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어린이(아동)와 학습권
Ⅲ. 어린이(아동)와 영유아보육사업
Ⅳ. 어린이(아동)와 동화
Ⅴ. 어린이(아동)와 TV습관
Ⅵ. 어린이(아동)와 금연구역
Ⅶ. 어린이(아동)와 안전사고대책
1. 보행 안전 대책
1) 횡단보도를 건널 때
2) 학교에 갈 때
3) 골목길, 주차장을 다닐 때
2. 공간별 안전 대책 세우기
1) 창가, 베란다
2) 욕실
3) 놀이터
4) 야외
3. 놀이기구 안전 대책
1)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를 탈 때
2) 자전거를 탈 때
참고문헌
Ⅱ. 어린이(아동)와 학습권
Ⅲ. 어린이(아동)와 영유아보육사업
Ⅳ. 어린이(아동)와 동화
Ⅴ. 어린이(아동)와 TV습관
Ⅵ. 어린이(아동)와 금연구역
Ⅶ. 어린이(아동)와 안전사고대책
1. 보행 안전 대책
1) 횡단보도를 건널 때
2) 학교에 갈 때
3) 골목길, 주차장을 다닐 때
2. 공간별 안전 대책 세우기
1) 창가, 베란다
2) 욕실
3) 놀이터
4) 야외
3. 놀이기구 안전 대책
1)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를 탈 때
2) 자전거를 탈 때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통 정리하는 사람의 신호를 따른다.
2) 학교에 갈 때
등교 시간에 넉넉하게 출발한다. 시간을 넉넉하게 두고 학교로 출발해 뛰는 일이 없게 한다. 항상 인도의 안쪽으로 걷도록 하고, 가급적 신호등과 건널목이 가장 적고 공사장 등의 위험한 장소가 적은 곳으로 다니게 한다. 뒤돌아보며 걷거나 친구와 장난하며 걷지 않게 한다.
3) 골목길, 주차장을 다닐 때
차 사이를 뛰어다니지 않는다. 골목에서 차가 다니는 길로 나올 때는 먼저 차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이 오지 않는지 앞뒤 좌우를 살핀다. 주차장에서는 진입하거나 빠져나가는 차에 부딪힐 수 있으므로 차 사이를 뛰어다니지 않는다. 또한 차가 다니는 골목길이나 주차장에서 공놀이를 하거나 자전거 등을 타지 않도록 한다.
2. 공간별 안전 대책 세우기
날씨가 덥다 보니 베란다 문을 많이 열어 놓게 되어 추락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욕조에서 물놀이를 즐기다보면 미끄러져 다치기도 한다. 또한 바깥활동이 많아지는 만큼 놀이터나 야외에서의 안전사고도 무시할 수 없다. 베란다, 놀이터, 야외 등 공간별 안전 대책 세우기.
1) 창가, 베란다
창틀 위에 시선을 끌 물건을 두지 않는다.
창문이나 베란다에는 창문 보호대나 난간을 반드시 설치한다. 모기장이 설치되어 있다고 해서 방심해서는 안 된다. 조금 세게 밀면 떨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영유아라면 문이나 창문에 잠금장치를 해두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물건을 꺼내기 위해 난간에 기대거나 기어 올라갈 수 있으므로 창틀 위에는 아이들의 시선을 끌 만한 물건들은 올려놓지 않고, 책상 등의 가구도 창가에서 멀리 배치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평소 창문 밖으로 상체를 내밀거나 베란다 난간에 기대어 서지 않게 주의시킨다.
2) 욕실
세면대보다 대야가 안전하다. 욕실 바닥재로 표면이 미끄러운 타일은 피하고, 욕조의 바닥과 욕실 앞 깔개 뒷면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를 깔거나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된 깔개를 설치한다. 욕조가 설치된 벽면에는 손잡이를 부착해 미끄러질 때 잡을 수 있게 한다. 미끄러지며 수도꼭지에 머리를 부딪칠 염려가 있으므로 수도꼭지에는 보호 덮개를 씌운다. 또한 아이들의 키에 비해 세면대가 높은 경우 아이가 받침대를 사용하다 미끄러질 수 있다. 세숫대야에 물을 받아 바닥에서 씻게 하는 것이 안전하다.
3) 놀이터
가방 메고 놀이기구 타면 위험하다. 미끄럼틀을 내려올 때 다른 사람을 밀지 않고, 그네에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그네 주변에는 다가가지 않게 한다. 또한 놀이기구는 싸우지 않고 순서대로 사용하고, 모래를 던지는 일도 주의시킨다. 동물을 안거나 물건을 손에 들거나 가방을 메고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위험하다. 특히 자전거나 롤러 스케이트 등을 타고 놀이기구에 올라서는 것은 절대 금물. 일사병에 걸릴 수 있으므로 햇볕이 강한 시간대에는 놀이터에서 노는 것을 삼가고,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다. 또한 미끄럼틀은 타기 전에 만져보아 햇볕에 달구어진 쇠에 화상을 입지 않게 한다.
4) 야외
되도록 긴 소매 옷을 입힌다. 방학이나 주말에 산이나 들, 시골을 찾을 경우 야생화나 야생식물, 특히 색깔이 고운 버섯은 독이 있을 수 있으므로 만지거나 입에 대지 않는다. 사마귀나 거미, 송충이 등 곤충도 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야외에 나갈 때는 가능하면 긴 소매의 옷을 입고, 초저녁에는 모기가 많으므로 외출을 삼간다. 벌이 가까이 날아오면 손이나 팔을 저어 쫓지 말고, 가만히 있거나 몸을 서서히 조금씩 움직여 다른 곳으로 피하고, 가시에 찔리거나 독이 있는 식물에 스쳤거나 먹었을 경우에는 그 식물을 가지고 병원으로 간다.
3. 놀이기구 안전 대책
인라인 스케이트나 롤러스케이트, 킥보드, 자전거 등 탈것을 이용할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속도가 빠른 만큼 사람이나 물건, 차량과 충돌하였을 경우 큰 사고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안심하고 탈것을 이용하는 방법 알아보기.
1)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를 탈 때
계단에서 묘기 부리는 것은 위험하다. 타기 전에 바퀴가 고장나지는 않았는지,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등 기구를 점검하고, 반드시 헬멧과 무릎, 팔꿈치 보호대를 착용한다.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를 탄 채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묘기를 부리거나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것은 피하고, 물건을 손에 들고 타는 것 또한 주의한다. 특히,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반드시 롤러 블레이드나 스케이트는 벗고, 킥보드에서는 내린 채 들고 건너며, 다함께 손을 잡고 타거나 앞사람을 잡고 타거나 트럭이나 자전거 등을 따라가며 타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2) 자전거를 탈 때
차가 다니지 않는 곳에서 탄다. 자전거를 타기 전에는 핸들, 브레이크, 타이어 공기압, 페달, 체인 상태 등을 점검하고, 자전거에 올라타서 다리를 쭉 폈을 때 발끝이 땅에 닿는지를 살펴본다. 복장은 바지를 입고 헬멧과 무릎, 팔꿈치 보호대를 착용하며 운동화를 신는다. 밤에는 자전거를 타지 않는 것이 좋은데, 부득이한 사정이라면 야광 조끼를 입는 것이 좋다.
자전거를 탈 때는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 등 차가 다니지 않는 곳을 선택하고, 주차장, 특히 지하 주차장에서는 타지 않는다. 또한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 횡단보도 등에서는 내려서 끌고 가고, 골목길에서 큰길로 나갈 때는 반드시 멈추어 서서 전후 좌우를 살피고 지나간다.
도로의 미끄럼 방지 턱이나 인도와 차도와의 구분 턱에서도 주의하고, 인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도로에서는 자전거는 오른쪽으로 통행한다. 서 있는 차 옆을 지나갈 때도 차문이 갑자기 열릴 수 있으므로 일단 멈추어 서서 잘 살피고 지나간다.
참고문헌
강문희 / 아동정신건강, 정민사
김세희, 현은자 / 어린이의 세계와 그림이야기책, 서원, 1995
공동육아연구회 / 함께 크는 아이, 또하나의 문화, 1994
이원구 / 아동의 인성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조채영 / 소파 방정환의 유아교육 사상과 실천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6
하이타니 겐지로 저, 햇살과 나무꾼 역 / 아이들에게 배운다:철학이 있는 유치원 일기, 개마고원, 1996
2) 학교에 갈 때
등교 시간에 넉넉하게 출발한다. 시간을 넉넉하게 두고 학교로 출발해 뛰는 일이 없게 한다. 항상 인도의 안쪽으로 걷도록 하고, 가급적 신호등과 건널목이 가장 적고 공사장 등의 위험한 장소가 적은 곳으로 다니게 한다. 뒤돌아보며 걷거나 친구와 장난하며 걷지 않게 한다.
3) 골목길, 주차장을 다닐 때
차 사이를 뛰어다니지 않는다. 골목에서 차가 다니는 길로 나올 때는 먼저 차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이 오지 않는지 앞뒤 좌우를 살핀다. 주차장에서는 진입하거나 빠져나가는 차에 부딪힐 수 있으므로 차 사이를 뛰어다니지 않는다. 또한 차가 다니는 골목길이나 주차장에서 공놀이를 하거나 자전거 등을 타지 않도록 한다.
2. 공간별 안전 대책 세우기
날씨가 덥다 보니 베란다 문을 많이 열어 놓게 되어 추락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욕조에서 물놀이를 즐기다보면 미끄러져 다치기도 한다. 또한 바깥활동이 많아지는 만큼 놀이터나 야외에서의 안전사고도 무시할 수 없다. 베란다, 놀이터, 야외 등 공간별 안전 대책 세우기.
1) 창가, 베란다
창틀 위에 시선을 끌 물건을 두지 않는다.
창문이나 베란다에는 창문 보호대나 난간을 반드시 설치한다. 모기장이 설치되어 있다고 해서 방심해서는 안 된다. 조금 세게 밀면 떨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영유아라면 문이나 창문에 잠금장치를 해두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물건을 꺼내기 위해 난간에 기대거나 기어 올라갈 수 있으므로 창틀 위에는 아이들의 시선을 끌 만한 물건들은 올려놓지 않고, 책상 등의 가구도 창가에서 멀리 배치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평소 창문 밖으로 상체를 내밀거나 베란다 난간에 기대어 서지 않게 주의시킨다.
2) 욕실
세면대보다 대야가 안전하다. 욕실 바닥재로 표면이 미끄러운 타일은 피하고, 욕조의 바닥과 욕실 앞 깔개 뒷면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를 깔거나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된 깔개를 설치한다. 욕조가 설치된 벽면에는 손잡이를 부착해 미끄러질 때 잡을 수 있게 한다. 미끄러지며 수도꼭지에 머리를 부딪칠 염려가 있으므로 수도꼭지에는 보호 덮개를 씌운다. 또한 아이들의 키에 비해 세면대가 높은 경우 아이가 받침대를 사용하다 미끄러질 수 있다. 세숫대야에 물을 받아 바닥에서 씻게 하는 것이 안전하다.
3) 놀이터
가방 메고 놀이기구 타면 위험하다. 미끄럼틀을 내려올 때 다른 사람을 밀지 않고, 그네에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그네 주변에는 다가가지 않게 한다. 또한 놀이기구는 싸우지 않고 순서대로 사용하고, 모래를 던지는 일도 주의시킨다. 동물을 안거나 물건을 손에 들거나 가방을 메고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위험하다. 특히 자전거나 롤러 스케이트 등을 타고 놀이기구에 올라서는 것은 절대 금물. 일사병에 걸릴 수 있으므로 햇볕이 강한 시간대에는 놀이터에서 노는 것을 삼가고,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다. 또한 미끄럼틀은 타기 전에 만져보아 햇볕에 달구어진 쇠에 화상을 입지 않게 한다.
4) 야외
되도록 긴 소매 옷을 입힌다. 방학이나 주말에 산이나 들, 시골을 찾을 경우 야생화나 야생식물, 특히 색깔이 고운 버섯은 독이 있을 수 있으므로 만지거나 입에 대지 않는다. 사마귀나 거미, 송충이 등 곤충도 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야외에 나갈 때는 가능하면 긴 소매의 옷을 입고, 초저녁에는 모기가 많으므로 외출을 삼간다. 벌이 가까이 날아오면 손이나 팔을 저어 쫓지 말고, 가만히 있거나 몸을 서서히 조금씩 움직여 다른 곳으로 피하고, 가시에 찔리거나 독이 있는 식물에 스쳤거나 먹었을 경우에는 그 식물을 가지고 병원으로 간다.
3. 놀이기구 안전 대책
인라인 스케이트나 롤러스케이트, 킥보드, 자전거 등 탈것을 이용할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속도가 빠른 만큼 사람이나 물건, 차량과 충돌하였을 경우 큰 사고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안심하고 탈것을 이용하는 방법 알아보기.
1)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를 탈 때
계단에서 묘기 부리는 것은 위험하다. 타기 전에 바퀴가 고장나지는 않았는지,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등 기구를 점검하고, 반드시 헬멧과 무릎, 팔꿈치 보호대를 착용한다.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를 탄 채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묘기를 부리거나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것은 피하고, 물건을 손에 들고 타는 것 또한 주의한다. 특히,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반드시 롤러 블레이드나 스케이트는 벗고, 킥보드에서는 내린 채 들고 건너며, 다함께 손을 잡고 타거나 앞사람을 잡고 타거나 트럭이나 자전거 등을 따라가며 타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2) 자전거를 탈 때
차가 다니지 않는 곳에서 탄다. 자전거를 타기 전에는 핸들, 브레이크, 타이어 공기압, 페달, 체인 상태 등을 점검하고, 자전거에 올라타서 다리를 쭉 폈을 때 발끝이 땅에 닿는지를 살펴본다. 복장은 바지를 입고 헬멧과 무릎, 팔꿈치 보호대를 착용하며 운동화를 신는다. 밤에는 자전거를 타지 않는 것이 좋은데, 부득이한 사정이라면 야광 조끼를 입는 것이 좋다.
자전거를 탈 때는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 등 차가 다니지 않는 곳을 선택하고, 주차장, 특히 지하 주차장에서는 타지 않는다. 또한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 횡단보도 등에서는 내려서 끌고 가고, 골목길에서 큰길로 나갈 때는 반드시 멈추어 서서 전후 좌우를 살피고 지나간다.
도로의 미끄럼 방지 턱이나 인도와 차도와의 구분 턱에서도 주의하고, 인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도로에서는 자전거는 오른쪽으로 통행한다. 서 있는 차 옆을 지나갈 때도 차문이 갑자기 열릴 수 있으므로 일단 멈추어 서서 잘 살피고 지나간다.
참고문헌
강문희 / 아동정신건강, 정민사
김세희, 현은자 / 어린이의 세계와 그림이야기책, 서원, 1995
공동육아연구회 / 함께 크는 아이, 또하나의 문화, 1994
이원구 / 아동의 인성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조채영 / 소파 방정환의 유아교육 사상과 실천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6
하이타니 겐지로 저, 햇살과 나무꾼 역 / 아이들에게 배운다:철학이 있는 유치원 일기, 개마고원, 1996
추천자료
[영유아보육제도]직장보육시설의 정의와 분류 및 현황과 문제점
영유아사회복지정책 [영유아보육법]
(아동복지E형)영유아보육서비스 중 한 유형을 선택하여 그 필요성과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
보육의 유형과 현황(영유아보육)
한국의 보육정책, 의의, 특징, 발달, 개선방안, 영유아보육법등에 대한 모든것 (2012년 추천 ...
현대사회에서의 보육과정 필요성과 영유아보육정책의 추진방향 토론자료
[영유아보육학/3학년 공통] 현행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구체적인 사...
[단체급식관리 C형] 우리나라 영유아보육시설 급식의 현황과 식단의 특성을 조사하여 보고서...
애착이론을 개관하고 영유아보육현장과 보육교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시오.
영유아보육학
교과 논리 및 논술 E형 영유아의 권리로서의 영유아보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