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공학 및 실험] Jar-Test 실험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및 절차

6. 결과

7. 자신의 의견

본문내용

토의 1/1000수준이므로 표 면적은 1,000,000배가 된다. 따라서 중화해야 할 전기량은 점토에 비해 대단히 많다. 이러한 이유로 미세콜로이드의 응집은 pH5부근인 약산성에서 최고치를 갖는다. 또 수중에 인과 같은 (-)이온이 많이 존재하면 이온과 경합해서 알루미늄의 응집영역이 산성범위로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점토도 pH5~6부근에서 응집이 가장 잘 진행된다. 반대로 나 등의 (+)의 다가이온이 많이 존재하면 응집점은 알칼리 범위로 이동한다. (-)로 하전 된 콜로이드성 입자의 중화보다는 다량의 (+)다가이온을 중화 하여야하기 때문에 의 생성을 위해서라 보인다. 즉, 시료에 용해된 콜로이드성 입자의 성상과 양에 따라 pH조절범위나 응집제의 투여량, 종류 등이 달라질 것이라 볼 수 있다. 우리가 채취한 시료의 실험 결과를 보면 응집제 18mg/L, pH7.09인 경우에 응집효과가 가장 좋게 나왔다. 이를 통해 생각해 보면, 시료는 점토계 콜로이드성 입자가 주로 포함 되어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시료의 성상을 항목별로 분석해보면 좋을 것 같다.
(3) 오차원인분석
응집제 투여 시 각각의 Jar에 시간차를 두고 투여하였는데, 오랜 시간동안 교반과 침전을 하지 못하였으므로 응집제의 작용시간에 대한 오차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탁도를 측정 할 때에 도 각각의 Jar에 시간차를 두고 측정하였는데, 나중에 측정한 Jar의 시료가 더 오랜 침전시간을 갖을 수 있었으므로 이는 오차의 한 원인이 된다고 생각한다.
최적의 응집제투여량을 찾는 실험에서 각각의 Jar의 시료의 pH가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실험은 매우 미세한 양에 의해서도 결과 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오차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러 문헌들을 보면 응집제에 의한 응집 실험 시 교반시킴에 따라 pH가 낮아 질 수 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응집제는 다가의 금속염이 사용되는데 이는 대부분 약산이므로 물속에 투여하면 pH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데이터 값에 의한 시료의 성상 예측이 맞는다고 가정하면 더 높은 범위의 pH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 생각한다. 즉, 주입된 응집제에 의해 pH가 다소 낮아질 수 있다. 실험 종료 후 최종 pH값을 측정하여 본 결과 이론대로 pH값이 내려갔다. ph에 의한 응집작용의 변화는 실험하지 않아 고려하지 못하였으므로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 밖에도 시약제조과정, 탁도 측정, 시약과 시료의 정량 측정등 에서도 크고 작은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라 본다.
8. 참고문헌
-『Basic Environmental Technology』 J.A. Nathanson , Prentice Hall
- 환경공학용어사전, 환경용어연구회 편, 성안당, 1996.4
- 용수처리(상수처리기술), 유명진조용모 공역, 동화기술(2004)
- 상수도공학(계획, 설계 및 운전), 유명진 외 8명 공역, 동화기술(2005)
-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 최규철 외 8명 엮음, 동화기술(2004)
Jar-Test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07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