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흡연의 해로운 점을 상세히 소개하여 알린다.
4.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들을 위해 스트레스 교실을 열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이완요법, 명상요법 등을 교육한다.
5.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지역사회 내 각 학교마다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한다.
6.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지역사회 주민에게 보건소 내 금연 클리닉을 홍보한다.
7.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방문 또는 전화 상담을 설치하여 금연상담 및 교육을 실시한다.
8.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금연의 중요성에 대한 팜플렛 및 안내책자를 보건의료기관 및 각 학교에 비치·배포한다.
9.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금연성공 사례 책자를 관공서와 학교 등에 무료로 배포한다.
10.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금연 홍보 포스터를 부착한다.
1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금연클리닉을 통해 정기적인 상담과 관리를 한다.
불규칙한 식습관
Ⅳ.건강관리행위영역
35.영양
-03.1일칼로리/수분섭취량의 부족
(개인/잠재적 손상)
-05.불균형적인 식이
2013년 12월 말까지 아침 결식율이 28.5%에서 10%로 감소한다.
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지역사회 내 각 학교마다 규칙적인 식습관, 아침 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2.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인한 합병증에 대한 교육을 한다.
3.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규칙적인 식습관 홍보 포스터를 부착한다.
4.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규칙적인 식습관, 아침 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팜플렛 및 안내책자를 보건의료기관 및 각 학교에 비치·배포한다.
높은 음주율
IV. 건강관리 행위영역
39. 약물오용
(지역사회 / 실제 결핍)
03. 술 남용
2013년 12월 말까지 월간 음주율이 56.9%에서 35%로 감소한다.
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지역사회 내 각 학교마다 절주의 중요성, 음주의 해로운 점에 대한 보건교육을 실시한다.
2.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절주 홍보 포스터를 부착한다.
3.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매달1번씩 음주대상자 중심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한다.
4.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소그룹을 결성하여 1달에 1번씩 음주 진행정도를 파악하며 격려, 지지해 준다.
5.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음주와 관련된 전화 상담 또는 상담실을 만들어 상담 및 관리한다.
6.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절주 캠페인을 통해 음주의 해로운 점을 상세히 설명하며 절주를 홍보한다.
운동부족
Ⅲ.생리학적 영역
37.신체적 활동
건강증진/ 잠재적 손상
02. 비지속적인 운동
2013년 12월말까지 운동 실천율(주 3회 이상 규칙적인 운동 실천)이 14.1%에서 30%로 증가한다.
2013년 12월까지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운동캠페인을 열어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 홍보한다.
2.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보건소, 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규칙적인 식습관 홍보 포스터를 부착한다.
3.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보건소 내 건강 증진 센터를 홍보하여 이용률을 증가시킨다.
4.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매월 5회 지역사회 주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실시한다.
5.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지역사회 내 보건 의료기관에 간단한 스트레칭 동작에 관한 팜플렛을 배치, 배포한다.
6.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운동 실천율을 조사한다.
7.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현재 시행 되고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지역사회 주민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한다.
노인 이용기관 부족
II. 사회 심리적 영역
05. 지역사회자원과 의사소통
(지역사회 /
실제 결핍)
05. 부적절한/이용할 수 없는 자원
2013년 12월 말까지 보건소에 노인층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든다.
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보건소에 노인층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든다.
2.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노인정이나 종합복지관 등에서의 모임을 격려하여 사회적 지지를 마련해드린다.
3. 사업 계획 시 노인인구의 참여율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4.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의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여 참여도를 늘린다.
5.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춤, 노래교실 등을 열어 많은 참여를 유도한다.
6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노인의 일자리를 지역사회와 연계시킨다..
7.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노인 복지관 건립을 위한 캠페인을 하여 필요성을 호소한다.
낮은 출생률
Ⅳ.건강관리행위영역
40.가족계획
지역사회/잠재적 결핍
07.기타
2016년 12월말까지 출생률이 5% 증가한다.
1.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신혼부부나 무자녀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계획 상담(전화 상담 포함)을 한다.
2.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한 달에 한 번씩 캠페인을 열어 자녀 출산 시 받을 수 있는 혜택, 산전/산후관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홍보한다.
3.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산전/산후관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4.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불임 부부 기초 검진비와 불임 부부시험관 아기 시술비를 지원한다.
5.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직업여성, 미혼모를 위한 탁아시설과 보육시설 등을 조사한다.
6.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송파구에서 실시하는 출산장려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이를 홍보한다.
7.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출산의 장점 등을 설명하며 팜플렛을 배부하고 관련 포스터를 부착한다.
4.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들을 위해 스트레스 교실을 열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이완요법, 명상요법 등을 교육한다.
5.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지역사회 내 각 학교마다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한다.
6.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지역사회 주민에게 보건소 내 금연 클리닉을 홍보한다.
7.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방문 또는 전화 상담을 설치하여 금연상담 및 교육을 실시한다.
8.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금연의 중요성에 대한 팜플렛 및 안내책자를 보건의료기관 및 각 학교에 비치·배포한다.
9.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금연성공 사례 책자를 관공서와 학교 등에 무료로 배포한다.
10.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금연 홍보 포스터를 부착한다.
1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금연클리닉을 통해 정기적인 상담과 관리를 한다.
불규칙한 식습관
Ⅳ.건강관리행위영역
35.영양
-03.1일칼로리/수분섭취량의 부족
(개인/잠재적 손상)
-05.불균형적인 식이
2013년 12월 말까지 아침 결식율이 28.5%에서 10%로 감소한다.
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지역사회 내 각 학교마다 규칙적인 식습관, 아침 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2.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인한 합병증에 대한 교육을 한다.
3.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규칙적인 식습관 홍보 포스터를 부착한다.
4.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규칙적인 식습관, 아침 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팜플렛 및 안내책자를 보건의료기관 및 각 학교에 비치·배포한다.
높은 음주율
IV. 건강관리 행위영역
39. 약물오용
(지역사회 / 실제 결핍)
03. 술 남용
2013년 12월 말까지 월간 음주율이 56.9%에서 35%로 감소한다.
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지역사회 내 각 학교마다 절주의 중요성, 음주의 해로운 점에 대한 보건교육을 실시한다.
2.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절주 홍보 포스터를 부착한다.
3.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매달1번씩 음주대상자 중심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한다.
4.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소그룹을 결성하여 1달에 1번씩 음주 진행정도를 파악하며 격려, 지지해 준다.
5.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음주와 관련된 전화 상담 또는 상담실을 만들어 상담 및 관리한다.
6.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절주 캠페인을 통해 음주의 해로운 점을 상세히 설명하며 절주를 홍보한다.
운동부족
Ⅲ.생리학적 영역
37.신체적 활동
건강증진/ 잠재적 손상
02. 비지속적인 운동
2013년 12월말까지 운동 실천율(주 3회 이상 규칙적인 운동 실천)이 14.1%에서 30%로 증가한다.
2013년 12월까지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운동캠페인을 열어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 홍보한다.
2.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보건소, 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규칙적인 식습관 홍보 포스터를 부착한다.
3.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보건소 내 건강 증진 센터를 홍보하여 이용률을 증가시킨다.
4.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매월 5회 지역사회 주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실시한다.
5.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지역사회 내 보건 의료기관에 간단한 스트레칭 동작에 관한 팜플렛을 배치, 배포한다.
6.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두 달에 한 번씩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운동 실천율을 조사한다.
7.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현재 시행 되고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지역사회 주민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한다.
노인 이용기관 부족
II. 사회 심리적 영역
05. 지역사회자원과 의사소통
(지역사회 /
실제 결핍)
05. 부적절한/이용할 수 없는 자원
2013년 12월 말까지 보건소에 노인층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든다.
1.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보건소에 노인층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든다.
2.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노인정이나 종합복지관 등에서의 모임을 격려하여 사회적 지지를 마련해드린다.
3. 사업 계획 시 노인인구의 참여율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4.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의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여 참여도를 늘린다.
5.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춤, 노래교실 등을 열어 많은 참여를 유도한다.
6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노인의 일자리를 지역사회와 연계시킨다..
7.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노인 복지관 건립을 위한 캠페인을 하여 필요성을 호소한다.
낮은 출생률
Ⅳ.건강관리행위영역
40.가족계획
지역사회/잠재적 결핍
07.기타
2016년 12월말까지 출생률이 5% 증가한다.
1.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신혼부부나 무자녀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계획 상담(전화 상담 포함)을 한다.
2.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한 달에 한 번씩 캠페인을 열어 자녀 출산 시 받을 수 있는 혜택, 산전/산후관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홍보한다.
3.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산전/산후관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4.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불임 부부 기초 검진비와 불임 부부시험관 아기 시술비를 지원한다.
5.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직업여성, 미혼모를 위한 탁아시설과 보육시설 등을 조사한다.
6. 2013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송파구에서 실시하는 출산장려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이를 홍보한다.
7.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학교, 빌딩, 백화점, 광장 등)에 출산의 장점 등을 설명하며 팜플렛을 배부하고 관련 포스터를 부착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