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정신분열증][위암][아스페르길루스증][담석증]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위암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아스페르길루스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담석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케이스스터디][정신분열증][위암][아스페르길루스증][담석증]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위암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아스페르길루스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담석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정보
2) 현재의 병력
3) 과거력
2. 간호과정

Ⅱ. 위암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개인력
1) 성명
2) Age/Sex
3) 과/병실
4) 진단명
5) ABO/Rh
6) 입원일자
7) 배우자 연령
8) 자녀수
9) 가족 수
10) 동거인
11) 종교
12) 교육정도
2. 건강력
1) 현병력
2) 과거력
3. 간호력
1) 건강인지-건강관리 양상
2) 영양-대사 양상
3) 배설양상
4) 활동양상
5) 수면 휴식 양상
6) 인지 지각 양상
7) 자아지각-자아수용 양상
8) 역할-상호관계 양상
9) 대응-스트레스 수용 양상
10) 퇴원 후 관리

Ⅲ. 아스페르길루스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력 사정 도구
1) 지식
2) 관계형성
3) 기동
4) 감각/지각
5) 교환
6) 선택
2. 간호과정 기록지
1) 지식부족
2) 감염위험성

Ⅳ. 담석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1) 성명
2) 성별
3) 나이
4) 키
5) 몸무게
6) 결혼상태
7) 종교
8) 거주지
9) 자녀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1) 진단명
2) 입원일
3) 입원 동기
4) 입원 방법
5) 주증상
6) 발병시기
7) 최근투약 상태
8) 수술명
3. 대상자의 건강력
1) 가족력
2) 과거력
3) 현병력
4. 신체검진
1) 활력소견
2) 일반적 외모
5. 약물
1) TESA
2) RBMD
3) GSPC
4) UDCA
5) VRD
6) V - KPA
7) RNTDA
8) DCFA
9) ONT5A
6. 간호진단, 간호계획
1) 장기목표
2) 단기목표
3) 목적
4) 간호지시
7. 간호수행
1) 통증 불편감을 사정하고, V/S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였다
2)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진통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3) 움직일 때 절개부위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4) 복부팽만감의 감소와 장운동 증진을 위해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에 움직이도록 교육 하였다
5) 복강경담낭절제술의 경우 수술 후 약 10일 후부터, 개복성 담낭절제술의 경우 수술 6주 후부터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8. 간호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순환기계 : 서맥, 방실블록, 빈맥, 부전수축과 같은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6) 소화기계 : 변비, 설사,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복통, 급성 췌장염, 식욕부진이 나타 날 수 있다.
(7) 정신신경계 : 어지러움, 졸음, 가역적 혼돈상태, 경련, 두통, 두중, 불면, 흥분, 우울, 불안, 환각이 나타날 수 있다.
(8) 내분비계 : 여성형 유방, 발기부전 및 성욕감퇴 등이 나타날 수 있다.
(9) 근골격계 : 근육통, 무력감, CK 상승, 혈중 및 요중 미오글로빈의 상승을 특징으로 하 는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날 수 있다.
⑤ 금기 : 이 약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⑥ 주의
(1) 치료에 있어서는 경과를 충분히 관찰하여 질환의 상태에 따른 치료상 필요한 최소한의 사용에 그치고 이 약으로 효과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요법으로 바꾼다.
(2) 상용량보다 많은 용량의 H2- 길항제를 5일 이상 정맥주사할 경우 간 효소치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DCFA
① 성분 : diclofenac sodiun
② 용법 : 1dlf 75~150mg을 IM
③ 약리작용 : cyclo-oxygenase의 활성을 감소시켜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 생상이 감소한다.
④ 부작용
- 일과성의 동통, 건조감,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표층각막염, 각막미란, 위복부 불쾌 감, 두통, 구토
⑤ 금기
- 이 약에 과민한 자
- 소화성궤양환자, 혈액이상, 간 및 신장애 환자
9) ONT5A
① 성분 : I-aspartate-I-ornithine
② 용법
(1) 급성간염 :1일 10~20ml(1~2앰플)
(2) 만성간염, 간경변 : 1일 20~40ml(2~4앰플), 심한 경우 증량이 가능하다.
(3) 간성혼수, 혼수 전 단계 : 증상의 상태에 따라 첫날 200ml까지 투여한다.
③ 효능효과 : 간장질환 특히 간성혼수, 혼수 전단계의 치료
④ 부작용 :신경계- 때때로 후두부의 열감이나 구역이 나타날 수 있다.
⑤ 금기 : 유산염산증, 메탄올중독, Fructose-sorbitol 불내성이 있는 환자
⑥ 주의 : 고용량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혈중과 요중의 Urea치를 검사해야 한다.
6. 간호진단, 간호계획
발생날짜
간호진단
5/21
▶ 수술과 관련된 통증
[과학적 근거]
- 수술 후 봉합선의 긴장을 막고 동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대상자에게 반좌위를 취해준다. 복근을 지지하고 긴장을 막기 위해서 복대가 처방되기도 한다. 필요에 따라 복대는 바꾸어 다시 사용하게 한다. 수술후 처음 며칠간은 요구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는데 대개 수술후 3 - 4일이 되면 감소된다. 이때 대상자는 걸을 수 있으며 연동운동도 돌아온다.
[합리적 근거]
-주관적 근거
:“ 아이고, 아야”
“ 수술한데가 아파서 꼼짝도 못하겠네. 진통제 좀 주세요.”
“ 배는 건드리지 마요.”
-객관적 근거
: 수술 후 환의로 갈아입히면서 상체를 움직일 때,
손을 저으며 방어적인 자세를 보임.
인상을 쓰며 신음소리를 냄.
1) 장기목표
환자는 퇴원 전까지 복부통증이 감소했다고 말할 것이다.
2) 단기목표
환자는 수술 후 3일 이내에 복부통증 감소를 말로 표현할 것이다.
3) 목적
1.환자는 통증으로 인한 불편감이 감소했다고 말한다.
2.환자는 통증으로 인한 징후(얼굴 찡그림, 식은땀)를 보이지 않는다.
4) 간호지시
< 진단적 계획 >
1.통증의 불편감의 빈도, 기간 등의 특성을 사정하고, V/S을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 치료적 계획 >
1.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경우 처방된 통증약물(N-PTDA)을 투여한다.
2.대상자에게 이전에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통증완화 전략을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3.통증완화를 위해 편안한 마음을 가지라고 격려한다.
< 교육적 계획 >
1.다양한 통증 완화법을 교육한다.(명상, 음악, 암시, 지압 등)
2.수술 후 마취가 깨면서 통증이 생길 수 있고, 비정상적인 증상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7. 간호수행
1) 통증 불편감을 사정하고, V/S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였다
⇒ 배 부위를 만지려고 하면 거부하셨고, 누워계시다가 일어나실 때 끙끙 거리며 매우 힘들어 하셨다. 배 움직이시는걸 싫어하셨다.
V/S에서는 입원당시 120/70이던 BP가 수술 후 150/90까지 올라 그 이후로 140/80선을 유지하셨다.
P또한 입원당시 72였는데 수술 후 93까지 오르셨다가 그 이후 80대를 유지하셨다. 호흡이나 체온은 별다른 상관성이 없었다.
2)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진통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 처방된 진통제는 ACFA와 N-PTDA 였고, 약전을 찾아보았다.
3) 움직일 때 절개부위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 움직일 때 매우 힘들어 하셨으므로 배를 움직일 때 베개나 이불을 돌돌 말아서 배에 지지하고 움직이도록 돕고 교육했다.
4) 복부팽만감의 감소와 장운동 증진을 위해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에 움직이도록 교육 하였다
⇒ 움직일 때 아파서 웬만하면 움직이려하지 않으셨으므로
운동을 해야 상처도 빨리 아물고 가스도 빨리 나와 식사하실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5) 복강경담낭절제술의 경우 수술 후 약 10일 후부터, 개복성 담낭절제술의 경우 수술 6주 후부터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 아파서 못 움직이겠다고 언제쯤 맘껏 움직일 수 있냐고 물으셔서 대답해 드렸다.
8. 간호평가
1) 환자는 진통제로 인해 덜 아팠다고 말씀하셨다.
2) 환자는 학생이 따뜻하게 말을 건네주고 마음의 안정을 찾게 해줘서 덜 아팠던 것 같아 고맙다고 말씀하셨다.
3) 환자는 통증으로 인한 증상(얼굴 찡그림, 경계적인 몸짓)이 감소하였다.
참고문헌
◎ 김봉수 외 6 명, 아스페르길루스증의 면역진단 방법 연구Ⅰ, 질병관리본부, 1996
◎ 김애란 외 5명, 위암 수술 후 환자의 정보 요구 KISTI, 대한위암학회, 2009
◎ 성인간호학 4, 서문자 이향련 외, 수문사, 2004
◎ 이경순 외, 정신건강간호학(하), 현문사, 2000
◎ 임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2003
◎ 유교상, 담석증의 진단, 대한내과학회, 2008
  • 가격9,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