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날씨][기상][기후 특징][기후 요소][기후 변화]기후의 특징, 기후의 요소, 기후의 변화, 날씨(기상)의 특징, 날씨(기상)와 날씨 관련 속담, 날씨(기상)와 구름의 종류, 날씨(기상)와 구름의 관계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후][날씨][기상][기후 특징][기후 요소][기후 변화]기후의 특징, 기후의 요소, 기후의 변화, 날씨(기상)의 특징, 날씨(기상)와 날씨 관련 속담, 날씨(기상)와 구름의 종류, 날씨(기상)와 구름의 관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기후의 특징
1. 연 평균기온
2. 연강수량
3. 바람
4. 습도
5. 장마
6. 태풍

Ⅲ. 기후의 요소

Ⅳ. 기후의 변화
1. 선캄브리아대
2. 고생대
3. 중생대
4. 신생대
5. 최근의 기온 변화

Ⅴ. 날씨(기상)의 특징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Ⅵ. 날씨(기상)와 날씨 관련 속담
1. 곡우에 비가 안 오면 논이 석자가 갈라진다
2. 꽃샘추위에 설 늙은이 얼어죽는다
3. 벚꽃 싹이 일찍 바래지면 여름 날씨가 좋다
4. 벚꽃이 일찍 피면 풍년
5. 봄 꽃이 가을에 피면 그 해는 추위가 늦다
6. 봄눈과 숙모 채찍은 무섭지 않다
7. 봄바람에 말똥 굴러가듯한다
8. 봄비가 많이 오면 아낙네 손이 커진다
9. 봄비는 따뜻해지면 갠다
10. 봄비는 쌀 비다
11. 봄비는 일 비고, 여름 비는 잠 비고, 가을비는 떡 비고, 겨울 비는 솔 비다
12. 봄비는 한 번 내릴 때마다 따뜻해진다
13. 봄에 눈이 급히 녹아 없어지면 풍년, 늦게 없어지면 흉작
14. 봄추위와 늙은이 근력은 오래가지 못한다
15. 봄추위가 장독 깬다
16. 2월 바람에 검은 소 뿔이 오그라진다
17. 가뭄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18. 개구리가 울면 비
19. 3년 가뭄은 견뎌도, 1달 홍수는 못 견딘다
20. 삼복 모두 가물면 왕 가뭄
21. 여름 비는 잠 비다
22. 여름 비는 소 잔등을 가른다
23. 여름에 남쪽 산에 구름이 끼면 연못을 말린다
24. 여름 적란운은 다음날 맑음
25. 유두날 비가 오면 연 사흘 온다
26. 장마끝물의 참외는 거저 줘도 안 먹는다
27.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 안 곡식 천석을 감한다
28.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
29. 가을 무 꽁지가 길면 겨울이 춥다
30. 가을비는 빗자루로도 피한다
31. 가을비는 오래 오지 않는다

Ⅶ. 날씨(기상)와 구름의 종류

Ⅷ. 날씨(기상)와 구름의 관계
1. 고층운
1) 우리말 이름
2) 영어명
3) 높이
4) 설명
5) 날씨와의 관계
2. 고적운
1) 우리말 이름
2) 영어명
3) 높이
4) 설명
5) 날씨와의 관계
3. 난층운
1) 우리말 이름
2) 영어명
3) 높이
4) 설명
5) 날씨와의 관계
4. 적란운
1) 우리말 이름
2) 영어명
3) 높이
4) 설명
5) 날씨와의 관계
5. 적운
1) 우리말 이름
2) 영어명
3) 높이
4) 설명
5) 날씨와의 관계
6. 층적운
1) 우리말 이름
2) 영어명
3) 높이
4) 설명
5) 날씨와의 관계
7. 층운
1) 우리말 이름
2) 영어명
3) 높이
4) 설명
5) 날씨와의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nimbostratus
3) 높이
5km [중(中)층운]
4) 설명
짙은 회색의 운층으로 형성되며 이 구름은 어떤 부분도 해를 완전히 가려버릴 만큼 두텁다. 난층운은 물방울과 우적, 얼음조각과 설편 또는 이들이 서로 혼합되어 형성되고 있다. 난층운은 보통 전천을 덮고 있는 낮고 짙은 회색의 구름으로 지속적인 비나 눈 또는 동우 때문에 흐려 보인다. 난층운은 보통 넓은 기층이 서서히 상승될 때 생긴다. 또 고층운이 두터워 지거나 그 운저가 낮아져서 되는 수가 있고 또 드물게 있는 일이기는 하지만 층적운이 나 고적운이 두터워져서 되는 수도 있다. 또 난층운은 적란운이 퍼져서 되는 수도 있고 아주 드문 일이기는 하지만 발달한 적운이 퍼져 생기는 수가 있다.
5) 날씨와의 관계
비나 눈이 약하게 계속해서 내리는 흐린 날 볼 수 있다.
4. 적란운
1) 우리말 이름
쌘비구름
2) 영어명
cumulonimbus
3) 높이
지면 0.5km이상 [하(下)층운]
4) 설명
수직방향으로 크게 발달한 짙은 구름으로 거대한 탑이나 산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구름의 정상부는 적어도 그 일부가 흩어져 있든지 섬유상의 구조를 하며 보통 편평하게 되어 있는 수가 많다. 적란운은 물방울과 얼음조각으로 되어 있으며 특히 정상부는 얼음 조각으로 되어 있다. 그밖에 큰 빗방울, 설편, 싸락우박, 싸락눈 등을 포함하고 있다. 높은 부분의 우적이나 물방울은 과냉각되어 있다. 적란운은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퍼진 범위가 대단히 넓기 때문에 가까운데서 그 구름 전체의 특징을 관측하기는 어렵다. 적란운은 적운이 발달해서 된다. 또 고층운이나 난층운의 일부가 발달해서 되는 수가 있다.
5) 날씨와의 관계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이 구름 속에서 공기의 움직임이 빠르게 상승 하강하는데 이때 번개가 치고 천둥소리가 난다.
5. 적운
1) 우리말 이름
쌘구름
2) 영어명
cumulus
3) 높이
지표면 : 0.5km [하(下)층운]
4) 설명
적운은 윤곽이 뚜렷한 서로 떨어져 있는 농밀한 구름으로 수직으로 솟아올라서 둥근 산봉우리나 탑 또는 지붕 모양을 하고 있다. 이 구름의 상부는 솟아올라 양배추와 같은 모 양으로 되는 수가 있다. 해에 비치는 부분은 매우 희고 밝게 빛나 보이나 운저는 비교적 검은 색이고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다. 적운은 주로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고 기온이 현저하게 낮은 부분에서는 얼음조각이 섞여 있는 때도 있다. 얼음조각이 성장하게 되면 적운은 적란운으로 변화한다. 적운은 대기 하층의 기온 감율이 격심할 때에 공기의 대류 현상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큰 기온 감율을 발생케 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지면이 태양복사를 받아 가열되는 것과 비교적 온난한 지면이나 수면상을 한기가 통과할 때 그 밑의 접촉면이 가열되는 것 등이다. 적운은 처음에 연무와 같은 것이 되어 가지고 거기에서 발생하는 수가 많다. 적운은 고 적운 또는 층적운에서 되는 수가 있고 층적운, 층운이 변화하여 되는 수도 있다. 층운이 변화하여 되는 적운은 육지에서 아침에 생기는 수가 많다.
5) 날씨와의 관계
구름이 작게 흩어져 있으면 날씨가 좋다.
6. 층적운
1) 우리말 이름
층쌘구름
2) 영어명
stratocumulus
3) 높이
지표면 : 0.5km [하(下)층운]
4) 설명
엷은 판의 둥글둥글한 덩어리 또는 로라 모양의 운편들이 모여서 된 구름이며 색깔은 회색이고 엷은 검정색을 띤 부분도 있다. 이 구름은 하늘의 일부분만을 점유할 정도의 소규모인 때도 있으나 한쪽 끝이 수평선에 닿아 있는 수도 있고 또 전천에 퍼져 있는 수도 있다. 층적운은 물방울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나 우적이나 싸락눈을 동반하는 수도 있고 드물게는 얼음조각이나 설편을 동반하고 있는 수도 있다. 층적운은 고적운의 운편이 커 져서 되는 수가 있다. 또 고층운이나 난층운의 밑에서 되는 수도 있고 난층운이 층적운으로 변하는 수도 있다. 층적운은 층운이 상승하여 되는 수가 있으며 또 층운의 높이는 변하지 않더라도 대류가 강해진다든지 파동성 기류에 의하여 층적운으로 변하는 수도 있다. 층적운은 적운 또는 적란운의 윗 부분이나 중간 부분이 퍼져서 되는 수가 많으며 오후 늦게나 저녁녁에 적운의 윗부분이 평탄하게 되어서 생기는 경우도 있다.
5) 날씨와의 관계
날씨가 좋지 않거나 좋아지려는 중에 나타난다.
7. 층운
1) 우리말 이름
층구름
2) 영어명
stratus
3) 높이
지표면 : 0.5km [하(下)층운]
4) 설명
비교적 일정한 운저를 가진 회색의 운층으로 이슬비, 세빙, 가루눈이 내리는 수가 있다. 이 구름을 통해서 해가 보일 때에는 그 윤곽이 뚜렷이 나타난다. 아주 기온이 낮은 때를 제외하고는 햇무리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층운은 불안정한 형의 조각구름으로 나타나 는 수가 많다. 특히 악천후 때에 난층운이나 적란운 밑에 이 구름이 나타나는 수가 많다. 층운은 통상 물방울로 되어 있으며 아주 저온인 때에는 얼음조각으로 되어 있는 수도 있다. 두껍고 짙은 층운은 이슬비, 세빙, 가루는 등으로 내리게 하는 수가 있다. 층운에서 의 강수는 이슬비, 세빙, 가루눈으로 나타난다. 층운은 보통 지면이 가열되거나 풍속이 증가하여 안개의 층이 서서히 상승하여서 된다. 또 해상에서 발생한 안개가 해안으로 흘러와서 육지에 상륙하여 층운으로 되는 수도 있다. 또 강수 이외의 원인으로 층적운의 운저가 낮아지고 기복이 없어져서 구름 조각들이 서로 달라붙어 형성되는 수도 있다.
5) 날씨와의 관계
층운이 언덕을 올라가는 공기 속이나 전선을 따라 형성되면 비가 내리기도 한다. 비가 갠 이른 아침에 흔히 볼 수 있는 구름이다.
참고문헌
디냐르 고드레지 저, 황성원 역 - 기후변화 지구의 미래에 희망은 있는가, 이후, 2010
이승호 - 한국의 기후 & 문화 산책, 푸른길, 2009
이유진 - 기후변화 이야기, 살림, 2012
이안 앵거스 저, 김현우 외2명 역 - 기후정의, 이매진, 2012
하랄트 벨처 저, 윤종석 역 - 기후전쟁, 영림카디널, 2010
한종훈, 임영섭 외1명 - 기후변화의 불편한 진실, 쎄오미디어, 2012

키워드

  • 가격9,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