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설치 목표
2. 설치한 운영체제 소개
3. 설치 방식
4. 주요사항
2. 설치한 운영체제 소개
3. 설치 방식
4. 주요사항
본문내용
용량의 모두를 잡는다, 홈파티션이 생각보다 많이 필요하다. 특히, 시스템이 데스크탑용이거나 사용자가 많은 서버의 경우에는 절대적으로 많은 용량이 필요할 것이다.
이외에 자신의 필요에 따라 백업용 파티션을 나누거나 일정한 파티션에 백업용 공간을 둘 수 있을 겁니다.
위와 같이 나누면 되지만 일단 /, /usr, /home, swap, /boot 정도로 파티션을 나눠본다.
우선 /boot를 만든다. 이곳에는 시스템 부트에 관계되는 파일들이 있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은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약 시스템에 윈도우즈 시스템에 있고 /boot가 1024 실린더 다음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라면 이 파티션을 먼저 앞에 잡아 두고 다음에 윈도우즈용 파티션을 잡아 두는 것이 무리가 없다. 물론 lba32 옵션으로 lilo를 MBR에 설치할 수는 있지만 이것보다는 /boot 파티션을 앞에 잡아 두는 것이 더 편하다.
-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설정에 있어서 본교내 DHCP사용(유동 IP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들어 한국통신이나 두루넷 등에서 제공한는 IP를 개개인의 사용자에게 일시적으로 할당해 주는 것, 즉 개개인의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자동적으로 IP를 부여하는 것으로 IP주소가 바뀔 수가 있다.)이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하에 리눅스 설치 환경에서 기본값으로 제공하는 자동 네트워크 설정을 했기 때문이었다. 당연히 리눅스가 설치는 되었더라도 인터넷은 연결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미 설치된 환경에서 변경해 보려하였으나 처음 설치시 DHCP사용으로 설정된 것이 바뀌지 않아 다시 설치해야만 했다.
이외에 자신의 필요에 따라 백업용 파티션을 나누거나 일정한 파티션에 백업용 공간을 둘 수 있을 겁니다.
위와 같이 나누면 되지만 일단 /, /usr, /home, swap, /boot 정도로 파티션을 나눠본다.
우선 /boot를 만든다. 이곳에는 시스템 부트에 관계되는 파일들이 있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은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약 시스템에 윈도우즈 시스템에 있고 /boot가 1024 실린더 다음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라면 이 파티션을 먼저 앞에 잡아 두고 다음에 윈도우즈용 파티션을 잡아 두는 것이 무리가 없다. 물론 lba32 옵션으로 lilo를 MBR에 설치할 수는 있지만 이것보다는 /boot 파티션을 앞에 잡아 두는 것이 더 편하다.
-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설정에 있어서 본교내 DHCP사용(유동 IP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들어 한국통신이나 두루넷 등에서 제공한는 IP를 개개인의 사용자에게 일시적으로 할당해 주는 것, 즉 개개인의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자동적으로 IP를 부여하는 것으로 IP주소가 바뀔 수가 있다.)이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하에 리눅스 설치 환경에서 기본값으로 제공하는 자동 네트워크 설정을 했기 때문이었다. 당연히 리눅스가 설치는 되었더라도 인터넷은 연결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미 설치된 환경에서 변경해 보려하였으나 처음 설치시 DHCP사용으로 설정된 것이 바뀌지 않아 다시 설치해야만 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