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개념
Ⅲ.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구조
Ⅳ.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요소
Ⅴ.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관리
Ⅵ.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도입타당성
Ⅶ.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원가동인
Ⅷ. 결론
참고문헌
Ⅱ.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개념
Ⅲ.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구조
Ⅳ.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요소
Ⅴ.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관리
Ⅵ.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도입타당성
Ⅶ. 활동기준원가계산(활동기준원가회계, ABC)의 원가동인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게 제공할 수 있는 관리회계시스템으로의 수정이나 또는 재설계를 필요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예를 들면, Young et al., 1993; Ittner and Kougt, 1995; Sim and Killough, 1998 등)에서 제시되었던 관리회계정보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을 상당부분 입증하였으며, 특히 AMP를 도입실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조직성과 향상으로 연결하지 못한 원인이 AMP의 실행수준에 적합한 관리회계정보를 산출, 제공하지 못하는 MAS에 의한 것이라는 Ittner and Kougt(1995)의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접근법을 이용한 군집을 분석을 통하여 신제조실무의 실행수준과 관리회계시스템 특성, 그리고 학습촉진요인간의 상보관계가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지 관리회계정보의 제공만으로는 조직성과를 개선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기업내 조직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제 요인들이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높은 수준의 AMP하에서 관리회계정보의 제공을 통하여 조직성과를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AMP의 실행수준에 적합한 관리회계정보를 산출제공함으로써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MAS의 구축과 함께 관리회계정보들이 효과적으로 조직학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촉진요인들을 잘 구축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관리회계시스템의 설계 및 실행과 관련하여 몇 가지의 시사점을 함축하고 있다. 먼저, TQM/JIT와 같은 신제조실무를 도입실행함으로써 기업의 조직성과를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새롭게 변화한 제조실무와 적절한 상호보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관리회계시스템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바 있으나, 이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입증하고 있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으며, 또한 연구결과에 있어서도 일치되지 않은 혼재된(mixed)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들에서 논의되어 왔던 신제조실무와 관리회계시스템간의 관련성 및 적합성에 대한 주장들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입증하고 있으며, 실무적인 측면에서 기업의 제조환경을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제조실무와 적절한 상호보완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기존의 전통적인 관리회계시스템을 재설계하거나 새로운 관리회계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덕필(1998), 활동기준원가회계의 이론적 구조와 그 연구동향, 청주대학교
고철수(1997), 활동기준원가회계 연구에 대한 소고, 제주경영학회
김경환(2010), 활동기준원가계산을 활용한 경영합리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유만희(1999), 활동기준원가회계시스템의정보유용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이주원(1993), 활동기준원가회계(ABC)의 국내도입 사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조정호(2009),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공정별 원가계산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예를 들면, Young et al., 1993; Ittner and Kougt, 1995; Sim and Killough, 1998 등)에서 제시되었던 관리회계정보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을 상당부분 입증하였으며, 특히 AMP를 도입실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조직성과 향상으로 연결하지 못한 원인이 AMP의 실행수준에 적합한 관리회계정보를 산출, 제공하지 못하는 MAS에 의한 것이라는 Ittner and Kougt(1995)의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접근법을 이용한 군집을 분석을 통하여 신제조실무의 실행수준과 관리회계시스템 특성, 그리고 학습촉진요인간의 상보관계가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지 관리회계정보의 제공만으로는 조직성과를 개선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기업내 조직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제 요인들이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높은 수준의 AMP하에서 관리회계정보의 제공을 통하여 조직성과를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AMP의 실행수준에 적합한 관리회계정보를 산출제공함으로써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MAS의 구축과 함께 관리회계정보들이 효과적으로 조직학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촉진요인들을 잘 구축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관리회계시스템의 설계 및 실행과 관련하여 몇 가지의 시사점을 함축하고 있다. 먼저, TQM/JIT와 같은 신제조실무를 도입실행함으로써 기업의 조직성과를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새롭게 변화한 제조실무와 적절한 상호보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관리회계시스템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바 있으나, 이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입증하고 있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으며, 또한 연구결과에 있어서도 일치되지 않은 혼재된(mixed)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들에서 논의되어 왔던 신제조실무와 관리회계시스템간의 관련성 및 적합성에 대한 주장들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입증하고 있으며, 실무적인 측면에서 기업의 제조환경을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제조실무와 적절한 상호보완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기존의 전통적인 관리회계시스템을 재설계하거나 새로운 관리회계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덕필(1998), 활동기준원가회계의 이론적 구조와 그 연구동향, 청주대학교
고철수(1997), 활동기준원가회계 연구에 대한 소고, 제주경영학회
김경환(2010), 활동기준원가계산을 활용한 경영합리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유만희(1999), 활동기준원가회계시스템의정보유용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이주원(1993), 활동기준원가회계(ABC)의 국내도입 사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조정호(2009),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공정별 원가계산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추천자료
제조 환경 변화에 따른 원가 계산 시스템
르노삼성의 ABC 시스템
ABC: activity-based costing
2011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1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하계계절시험 관리회계원리 시험범위 핵심체크
관리회계원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2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관리회계원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