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시험] 금속조직 관찰 실험 결과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료시험] 금속조직 관찰 실험 결과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금속 표면 조직관찰의 목적

Ⅱ. 본론

1. 실험 이론

2.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Ⅲ. 결론
1. 실험 결과

2. 분석 및 고찰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로서 냉각을 시키면서 연마하도록 한다.
어는 정도 표면이 평탄하게 되면 거친 연마를 시작한다.
ⅱ) 조연마
카아보란담이나 알루미나 분말이 피복된 연마지를 바닥이 평탄한 곳에 놓고 시편에 가볍게 압력을 가하면서 전후로 움직여 연마한다.
보통 사포는 뒷면에 표시된 숫자가 작을수록 거친 것이며 처음 연마에는 제일 거친 연마지로서 연마를 시 작하고 순차적으로 미세한 연마지로 연마를 한다. 이 거친 연마 과정에서는 관찰할 시편의 면이 평활하게 되는가의 결정단계이므로 시편을 조심스럽게 다루어서 연마를 실시해야 한다.
ⅲ) 정마
거친 연마를 끝낸 시험편은 정마를 실시한다. 정마에는 기계적 정마와 전해 정마가 있으며 기계정마는 보 통 연마기를 사용한다.
기계정마는 연마포를 평평하게 씌워 놓은 회전판위에 산화크롬이나 알루미나의 미분을 물에 섞은 연마액을 몇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실시한다. 이 때에도 시편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 가볍게 연마를 하며, 회전원 판의 원주방향과 최종거친 연마방향이 직각이 되게 하여 앞의 연마시 흠이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연마한다.
기계 정마가 끝난 시편은 흐르는 물에서 탈지면으로 연마찌꺼기를 제거하고 알코올 스프레이나 초음파 세척기로 완전히 경면을 만든다.
ⅳ) 부식액(애칭액)의 제조
(염산 30ml + 에타올 120ml + 염화제 1철 10ml)
ⅴ) 부식
부식하지 않은 연마면에서는 모상과 색이 다른
상이라든지, 비금속 개재물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무런 조직도 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적당한 부식액으로 관찰할 연마면을
부식시키면 결정입계, 상의 경계, 상의 종류,
결정방향들이 부식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조직을 관찰 할 수 있게 된다.
ⅵ) 현미경 검사
시편의 연마와 부식이 끝나면 금속 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한다.
금속현미경을 시편에 수직으로 광선을 입사시켜 반사된 빛에 의해서 관찰하게 되며 아래 그림은 금속현미경의 한 형태와 반사조명 원리를 나타낸다.
시편을 시편대 위에 올려놓은 후에는 다음의 조작에 의하여 조직을 관찰한다.
① 먼저 접안렌즈를 뽑아내고 그 속을 들여다보면서 유리의 밝기가 균일하게 되돌고 광학의 위치와 유리판의 회전을 조정한다. 밝기가 균일하게 되돌고 광학의 위치와 유리판의 회전을 조정한다. 밝기가 균일하고 또 중심부에 밝은 부분이 위치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야 조리개와 밝기 조리개를 조절한다.
완전하게 되었을 경우 접안렌즈를 끼우고 저배율에서 대체적인 초점을 맞춘다.
② 다음은 초점 조정을 한다. 우선 저배율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보면서 시편에 대물렌즈를 가까이 접근시킨 다음 접안렌즈를 통하여 조동손잡이로 대강의 초점을 맞춘 후 미동손잡이로 정확히 초점을 맞춘다.
고배율의 대물렌즈로 바꾸고 미동손잡이에 의해서 초점을 맞춘다.
③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조직을 관찰하게 되는데 관찰요령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처음의 관찰배율은 100~200배 정도의 저배율이 좋으며 차차 고배율로 옮기도록 한다. 그 이유는 처음부터 고배율로 관찰하게 되면 전체적인 조직의 특징을 알 수 없게 되며 국부적으로만 관찰하게 되기 때문이다.
현미경 사진을 촬영할 경우에는 특히 초점을 잘 맞추고 적당한 배율, 밝기 등을 조절해서 일반사진을 촬영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촬영한다.
ⅶ) 촬영된 조직사진을 보고 스케치를 한다.
ⅷ) Venier calliper(노기스)로 시편을 측정한다.
버니어 캘리퍼스는 자와 캘리퍼스를 일체로 조합한 측정기로서, 기계가공 현장에서 피 측정물의 바깥지름, 안지름, 깊이, 단차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측정정도는 보통 0.05mm에서 최고 0.02mm다. 이 측정기를 처음 만든 사람은 프랑스의 버니어(Vernier, Pierre:1580~1637)로서 그의 이름을 따서 버니어 캘리퍼스라고 부르고 있다.
-버니어의 눈금읽는 방법-
버니어 캘리퍼스의 눈금은 0.05mm 와 0.02mm 로 되어있지만, 보통 0.05mm 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참조 그림의 버니어 눈금을 읽어보면, 버니어(아들자)의 네번째 눈금선이 어미자 눈금선과 일치 하였으므로 어미자 73mm 눈금선에서 버니어(아들자) 0선까지의 치수는
73+0.20 = 73.20(mm)가 되겠다.
최근에는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가 나와 측정치수를 조그만 LCD창에 직접 보여주기도 한다.
버니어의 측정은 외측으로 피측정물을 외측 측정면 사이에 놓고 측정한다. venier calliper(노기스)로 자기 시편의 높이와 직경을 잰다.
-사용시 유의할 점-
a. 측정면을 청결히 하기 위해 측정면 사이에 얇은 종이를 끼워 빼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b. 영점 조정이 정확한가를 확인하고 오차가 있는 경우 영점 보정을 하여야 한다.
c. 외측 측정시 외측 측정면 턱의 안쪽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다.
d. 외측, 내측 및 깊이 측정면은 피측정물에 정확하게 접촉시켜야 오차가 적다.
e. 눈금 읽음시 시차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항상 눈금선에 수직방향으로 읽도록 주의한다.
버니어 캘리퍼스의 통상의 오차는 측정길이에 따라 다르다.
다음의 표는 측정길이에 대한 통상의 오차를 표시한다.
최소눈금값
0.1
0.05
0.02
최대 측정 길이
150
±0.10
±0.08
±0.05
200
±0.10
±0.08
±0.05
300
±0.10
±0.10
±0.08
Ⅲ. 결론
1. 실험 결과
(1) 시편의 조직 사진
-x200배-
-x500배-
(2) 시편의 직경과 높이 측정결과와 브리넬 경도 측정결과
1) 직경과 높이 측정값
직경측정값
윗부분
중간부분
아랫부분
높이
1차측정
13.13mm
13.16mm
13.16mm
14.47mm
2차측정
13.15mm
13.15mm
13.17mm
14.69mm
평균값
13.14mm
13.155mm
13.165mm
14.58mm
시편의 크기
13.15mm
14.58mm
2. 분석 및 고찰
(1) 현미경 조직사진 분석
α상(밝은부분)과 β상(어두운부분)을 포함한 2중 조직으로 이론적으로는 α상에서 β상이 α상으로 변태할 때
수반하는 변형으로 생기는 쌍정을 관찰할 수 있는데, 위사진에서는 관찰하기 힘이 든다. 약간의 개재물이 보
이지만 스크래치는 없고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8.06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