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변동][생산][생산지수변동][생산통계변동][생산가격변동][생산성변동][생산지수][생산통계][생산가격][생산성]생산지수변동, 생산통계변동, 생산가격변동, 생산성변동(생산변동, 생산지수변동, 생산통계변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산변동][생산][생산지수변동][생산통계변동][생산가격변동][생산성변동][생산지수][생산통계][생산가격][생산성]생산지수변동, 생산통계변동, 생산가격변동, 생산성변동(생산변동, 생산지수변동, 생산통계변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생산지수변동
1. 자료
2. 스펙트럼분석

Ⅱ. 생산통계변동
1. 명절 및 조업일수에 의한 사전조정
2. RegARIMA를 이용한 이상치 및 구조변화 조정

Ⅲ. 생산가격변동
1. 생산가격의 변동을 일으키는 원인들
2. 평균구성의 상품의 생산가격
3. 자본가의 보상이유

Ⅳ. 생산성변동
1. 집계적 생산성의 분해의 방법
2. 연간자료의 분석
3. 산업별 집계생산성의 분해 : 5년간격 자료의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과 같다.
는 각 변수의 t-1시점과 t시점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첫 번째 항은 공장내 생산성 향상을, 두 번째 항은 공장간 일자리 변동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보여준다. 첫 번째 분해방법과의 차이점은 상호작용 부분이 없다는 것이다. 첫 번째 항에서 평균 점유율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장내 생산성 향상을 보여주는 첫 번째 항에 부분적으로 점유율의 변화가 반영된다. 이런 점에서 순수한 공장 내 생산성 증가를 포착할 수 없는 단점을 갖지만 측정오차가 큰 자료를 다룰 때는 유용하다.
생산성 분석에서 또 하나의 쟁점은 사업체 생산성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이다. 생산함수 추정을 통한 방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사업체 부가가치를 노동자 수로 나눈 부가가치 생산성을 사용했다.
2. 연간자료의 분석
광공업 통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앞에서 제시한 첫 번째 방법을 통해 생산성 기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적으로 공장내 생산성 증가가 일자리 변동에 의한 생산성 증가에 비해 압도적으로 크다. 생산성 증가의 원천이 공장 내의 생산성 증가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공장간 변동의 효과는 작다.
진입과 퇴출을 합한 순진입의 생산성 기여는 거의 없다. 진입과 퇴출의 기여도를 분리하여 살펴보면 우선 진입기업의 생산성 기여는 음의 값을 갖는다. 이것은 평균적으로 진입기업의 진입 시점에서의 생산성은 경제 전체의 평균 생산성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퇴출기업의 생산성 기여는 양의 값을 갖는다. 이것은 퇴출기업의 생산성이 평균생산성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퇴출기업의 생산성은 경제 전체의 평균생산성의 80% 정도이다. 평균적으로 낮은 생산성의 기업이 퇴출한다. 따라서 낮은 생산성의 기업이 퇴출하는 것은 경제전체의 생산성에 양의 영향을 준다. 진입기업은 진입 시점에서는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는데 비해 퇴출기업이 퇴출을 통해 그 만큼의 생산성 감소를 상쇄한다.
마지막으로 특기할 점은 Foster et all[1998]이 지적한 것처럼 공장간 변동이 “경기역행적 편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경기 호황에는 비효율적 기업의 점유율 증가로 인해 집계적 생산성을 끌어 내리는 역할을 하고 불황기에는 반대로 비효율적 기업의 점유율이 크게 감소함으로써 전체 기업의 생산성 감소를 막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한다.
그런데 위에서 제시된 결과는 경제 전체에 대해 생산성 분해를 한 것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산업간 생산성 수준의 차이가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리고 고용비중이 높은 산업이 높은 가중치를 갖는다는 점에서 만족스러운 방법은 아니다.
산업간 생산성 수준의 차이를 통제하고 산업별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우선 산업별로 생산성 분해를 한 뒤 그 다음 생산성 기여도의 평균이나 중앙값을 구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법에 기초하여 총 143개의 산업 각각에 대해 생산성 증가의 분해를 한 뒤 기여도를 산업별로 구하고 각 요인의 중앙값을 취하였다.
중앙값을 중심으로 앞의 결과와 비교해보면 공장내 생산성 증가의 효과가 작지만 진입과 퇴출의 효과가 크지 않다는 것은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리고 평균에 대한 표준편차가 매우 커서 산업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산업별 집계생산성의 분해 : 5년간격 자료의 분석
앞에서 살펴본 연별 집계생산성 변동에 대한 일자리 변동의 기여도는 전체적으로 보아서 우리의 예상보다 낮았다. 그 이유는 시점을 너무 짧게 잡았기 때문이다. 이제 일자리 변동의 역할을 좀더 확실히 볼 수 있도록 t-1기과 t기의 시간간격을 늘려 잡도록 하자. 우리가 선정한 해는 5년의 시간간격을 잡았다.
광공업 조사통계 자료를 이용해 진입기업의 수명별 생산성 변화를 추적해보면 진입기업은 당시 평균 생산성 대비 55%의 상대 생산성으로 진입하여 평균적으로 10년 정도 흐른 후에 100% 수준에 도달한다. 이것은 진입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평균적인 생산성 증가율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간격을 5년으로 늘려 잡을 경우 진입시점에서 낮은 생산성을 보이던 진입기업이 빠르게 생산성을 높여 나가므로 진입의 생산성 기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공장내 생산성 증가의 기여도는 떨어질 것이다.
앞 절 말미에서 분석한 것처럼 143개의 산업 각각에 대해 생산성 분해를 한 뒤 그것의 중앙값을 살펴보았다.
공장내 생산성 증가가 연간 자료에 비해 줄어들었다. 그리고 진입의 생산성 기여가 확실히 증가했음을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공장내 생산성 증가의 기여도가 매우 안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시점을 늘려 잡을 경우 자원 재배분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진입의 생산성 기여도를 가늠하기 위해 유사한 방법을 사용한 다른 나라의 결과와 비교해보자.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 Foster et al[1998]의 결과와 비교해보면 미국의 경우 10년 동안의 순진입의 기여도가 30% 정도이다. Baldwin et al[1995]의 경우 우리가 채택한 방법보다는 단순하지만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1970년에서 1979년 사이의 기간동안 순진입이 설명하는 생산성 변동을 25%로 계산했다. 한국의 경우 5년 동안에 그와 유사한 기여가 진입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진입의 생산성 기여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제조업에서 진입과 퇴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미국과 캐나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된다.
참고문헌
○ 김한식(1992), 산업생산지수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 김혜원(2005), 경기변동과 일자리소멸 : 생산성에 따른 선별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 백승관(2002), 수입중간재 가격변동과 산업별 생산 및 고용조정, 홍익대학교경제연구소
○ 오희국(2001), 수출입 변동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산업생산지수와 가격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 전백근(2002), 산업생산통계의 계절변동조정방법, 한국통계학회
○ 황수경(2008), 서비스산업 고용 및 노동생산성 변동의 구조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