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및 실험목적
2. 이론적 배경
3. 실험기구 및 재료
4. 실 험 방 법
5. 실 험 결 과
6. 결론 및 고찰
2. 이론적 배경
3. 실험기구 및 재료
4. 실 험 방 법
5. 실 험 결 과
6.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의 처짐 실습장비
4. 실험 방법
- 보에서의 처짐 실습장비의 전원을 켜고 영점조정을 실시한다.
- 영점 조정을 한 후에, 임의의 위치에 추를 걸고 임의의 측정지점(왼쪽에서 50, 오른쪽에서 100, 처짐 250위치)을 설정하여 그 위치에서의 디지털 다이얼 게이지에 놓고 표시창의 값을 읽는다.
- 각각의 위치에 가했던 하중(100g, 150g)을 그대로 재하하고 측정지점에서의 변위를 측정한다.
- 결과를 계산, 정리한다.
- 정리한 측정값을 이론값과 비교한다.
5. 실험 결과
보의 종류
처짐
이론 값(mm)
실험 값(mm)
오차(%)
강철 보
0.087
0.07
19
0.25
0.21
16
0.337
0.28
16
0.339
0.33
2
알루미늄 보
0.261
0.17
34
0.752
0.45
40
1.013
0.63
37
1.017
0.63
38
(강철보 실험시)
(알루미늄보 실험시)
6. 고찰
실험 전 미리 세운 가정은 강철 보의 실험과 알루미늄 보 실험 시에 중첩의 원리가 적용된다는 것이었다. 실험을 통해 우리 조는 100g, 150g 두 종류의 하중을 재하 시 실험값과 이론식으로 구한 이론값이 일치하는 가를 확인해보았다.
각각의 이론값과 실험값을 따로 보면 실험 전의 가정과 일치했다. 하지만 이론값과 실험값을 직접 비교하면 큰 오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이유는 보가 이미 휘어져 있음과 임의의 위치를 정해서 하중을 재하 할 때 그 정확한 위치에 하중을 재하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중첩의 원리가 증명된 점 자체는 실험을 통해 확인했으나 실험의 오차가 큰 것에는 좀 아쉬움이 남는다.
4. 실험 방법
- 보에서의 처짐 실습장비의 전원을 켜고 영점조정을 실시한다.
- 영점 조정을 한 후에, 임의의 위치에 추를 걸고 임의의 측정지점(왼쪽에서 50, 오른쪽에서 100, 처짐 250위치)을 설정하여 그 위치에서의 디지털 다이얼 게이지에 놓고 표시창의 값을 읽는다.
- 각각의 위치에 가했던 하중(100g, 150g)을 그대로 재하하고 측정지점에서의 변위를 측정한다.
- 결과를 계산, 정리한다.
- 정리한 측정값을 이론값과 비교한다.
5. 실험 결과
보의 종류
처짐
이론 값(mm)
실험 값(mm)
오차(%)
강철 보
0.087
0.07
19
0.25
0.21
16
0.337
0.28
16
0.339
0.33
2
알루미늄 보
0.261
0.17
34
0.752
0.45
40
1.013
0.63
37
1.017
0.63
38
(강철보 실험시)
(알루미늄보 실험시)
6. 고찰
실험 전 미리 세운 가정은 강철 보의 실험과 알루미늄 보 실험 시에 중첩의 원리가 적용된다는 것이었다. 실험을 통해 우리 조는 100g, 150g 두 종류의 하중을 재하 시 실험값과 이론식으로 구한 이론값이 일치하는 가를 확인해보았다.
각각의 이론값과 실험값을 따로 보면 실험 전의 가정과 일치했다. 하지만 이론값과 실험값을 직접 비교하면 큰 오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이유는 보가 이미 휘어져 있음과 임의의 위치를 정해서 하중을 재하 할 때 그 정확한 위치에 하중을 재하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중첩의 원리가 증명된 점 자체는 실험을 통해 확인했으나 실험의 오차가 큰 것에는 좀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