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환경
1. Competitor Analysis
1) 진로 그룹 파산, Spin-off이후 경영 성과 호조
2) Channel Power 강화
3) 대소비자 인식 변화
2. Company Analysis
1) 심각한 경영 위기 도래
2) Channel Power 약화
3) 대소비자 인지도 하락(그린)
Ⅲ.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상징화
Ⅳ.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타겟
Ⅴ.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일본진출
Ⅵ.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전략
1. O/S 전략
1) 녹차라는 새로운 재료도입으로 소비자경향 변화에 대응
2) 맑고 깨끗한 맛을 내기 위한 신기술 도입
3) 젊은 층을 겨냥한 부담 없는 가격
4) 고객의견 수렴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2. O/W 전략
1) 수도권내 20대가 많이 모여 있는 유흥지역을 산거리로 지정
2) 대형마트와의 연계하여 시음회, 쿠폰제 실시
3. T/S 전략
1) 산소주를 모르는 지방소비자에게 활발한 판촉, 광고활동
2) 녹차이외의 재료 도입
4. T/W 전략
1) 리 포지셔닝
2) 산소주 시장에서 철수
Ⅶ. 결론
참고문헌
Ⅱ.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환경
1. Competitor Analysis
1) 진로 그룹 파산, Spin-off이후 경영 성과 호조
2) Channel Power 강화
3) 대소비자 인식 변화
2. Company Analysis
1) 심각한 경영 위기 도래
2) Channel Power 약화
3) 대소비자 인지도 하락(그린)
Ⅲ.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상징화
Ⅳ.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타겟
Ⅴ.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일본진출
Ⅵ. 롯데주류(두산주류) 산소주의 전략
1. O/S 전략
1) 녹차라는 새로운 재료도입으로 소비자경향 변화에 대응
2) 맑고 깨끗한 맛을 내기 위한 신기술 도입
3) 젊은 층을 겨냥한 부담 없는 가격
4) 고객의견 수렴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2. O/W 전략
1) 수도권내 20대가 많이 모여 있는 유흥지역을 산거리로 지정
2) 대형마트와의 연계하여 시음회, 쿠폰제 실시
3. T/S 전략
1) 산소주를 모르는 지방소비자에게 활발한 판촉, 광고활동
2) 녹차이외의 재료 도입
4. T/W 전략
1) 리 포지셔닝
2) 산소주 시장에서 철수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될 수 있다. 그리고 산거리에서 여러 가지 퍼레이드나 공연을 펼침으로써 이슈거리나 화제 거리를 제공해 소비자로 하여금 다시 그 거리를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2) 대형마트와의 연계하여 시음회, 쿠폰제 실시
시음회 등의 다양한 이벤트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눈길을 끈다. 그리고 자사의 제품을 살 때 마다 쿠폰을 제공하여 그 쿠폰으로 다시 자사의 제품을 구입 할 수 있다.
3. T/S 전략
=> 시장에 존재하는 위협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이 자사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것을 잘 활용하는 전략
자사의 강점을 적극적 활용, 기존에 경쟁하고 있던 시장에 더 깊숙이 침투함으로써 안정된 시장을 확보
제품계열을 확충함으로써 다양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전략
1) 산소주를 모르는 지방소비자에게 활발한 판촉, 광고활동
현재 산소주라는 제품을 모르는 소비자들이 많을 것이다. 수도권은 이미(주)진로의 점유율이 커서 시장에 침투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수도권이 아닌 지방으로 시장을 변경하여 지방소비자들에게 산소주를 알리고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 녹차이외의 재료 도입
(주)두산은 몸에 좋은 녹차를 원료로 소주를 제조하였으나, 녹차뿐만 아니라 다른 원료를 개발 도입함으로써 제품 확장을 하고 홍보하여 각 소비자들을 만족시키는 전략도 중요하다.
4. T/W 전략
=> 기업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고 판단될 경우로 시장에서 철수전략을 사용
현실적으로는 사업에서 전면적인 철수보다는, 부분적인 철수전략이나, 제품과 시장을 선택 및 축소하여, 한 곳에 집중화 하는 전략이 사용
1) 리 포지셔닝
산소주의 제품명을 바꾸어 보거나 용기의 모양이나 색을 바꾸어 보는 전략이다. 산소주 보다는 소비자에게 더 정감이 가는 제품명으로 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이름 공모전 같은 행사를 이용하여 제품명을 결정하는 것도 괜찮고, 산소주 용기의 모양을 일반화된 소주 모양이 아닌 가정용 소주의 경우 가정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 잡을 수 있다. 기존의 소주병의 녹색의 이미지를 벗고 파란색이나 분홍색등 색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2) 산소주 시장에서 철수
점유율을 4.6%밖에 되지 않는 산소주를 시장에서 철수하고 제품을 시장에 출시함으로서(주)진로의 그늘에서 벗어나 소주시장에서의 확실한 자리매김 필요하다.
Ⅶ. 결론
휴대하기 좋은 음료술로 지금의 인스턴트 술이라 하겠다. 여름 술로서 옛날에는 음료수가 없고 액체를 담고 다닐 요기도 만족치 못하여 부녀자들이나 어른들이 들에 나가 일을 할 때 음료수 대용으로 점심과 함께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던 것이 가루술이다. 희석 비율에 따라 술도 되고 음료용도 되었으며 집집마다 만들어 술맛도 비교하면서 마시던 민가의 가양주 인데 이제는 전설 속의 술로 사라졌으나 지금도 안동군 와룡면 조천동 김준식씨의 집에서 이 술을 만들어 마시는데 지금의 청량음료와 맛이 흡사하다고 말한다.
쌀누룩을 넣기 때문에 금방 젖 떨어진 아이라도 가루술을 마신다고 할 만큼 부드럽고 순한 맛이 있어 어른 술이라기보다는 아이들이 마시는 음료수격 술이라 하겠다. 청량음료가 없던 예전에는 미숫가루, 오미자, 화채와 같은 여름철 음료로 아낌을 받던 술이다. 시원한 샘물에 가루를 타서 마시면 대체로 순한 맛을 내지만 누룩을 많이 넣는 등 만들기에 따라 독한 술도 되고 달콤한 감주도 되며 연한 음료수도 된다.
국화는 예로부터 불로 장수 및 성스러운 영초(靈草)로서 숭상되어 왔다. 국화주는 우리 나라 재래술의 하나로서 함양 국화주는 국화와 생지황, 구기자나무 껍질을 넣고 찹쌀로 빚은 술인데 이 술은 음력 9월 9일 중앙절에 즐겨 마셨다고 한다. 이 날에 국화주를 마시면 장수를 누리고 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전설이 있었기 때문이다.
찹쌀 2되를 물에 잘 불려서 가루를 만들어 시루에 짜고 백설기를 잘게 부수어 누룩 가루 1되를 넣어 혼합한 후 물 3되를 붓는다. 잘 섞어서 온도 20-30도에서 4-5일 두면 밑술이 된다. 덧술은 찹쌀 8되를 물에 불려 시루에 찐 후 냉각시킨다. 식힌 밥에 누룩 가루 4되를 넣고 잘 혼합한다. 감국화, 혹은 야생 국화, 생지황, 구기자의 뿌리, 껍질 등을 각각 1되 정도와 물 2말에 넣어 물 1말이 될 때까지 달여 식힌다. 이와 같이 완성된 고두밥과 야생국화 등의 액체를 밑술 독에 넣어 혼합시킨다. 온도 22도 전후에서 5-6일 경과하면 숙성되고 이것을 맑게 거르면 향기 좋은 국화주가 되며 주도는 보통 16도 정도 된다. 색깔은 담황색을 띠고 명약 주로서 손색없는 좋은 술로서 현재 향토 민속주로 지정되어 경남 함양에서 이승리씨가 이 술을 빚고 있다.
[본초강목]속에도 국화주는 두통을 낳게 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하며 몸이 마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등 백병을 없앤다고 기술되어 있다. 국화에는 크리산테민, 용뇌양방항정유(龍腦樣芳香精油), 시네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예로부터 불로 장수의 약으로서 애용되어 왔는데 식욕 증진, 건위, 정장, 피로회복 및 녹내장에도 효과가 있다. [동의보감]과 [임상응용기록문]에는 국화는 청혈 해독의 약리작용을 하는데 말초 혈관을 확장하고 혈관 운동 중추를 억제하는 혈압강화작용이 있어 고혈압 방지에도 효능이 뛰어나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국화를 넣어 빚은 국화주는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하고 골수를 보강할 뿐 아니라 눈이 밝아지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 김진영 외 1명,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소주 라벨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 김진석, 브랜드 차별성 강화를 위한 소주 포장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6
◎ 송지성 외 1명, 후발 브랜드의 제품광고에 나타난 아이덴티티의 표현에 대한 연구 : 소주 브랜드\'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5
◎ 이성춘, 비교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7
◎ 임규석, 주류산업에서의 신제품마케팅 전략에 관한연구:소주 신제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7
◎ 지주희 외 5명, 시판 소주 제품들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한국식품과학회, 2008
2) 대형마트와의 연계하여 시음회, 쿠폰제 실시
시음회 등의 다양한 이벤트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눈길을 끈다. 그리고 자사의 제품을 살 때 마다 쿠폰을 제공하여 그 쿠폰으로 다시 자사의 제품을 구입 할 수 있다.
3. T/S 전략
=> 시장에 존재하는 위협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이 자사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것을 잘 활용하는 전략
자사의 강점을 적극적 활용, 기존에 경쟁하고 있던 시장에 더 깊숙이 침투함으로써 안정된 시장을 확보
제품계열을 확충함으로써 다양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전략
1) 산소주를 모르는 지방소비자에게 활발한 판촉, 광고활동
현재 산소주라는 제품을 모르는 소비자들이 많을 것이다. 수도권은 이미(주)진로의 점유율이 커서 시장에 침투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수도권이 아닌 지방으로 시장을 변경하여 지방소비자들에게 산소주를 알리고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 녹차이외의 재료 도입
(주)두산은 몸에 좋은 녹차를 원료로 소주를 제조하였으나, 녹차뿐만 아니라 다른 원료를 개발 도입함으로써 제품 확장을 하고 홍보하여 각 소비자들을 만족시키는 전략도 중요하다.
4. T/W 전략
=> 기업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고 판단될 경우로 시장에서 철수전략을 사용
현실적으로는 사업에서 전면적인 철수보다는, 부분적인 철수전략이나, 제품과 시장을 선택 및 축소하여, 한 곳에 집중화 하는 전략이 사용
1) 리 포지셔닝
산소주의 제품명을 바꾸어 보거나 용기의 모양이나 색을 바꾸어 보는 전략이다. 산소주 보다는 소비자에게 더 정감이 가는 제품명으로 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이름 공모전 같은 행사를 이용하여 제품명을 결정하는 것도 괜찮고, 산소주 용기의 모양을 일반화된 소주 모양이 아닌 가정용 소주의 경우 가정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 잡을 수 있다. 기존의 소주병의 녹색의 이미지를 벗고 파란색이나 분홍색등 색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2) 산소주 시장에서 철수
점유율을 4.6%밖에 되지 않는 산소주를 시장에서 철수하고 제품을 시장에 출시함으로서(주)진로의 그늘에서 벗어나 소주시장에서의 확실한 자리매김 필요하다.
Ⅶ. 결론
휴대하기 좋은 음료술로 지금의 인스턴트 술이라 하겠다. 여름 술로서 옛날에는 음료수가 없고 액체를 담고 다닐 요기도 만족치 못하여 부녀자들이나 어른들이 들에 나가 일을 할 때 음료수 대용으로 점심과 함께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던 것이 가루술이다. 희석 비율에 따라 술도 되고 음료용도 되었으며 집집마다 만들어 술맛도 비교하면서 마시던 민가의 가양주 인데 이제는 전설 속의 술로 사라졌으나 지금도 안동군 와룡면 조천동 김준식씨의 집에서 이 술을 만들어 마시는데 지금의 청량음료와 맛이 흡사하다고 말한다.
쌀누룩을 넣기 때문에 금방 젖 떨어진 아이라도 가루술을 마신다고 할 만큼 부드럽고 순한 맛이 있어 어른 술이라기보다는 아이들이 마시는 음료수격 술이라 하겠다. 청량음료가 없던 예전에는 미숫가루, 오미자, 화채와 같은 여름철 음료로 아낌을 받던 술이다. 시원한 샘물에 가루를 타서 마시면 대체로 순한 맛을 내지만 누룩을 많이 넣는 등 만들기에 따라 독한 술도 되고 달콤한 감주도 되며 연한 음료수도 된다.
국화는 예로부터 불로 장수 및 성스러운 영초(靈草)로서 숭상되어 왔다. 국화주는 우리 나라 재래술의 하나로서 함양 국화주는 국화와 생지황, 구기자나무 껍질을 넣고 찹쌀로 빚은 술인데 이 술은 음력 9월 9일 중앙절에 즐겨 마셨다고 한다. 이 날에 국화주를 마시면 장수를 누리고 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전설이 있었기 때문이다.
찹쌀 2되를 물에 잘 불려서 가루를 만들어 시루에 짜고 백설기를 잘게 부수어 누룩 가루 1되를 넣어 혼합한 후 물 3되를 붓는다. 잘 섞어서 온도 20-30도에서 4-5일 두면 밑술이 된다. 덧술은 찹쌀 8되를 물에 불려 시루에 찐 후 냉각시킨다. 식힌 밥에 누룩 가루 4되를 넣고 잘 혼합한다. 감국화, 혹은 야생 국화, 생지황, 구기자의 뿌리, 껍질 등을 각각 1되 정도와 물 2말에 넣어 물 1말이 될 때까지 달여 식힌다. 이와 같이 완성된 고두밥과 야생국화 등의 액체를 밑술 독에 넣어 혼합시킨다. 온도 22도 전후에서 5-6일 경과하면 숙성되고 이것을 맑게 거르면 향기 좋은 국화주가 되며 주도는 보통 16도 정도 된다. 색깔은 담황색을 띠고 명약 주로서 손색없는 좋은 술로서 현재 향토 민속주로 지정되어 경남 함양에서 이승리씨가 이 술을 빚고 있다.
[본초강목]속에도 국화주는 두통을 낳게 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하며 몸이 마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등 백병을 없앤다고 기술되어 있다. 국화에는 크리산테민, 용뇌양방항정유(龍腦樣芳香精油), 시네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예로부터 불로 장수의 약으로서 애용되어 왔는데 식욕 증진, 건위, 정장, 피로회복 및 녹내장에도 효과가 있다. [동의보감]과 [임상응용기록문]에는 국화는 청혈 해독의 약리작용을 하는데 말초 혈관을 확장하고 혈관 운동 중추를 억제하는 혈압강화작용이 있어 고혈압 방지에도 효능이 뛰어나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국화를 넣어 빚은 국화주는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하고 골수를 보강할 뿐 아니라 눈이 밝아지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 김진영 외 1명,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소주 라벨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 김진석, 브랜드 차별성 강화를 위한 소주 포장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6
◎ 송지성 외 1명, 후발 브랜드의 제품광고에 나타난 아이덴티티의 표현에 대한 연구 : 소주 브랜드\'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5
◎ 이성춘, 비교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7
◎ 임규석, 주류산업에서의 신제품마케팅 전략에 관한연구:소주 신제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7
◎ 지주희 외 5명, 시판 소주 제품들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한국식품과학회, 2008
추천자료
마케팅 전략,성공사례 (진로 참이슬)
참이슬 마케팅 성공요인
하이트 맥주 광고만들기!!!
(마케팅 PPT발표 자료) 국순당 백세주의 마케팅 전략 분석 (STP,SWOT,4P MIX등 모두 포함)
JINRO JAPAN 의 일본 진출
고객중심 마케팅
우리나라 소주 시장 분석
처음처럼의 마케팅 전략 분석 및 성공요인 상세분석 레포트
[소주][맥주][소주 역사][소주 현황][소주시장][맥주 종류][맥주시장]소주(소주의 역사, 현황...
[국제경영학]진로소주 해외진출전략 분석 (A+리포트)
거제시 현황보고
처음처럼,소주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국내외 기업의 구조조정 사례에 관한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