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문헌][도서관][디지털화]도서관문헌의 기본구성, 도서관문헌의 신청방법, 도서관문헌의 문헌제공, 도서관문헌의 문헌정리, 도서관문헌의 문헌전달, 도서관문헌의 디지털화, 향후 도서관문헌의 내실화 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서관문헌][도서관][디지털화]도서관문헌의 기본구성, 도서관문헌의 신청방법, 도서관문헌의 문헌제공, 도서관문헌의 문헌정리, 도서관문헌의 문헌전달, 도서관문헌의 디지털화, 향후 도서관문헌의 내실화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도서관문헌의 기본구성
1. 문헌정보처리표준화도구 개발
2. 도서관 업무 전산화 소프트웨어 개발․보급
3. 서지정보 표준화 및 국가문헌종합목록 DB
4. 전산기기 지원
5. 네트워크 운영

Ⅲ. 도서관문헌의 신청방법

Ⅳ. 도서관문헌의 문헌제공

Ⅴ. 도서관문헌의 문헌정리

Ⅵ. 도서관문헌의 문헌전달

Ⅶ. 도서관문헌의 디지털화

Ⅷ. 향후 도서관문헌의 내실화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식하지 못한다.(한상완, 1996)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문헌의 구조를 표시하고 태그를 붙이는 것이 마크업 시스템인데 대표적인 것으로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이 있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검색시스템에서 접근이 되지 않았던 구조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징이 있다.
모든 문헌을 키보드로 입력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인력의 투자가 있어야 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OCR 소프트웨어의 인식률을 높여 중국한문, 일본어, 한국어를 모두 이미지로 읽어 들여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이 있다. 원문이미지 시스템은 광디스크의 발전과 함께 활성화되었으며, 이는 문헌의 내용을 이미지로 인식하는 시스템으로서 문헌의 페이지 단위 이미지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광디스크나 마그네틱 디스크에 저장된다. 이는 영상이미지로 저장되기는 하나 문헌에 나타나는 문자들이 컴퓨터 내의 코드로 인식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Ⅷ. 향후 도서관문헌의 내실화 방향
① 국가차원이나 관종별 및 지역별 차원의 다양한 資源共用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국가차원의 협력시스템이 없으며, 일부의 관종별협의회가 구성되어 있으나 상호대차 및 문헌제공봉사는 매우 부진하다. 대학도서관의 중간관리자들이 자원공용의 당위성을 인정하면서도 실천하는 데는 미온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고수해 왔고, 그 외에도 재정지원의 부족, 통신시설의 미비, 대차에 따른 자료분실의 우려, 소장자료가 많은 도서관의 기피현상, 요금처리, 표준화 문제 등이 있다. 그러나 원문제공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호혜정신에 입각하여 국가차원은 물론 지역별 자원공용협의회를 조속히 구성해야 하며, 각각 준비위원회를 발족하여 종합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공용방침과 실무절차에 대한 제규정(대차규정, 원문신청 및 전달방식, 요금체계 및 처리방법, 저작권 문제)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② 국내 미소장자료에 대해서는 海外 商業的 文獻提供機關을 통하여 원격봉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입수채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봉사주제, 봉사요금, 제공시간, 제공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상업적 제공기관에 대한 선정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연구도서관협회의 조사분석에서는 상업적 문헌제공기관의 선정기준이 전달속도, 주문의 용이성, 주제범위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주문처리의 기준으로는 소요시간, 요청건수의 만족률, 주문의 정확한 이행여부, 복사물의 질, 취소된 주문의 신속한 통보, 주문방식 및 전달방식의 다양화, 주문쇄도에 따른 적시적 처리여부, 제공실수를 신속정확하게 수정하는 능력, 부가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기록유지와 회계처리의 기준으로는 인보이스에 참고문헌의 인용능력, 고객지향적 보고서의 창출능력, 고시된 요금과 이용자에게 부과한 요금의 일치여부, 직원원조의 정도, 각종 보고서의 제공능력, 인보이스의 정확성명료성적시성 등이다.
③ 그 외에도 단위도서관에서는 요구정보의 탐색과 브라우징, 확인과 표시, 신청서의 전송 및 완료과정이 통합되는 電子的 文獻提供機能을 구비하여야 하고, 원문신청자가 소장처를 몰라도 도서관장서, 상업적 제공기관, 기타 정보자원에서 제공되어야 하며, 전자형 전문파일팩스복사물우편인쇄물의 형태로도 입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신청자의 자격요건을 자동확인하고, 요구정보를 네트웍자원이나 지역별 장서 또는 상업적 제공기관의 목록에서 체킹할 수 있어야 하며, 적절한 제공기관에 신청서가 발송되고, 기록유지와 회계기능이 통합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④ 마지막으로 미래의 도서관을 假想的 實體나 物理的 實體의 하나로 믿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문헌제공과정을 개발하여 전통적인 업무의 역량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모든 대학도서관은 所藏資料의 奉仕力을 極大化하는 전략적 계획의 연장선에서 외부의 학술정보와 메타정보까지도 신속하게 접근하고 입수할 수 있는 문헌제공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남석, 국가문헌의 수집과 보존,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1988
신숙원, 도서관과 문헌 이용 지도, 한국도서관협회, 1977
이화연, 대학도서관의 전자문헌제공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997
정은실, 대학도서관 문헌제공서비스의 현황과 실태, 부산대학교, 2008
전민희, 도서관 문헌 위치 정보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9
장언박, 도서관 문헌정보자원 공동구축과 공유에 관하여, 국립중앙도서관, 1999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