11.30
-0.00528009
-0.02020202
0.08365019
0.01492193
0.10385221
2010.12.30
0.063068853
0.051546392
0.208261618
0.011522462
0.156715226
요약 출력
회귀분석 통계량
다중 상관계수
0.849461
결정계수
0.721584
조정된 결정계수
0.713396
표준 오차
0.083402
관측수
36
분산 분석
자유도
제곱합
제곱 평균
F 비
유의한 F
회귀
1
0.612956
0.612956
88.11953
5.74E-11
잔차
34
0.236503
0.006956
계
35
0.849459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Y 절편
-0.00404
0.014115
-0.28656
0.77619
KOSPI-Rf
1.4234
0.151632
9.387201
5.74E-11
Y 절편
하위 95%
상위 95%
하위 95.0%
상위 95.0%
KOSPI-Rf
-0.03273
0.02464
-0.03273
0.02464
동국제강의 3년간 수익률과 코스피의 3년간 수익률을 비교하니, 베타계수는 1.423404이 나왔다. 베타계수는 시장 평균 수익률이 1% 변할 때 개별종목 또는 포트폴리오 주가가 몇 % 변하는가를 보여주는 수치로, 베타계수가 1인 종목의 주가는 시장 수익률과 거의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1보다 크면 시장 평균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 시장포트폴리오의 베타는 1이고 무위험자산의 베타는 0으로 베타계수가 크다는 것은 체계적위험(시장위험)이 크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동국제강의 베타계수는 시장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인 1보다 크므로 동국제강의 수익률은 코스피 수익률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당배당금(DPS)은 주주에게 지급할 배당금을 발행주식수로 나누어 구한 것이다. 따라서 1주당 지급되는 배당금을 말한다. 동국제강의 주당배당금을 구하면 2010년의 배당금은 45,434,084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0616.90877 이므로 2010년 주당배당금은 749528원이다. 2009년의 배당금은 36,512,267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1273.39878이므로 2009년 주당배당금은 595891원이 된다. 또 2008년의 배당금은 45,996,584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1334.57이므로 2008년의 주당배당금은 749929원이다.
2010년
2009년
2008년
배당금
45,434,084천원
36,512,267천원
45,996,584천원
발행주식수
60616.90877
61273.39878
61334.57
주당배당금(DPS)
749528원
595891원
749929원
주당 이익(EPS)은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으로, 동국제강의 주당이익을 구하면 2010년의 당기순이익은 135,539,408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0616.90877이므로 2010년의 주당이익은 2236000원이다. 또한 2009년의 당기순이익은 50,244,187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1273.39878이므로 2009년의 주당이익은 819182원이다. 마지막으로 2008년의 당기순이익은 171,859,463천원이고 발행주식수는 61334.57 이므로 2008년의 주당이익은 2802000원이다.
2010년
2009년
2008년
당기순이익
135,539,408천원
50,244,187천원
171,859,463천원
발행주식수
60616.90877
61273.39878
61334.57
주당순이익(EPS)
2236000원
819182원
2802000원
2010년 주식시장 수익률은 0.2082616179 즉 20.83%이고, 2009년에는 0.077844311, 즉 7.78%이고 2008년의 수익률은 0.1824176, 18.24%이다. CAPM으로 구한 동국제강의 수익률은 2010년에는 0.05154639+[0.156715226]*1.423404 =0.2746155008873888 이므로 27.46%이고, 2009년에는 0.0765864 +[0.001257878]*1.42340 =0.07837690207457448이므로 7.84%이다. 2008년에는 0.21946+[0.40187928]*1.423404=0.35257495281539 이므로 수익률은 35.26%이다.
2010년
2009년
2008년
주식시장 수익률
20.83%
7.78%
8.24%
CAPM 수익률
27.46%
7.84%
35.26%
따라서 동국제강의 주식시장 수익률과 CAPM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2010년에는 주식시장 수익률이 20.83%, CAPM 수익률이 27.46%이므로 CAPM 수익률이 더 높으므로 주식가격 즉 시장가격보다 내재가치, 주식가치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010년에는 주식가격 이 과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2009년에 주식시장 수익률과 CAPM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주식시장 수익률은 7.78%이고, CAPM 수익률은 7.84%이므로 2009년 역시 CAPM 수익률이 더 높고, 이것은 주식가격이 주식가치에 비해 과대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8년에 주식시장 수익률은 8.24%이고, CAPM 수익률은 35.26%이므로 2008년 역시 주식가치보다 주식가격이 과대평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과거 3년 모두 내재가치보다 주식가격이 과대평가 되어있다. 주가가 내재가치보다 높을 때에는 매도를 하고 낮을 때에는 매수를 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동국제강의 주식은 매도하는 것이 낫다고 본다.
추천자료
반지의 제왕이 가져온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부산 국제영화제의 경제적 효과
문화재 가치와 필요성☆
포스트유교주의와 사회민주주의 & 아시아적 가치와 한국의 외환위기
북한문학사에서 사씨남정기와 춘향전의 가치평가의 차이점에 대해 논술하시오`
우리나라 행정가치에 관한 총체적 연구
세계화시대에 민족주의의 가치는 무엇인가
기아차 ‘쏘울’의 디자인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가치 증진 성공사례 연구
경제적인 생활에 나에게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다문화가족 관련 사회, 경제적 환경
저출산의 원인,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 출산장려정책, 수단, 영향, 배경, 사례, 행정,...
다문화 가정의 특징, 정의, 세계화, 실태, 법, 제도, 경제적 측면, 한국 생활, 사회화, 변천,...
[교육사회학]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