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홍보(PR)의 개념
Ⅲ. 홍보(PR)의 모델
1. PR모델
2. 마케팅 관점에서의 홍보모델
1) 전통적 모델(Traditional Model)
2) 교환 모델(Exchange Model)
3) 적응 모델(Adaptive Model)
Ⅳ. 홍보(PR)의 대행사
1. 홍보대행사의 개념
2. 국내외 전문 홍보 대행사의 활동 현황
1) 세계적인 홍보대행사의 활동 현황
2) 국내 홍보대행사의 활동현황
3. 홍보대행사의 주요업무
Ⅴ. 홍보(PR)의 고려사항
Ⅵ. 홍보(PR)의 외국 사례
1. 미국
2. 영국
Ⅶ. 결론
참고문헌
Ⅱ. 홍보(PR)의 개념
Ⅲ. 홍보(PR)의 모델
1. PR모델
2. 마케팅 관점에서의 홍보모델
1) 전통적 모델(Traditional Model)
2) 교환 모델(Exchange Model)
3) 적응 모델(Adaptive Model)
Ⅳ. 홍보(PR)의 대행사
1. 홍보대행사의 개념
2. 국내외 전문 홍보 대행사의 활동 현황
1) 세계적인 홍보대행사의 활동 현황
2) 국내 홍보대행사의 활동현황
3. 홍보대행사의 주요업무
Ⅴ. 홍보(PR)의 고려사항
Ⅵ. 홍보(PR)의 외국 사례
1. 미국
2. 영국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하고 있는 국가이다. 1799년에 이미 왕립학술원(Royal Institution)이 설립되었고, 이어 1831에는 영국과학발전협회(The British 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Science: BAAS)가 발족하는 등 상대적으로 오래 전부터 과학기술이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하는 수단이라는 인식이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에도 왕립학회와 왕립학술원 등 오랜 전통을 가진 여러 기구들이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및 정보교환을 증진시키기 위한 각종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들은 전문가로부터 다양한 계층을 상대로 한 강의와 출판물 발간 등을 통해 과학기술의 발전과 영향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이하 김기국, 2000. 4. 25 참조 재구성).
한편 런던에 위치하고 있는 과학박물관(The Science Museum)은 방대한 과학기기 및 기계류를 소장하고 있으며, 관람객을 위한 대화식 컴퓨터 게임과 시청각장비를 갖춤으로써 다양한 과학적 원리는 물론 원시시대의 초보적인 발견으로부터 우주시대의 최첨단기술에 이르는 과학의 역사를 대중에게 전달하고 있다. 이밖에 역시 런던에 있는 자연사박물관(Natural History Museum)도 해당 분야 연구의 세계적인 핵심센터고서 세계 여러 나라의 관련 기관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들어 개인 차원에서의 고용안정이나 혹은 더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의 경제발전과정에서 기술에 대한 문맹 여부(technical literacy)가 차지하는 역할 및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한편 이와 함께 급격한 과학기술의 진보에 대한 대중의 반감이나 이로 인한 소외감 등의 부정적인 현상들도 비례해서 확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영국의 과학기술계와 정부에서는 이 같은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1985년 왕립학회(Royal Society)에 의해 발간된 Bodmer Report와 1986에 설치된 과학국민이해위원회(The Committee on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COPUS)이다.
Ⅶ. 결론
최근 외국의 조사기관(미국의 안홀트-GMI사)이 올해 2분기(4∼6월) 세계 각국의 소비자 1만 명을 대상으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합쳐 25개국의 국가브랜드 파워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한국은 브라질(15위), 멕시코(16위), 이집트(17위), 인도(18위), 폴란드(19위) 보다 낮은 20위로 나타났다. 한국의 국가브랜드 순위가 이처럼 개발도상국가보다도 낮게 나타난 것은 일반 소비자들 중 상당수가 한국과 북한을 구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실제 미국과 유럽에서 조사에 응한 소비자 상당수가 한국 정부에 대해 ‘위험하고 예측할 수 없는 정부’라고 대답해 정부 부문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국가브랜드가 미치는 영향력은 엄청나다. 국가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는 단순히 국가에 대한 인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국가의 산업/경제 이미지를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사에 따르면 긍정적인 국가브랜드 이미지는 수출 및 상품 구매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를 볼 때 한국의 국가브랜드 파워가 낮으면 자연스럽게 한국산 제품도 저평가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결국 국가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제고는 수출을 통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우리에겐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문제인 것이다.
많은 국가들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해외홍보방송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아리랑TV와 KBS 국제방송이 이 같은 역할을 수행해 왔고, 최근 텔레비전프로그램의 경쟁력이 생기면서 방송사들 역시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해외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해외방송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라는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미비하다는 지적을 계속 받아오고 있다.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해외방송을 활용해야 한다는 정책제안도 여러 번 있었지만 이 역시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이 해외홍보방송에 대한 법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것은 우리나라 방송정책 추진체계의 구조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해외홍보방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기 때문이다.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해외홍보방송은 공영방송 혹은 국책방송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보편적인 운영방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해외홍보방송인 아리랑TV는 문화관광부에 의해 해외홍보방송의 운영주체로 지정받아 해외방송을 개국되었지만 공영방송도 국책방송도 아닌 법적 근거 없는 비영리 재단법인이 운영하는 방송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이 법적위상으로 인해 아리랑TV는 문화관광부 소속이지만 국고(4%)로부터 재원을 지원받지 못하고 방송발전기금(57%)을 주요재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법적 근거가 없는 아리랑TV는 방송발전기금의 운영주체인 방송위원회의 감독을 받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운영방식은 방송진흥정책 주도권을 두고 문화관광부와 갈등관계를 가지고 있는 방송위원회로부터 발전기금을 지원받는 것도 점점 어렵게 만들고 있다. 결국 아리랑TV의 운영은 우리나라 공공영역의 방송구조의 개편이라는 큰틀 속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게다가 일반 국민뿐만 아니라 언론학자 및 방송정책결정 관련자조차 해외홍보방송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그러나 아리랑TV가 해외에서 한국이라는 국가의 긍정적 이미지형성을 위해 수행하고 있는 역할은 실로 감동적이다. 일부 언론단체에서는 아리랑TV를 마치 과거 정권유지에 동원되던 국영방송 혹은 정부홍보방송으로 인식하고 있는 듯하다.
참고문헌
고영창(2006), 10억짜리 홍보비법, e비즈북스
금석호(2010), 홍보 리얼리티, 이서원
박진용(2011), 언론과 홍보, 커뮤니케이션북스
정재왈(2007), 현장 문화예술 홍보, 커뮤니케이션북스
프레인(2005), 프로들의 홍보노트, 청년정신
폴 아르젠티, 재니스 포먼 저, 이승봉 역(2006), 기업 홍보의 힘, 커뮤니케이션북스
한편 런던에 위치하고 있는 과학박물관(The Science Museum)은 방대한 과학기기 및 기계류를 소장하고 있으며, 관람객을 위한 대화식 컴퓨터 게임과 시청각장비를 갖춤으로써 다양한 과학적 원리는 물론 원시시대의 초보적인 발견으로부터 우주시대의 최첨단기술에 이르는 과학의 역사를 대중에게 전달하고 있다. 이밖에 역시 런던에 있는 자연사박물관(Natural History Museum)도 해당 분야 연구의 세계적인 핵심센터고서 세계 여러 나라의 관련 기관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들어 개인 차원에서의 고용안정이나 혹은 더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의 경제발전과정에서 기술에 대한 문맹 여부(technical literacy)가 차지하는 역할 및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한편 이와 함께 급격한 과학기술의 진보에 대한 대중의 반감이나 이로 인한 소외감 등의 부정적인 현상들도 비례해서 확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영국의 과학기술계와 정부에서는 이 같은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1985년 왕립학회(Royal Society)에 의해 발간된 Bodmer Report와 1986에 설치된 과학국민이해위원회(The Committee on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COPUS)이다.
Ⅶ. 결론
최근 외국의 조사기관(미국의 안홀트-GMI사)이 올해 2분기(4∼6월) 세계 각국의 소비자 1만 명을 대상으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합쳐 25개국의 국가브랜드 파워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한국은 브라질(15위), 멕시코(16위), 이집트(17위), 인도(18위), 폴란드(19위) 보다 낮은 20위로 나타났다. 한국의 국가브랜드 순위가 이처럼 개발도상국가보다도 낮게 나타난 것은 일반 소비자들 중 상당수가 한국과 북한을 구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실제 미국과 유럽에서 조사에 응한 소비자 상당수가 한국 정부에 대해 ‘위험하고 예측할 수 없는 정부’라고 대답해 정부 부문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국가브랜드가 미치는 영향력은 엄청나다. 국가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는 단순히 국가에 대한 인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국가의 산업/경제 이미지를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사에 따르면 긍정적인 국가브랜드 이미지는 수출 및 상품 구매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를 볼 때 한국의 국가브랜드 파워가 낮으면 자연스럽게 한국산 제품도 저평가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결국 국가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제고는 수출을 통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우리에겐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문제인 것이다.
많은 국가들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해외홍보방송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아리랑TV와 KBS 국제방송이 이 같은 역할을 수행해 왔고, 최근 텔레비전프로그램의 경쟁력이 생기면서 방송사들 역시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해외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해외방송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라는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미비하다는 지적을 계속 받아오고 있다.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해외방송을 활용해야 한다는 정책제안도 여러 번 있었지만 이 역시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이 해외홍보방송에 대한 법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것은 우리나라 방송정책 추진체계의 구조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해외홍보방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기 때문이다.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해외홍보방송은 공영방송 혹은 국책방송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보편적인 운영방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해외홍보방송인 아리랑TV는 문화관광부에 의해 해외홍보방송의 운영주체로 지정받아 해외방송을 개국되었지만 공영방송도 국책방송도 아닌 법적 근거 없는 비영리 재단법인이 운영하는 방송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이 법적위상으로 인해 아리랑TV는 문화관광부 소속이지만 국고(4%)로부터 재원을 지원받지 못하고 방송발전기금(57%)을 주요재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법적 근거가 없는 아리랑TV는 방송발전기금의 운영주체인 방송위원회의 감독을 받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운영방식은 방송진흥정책 주도권을 두고 문화관광부와 갈등관계를 가지고 있는 방송위원회로부터 발전기금을 지원받는 것도 점점 어렵게 만들고 있다. 결국 아리랑TV의 운영은 우리나라 공공영역의 방송구조의 개편이라는 큰틀 속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게다가 일반 국민뿐만 아니라 언론학자 및 방송정책결정 관련자조차 해외홍보방송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그러나 아리랑TV가 해외에서 한국이라는 국가의 긍정적 이미지형성을 위해 수행하고 있는 역할은 실로 감동적이다. 일부 언론단체에서는 아리랑TV를 마치 과거 정권유지에 동원되던 국영방송 혹은 정부홍보방송으로 인식하고 있는 듯하다.
참고문헌
고영창(2006), 10억짜리 홍보비법, e비즈북스
금석호(2010), 홍보 리얼리티, 이서원
박진용(2011), 언론과 홍보, 커뮤니케이션북스
정재왈(2007), 현장 문화예술 홍보, 커뮤니케이션북스
프레인(2005), 프로들의 홍보노트, 청년정신
폴 아르젠티, 재니스 포먼 저, 이승봉 역(2006), 기업 홍보의 힘, 커뮤니케이션북스
추천자료
홍보/PR 파트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홍보/PR 파트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홍보][PR][기업][대학][소방]기업홍보(기업PR), 대학홍보(대학PR), 소방홍보(소방PR), 인터...
[홍보][PR][대학][수돗물][소방][언론][관광][기업][국가]대학홍보(대학PR), 수돗물홍보(수돗...
[문화홍보][문화PR][홍보][PR][문화홍보 목표][문화홍보 콘텐츠산업][문화홍보 관광산업]문화...
[홍보][PR][사업홍보 고려사항][국가연구개발사업 홍보][푸드뱅크사업 홍보][파티사업 홍보]...
[언론홍보][언론PR][언론][홍보][PR][보도자료]언론홍보(언론PR)의 보도자료, 언론홍보(언론P...
[홍보활동][PR활동][홍보][PR][지역사회복지관][대한민국임시정부][정부][호텔]지역사회복지...
[홍보][PR][해외홍보][소방홍보][정책홍보]해외홍보(해외PR), 소방홍보(소방PR), 정책홍보(정...
[홍보][PR][홍보 의미][홍보 기술적 과정][홍보 모형]홍보(PR)의 의미, 홍보(PR)의 기술적 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