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공공부문 정보자원조사의 목적
Ⅲ. 공공부문 정보자원조사의 현황
Ⅳ. 공공부문 정보자원조사의 방법
Ⅴ. 향후 공공부문 정보자원조사의 제고 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Ⅱ. 공공부문 정보자원조사의 목적
Ⅲ. 공공부문 정보자원조사의 현황
Ⅳ. 공공부문 정보자원조사의 방법
Ⅴ. 향후 공공부문 정보자원조사의 제고 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험적으로 맹아적 형태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탐색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맥루한(McLuhan, 1962), 베니거(Beniger, 1986) 등 몇몇 선구적인 책을 제외하고는 이데올로기 비판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정보사회론을 둘러싼 논의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한국사회에서 현실의 변화를 바탕으로 정보사회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80년대 중반부터이다. 여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당시 정보기술 및 정보산업의 발전에 관한 정부의 정책적 강조를 들 수 있다. 제 5공화국 정부는 1983년을 ‘정보산업의 해’로 선포하였고, 1985년에는 정보화사회의 조기촉진과 그 기반 조성을 위해 ‘국가기간전산망 기본계획’을 수립, 확정하여 행정, 금융, 교육, 국방, 공안 등 5대 국가기간전산망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울대와 부산대 사회과학연구소가 정보통신분야 중점연구소로 지정되면서 정보화의 사회변화에 관한 연구가 추진되었다. 정보화사회에 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소개연구서인 정보화사회(1986)는 1985년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소(소장 김경동)에서 발행하는 <사회과학과 정책연구>에서 특집으로 다룬 ‘정보화사회의 도전과 대응’을 책자화한 것으로, 체신부와 한국통신의 전신인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재정지원 아래 이루어진 연구결과였다. 이런 추세를 이어받아 한국사회학회에서는 ‘정보사회의 사회문화적 환경’(1987년), ‘정보화사회의 사회변동’(1990년) 등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 등을 통해 ‘정보사회’, 또는 ‘정보화사회’ 개념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을 계기로 종래 후기공업사회론이나 탈산업사회론이라는 ‘거대담론’의 수준에서 이론적으로 소개되던 차원에 머물렀던 정보사회론이 시론적인 성격이 강하다하더라도 한국사회라는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 분석, 평가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리철 /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의 활용도 제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10
심상용 / 공공정보자원관리의 성공 요인 및 성과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2
이재진 외 1명 / 공공정보자원의 민간 활용 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1999
이상범 /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의 성과측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2005
이홍재 /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성과의 영향요인 연구, 한국정책학회, 2010
이희광 / 공공정보자원의 혁신활용을 위한 법제도 분석 연구, 인하대학교, 2009
한국사회에서 정보사회론을 둘러싼 논의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한국사회에서 현실의 변화를 바탕으로 정보사회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80년대 중반부터이다. 여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당시 정보기술 및 정보산업의 발전에 관한 정부의 정책적 강조를 들 수 있다. 제 5공화국 정부는 1983년을 ‘정보산업의 해’로 선포하였고, 1985년에는 정보화사회의 조기촉진과 그 기반 조성을 위해 ‘국가기간전산망 기본계획’을 수립, 확정하여 행정, 금융, 교육, 국방, 공안 등 5대 국가기간전산망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울대와 부산대 사회과학연구소가 정보통신분야 중점연구소로 지정되면서 정보화의 사회변화에 관한 연구가 추진되었다. 정보화사회에 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소개연구서인 정보화사회(1986)는 1985년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소(소장 김경동)에서 발행하는 <사회과학과 정책연구>에서 특집으로 다룬 ‘정보화사회의 도전과 대응’을 책자화한 것으로, 체신부와 한국통신의 전신인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재정지원 아래 이루어진 연구결과였다. 이런 추세를 이어받아 한국사회학회에서는 ‘정보사회의 사회문화적 환경’(1987년), ‘정보화사회의 사회변동’(1990년) 등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 등을 통해 ‘정보사회’, 또는 ‘정보화사회’ 개념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을 계기로 종래 후기공업사회론이나 탈산업사회론이라는 ‘거대담론’의 수준에서 이론적으로 소개되던 차원에 머물렀던 정보사회론이 시론적인 성격이 강하다하더라도 한국사회라는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 분석, 평가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리철 /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의 활용도 제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10
심상용 / 공공정보자원관리의 성공 요인 및 성과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2
이재진 외 1명 / 공공정보자원의 민간 활용 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1999
이상범 /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의 성과측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2005
이홍재 /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성과의 영향요인 연구, 한국정책학회, 2010
이희광 / 공공정보자원의 혁신활용을 위한 법제도 분석 연구, 인하대학교, 2009
키워드
추천자료
공공비영리조직들을 위한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s Management for Public and Nonprofi...
[예산편성][정보통신부][보건복지부][과학기술부][환경부][산업자원부]예산편성 개념, 예산편...
공공부분 정보시스템의 활용현황
공공기관에서의 정보분류의 필요성 및 의미
공공기관의 개인 정보보호와 관련된
2003년(2000년대) 미디어교육, 2003년(2000년대) ICT활용교육과 IT(정보기술)교육, 2003년(20...
[여론조사][여론조사 기초정보][여론조사 신뢰성][언론역할][여론조사 현황][여론조사 제고 ...
공공도서관 정보자료의 구성방안에 대해
인터넷시대 기업 지식정보공유시스템, 홈페이지, 인터넷시대 기업 웹기술, 전자상거래(B2B), ...
개금백병원 {조사의 목적과 기관 선정의 이유, 시설의 기본 현황, 자원봉사자의 활용, 자원봉...
[기획기구] 기획기능의 배분 (예산기능, 통계, 조사, 연구기능, 지역기획 및 부문기획, 국제...
[공공선택론 公共選擇論] 시장의 동기부여와 정보전달 역할
시장경제의 효율적 조건 {완전경쟁, 비용체증, 배제성, 공공재의 부재, 완전한 정보, 완전한 ...
[기업][기업 경영][경영]기업 지식정보공유시스템, 기업 신용위험평가시스템, 기업 전자상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