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1 산가지놀이
1. 준비물
2. 놀이인원
3. 놀이방법
1) 방법 1
2) 방법 2
Ⅱ.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2 풀장난
Ⅲ.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3 열발뛰기
Ⅳ.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4 쌀보리
1. 교육과정 관련요소
1) 사회 생활
2) 건강 생활
3) 탐구 생활
2. 활동 규칙
3. 활동 방법
Ⅴ.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5 까막잡기
Ⅵ.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6 땅빼앗기
1. 준비물
2. 방법 및 활동 내용
3. 유의점
Ⅶ.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7 꼬리잡기
1. 목적
2. 대상
3. 준비물
4. 놀이방법
5. 판정
6. 유의점
참고문헌
1. 준비물
2. 놀이인원
3. 놀이방법
1) 방법 1
2) 방법 2
Ⅱ.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2 풀장난
Ⅲ.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3 열발뛰기
Ⅳ.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4 쌀보리
1. 교육과정 관련요소
1) 사회 생활
2) 건강 생활
3) 탐구 생활
2. 활동 규칙
3. 활동 방법
Ⅴ.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5 까막잡기
Ⅵ.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6 땅빼앗기
1. 준비물
2. 방법 및 활동 내용
3. 유의점
Ⅶ.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7 꼬리잡기
1. 목적
2. 대상
3. 준비물
4. 놀이방법
5. 판정
6. 유의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쪽은 술래가 되어 두 손으로 주먹을 잡을 준비를 하고 다른 한 쪽은 한 손으로 주먹을 쥐고 ‘쌀’이나 ‘보리’를 외치면서 술래의 손바닥을 살짝 치고 나온다.
ㆍ ‘쌀’이라고 외쳤을 때 잡히면 술래가 된다.
Ⅴ.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5 까막잡기
①3명 이상이면 할 수 있고, 수업 시에는 8-10명 정도가 적당하다.
②조용하고 장애물이 없는 곳을 정해서 그 안에서만 놀기로 한다.
③가위바위보 등 적당한 방법으로 술래를 한 명 정한다.
④술래는 보이지 않게 수건이나 눈가리개로 눈을 가린다.
⑤술래를 제외한 나머지 아이들은 손뼉을 치면서 술래를 피해 다닌다.
⑥술래에게 잡힌 사람은 술래가 되어 놀이를 다시 시작한다.
⑦세 번 이상 잡힌 사람은 벌칙을 정하여 벌을 받게 하는 것이 좋다.
Ⅵ.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6 땅빼앗기
1. 준비물
작은 돌
2. 방법 및 활동 내용
1) 큰 원을 그리고 가위. 바위. 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둥글게 그린 원의 한 귀퉁이에서 안쪽에 엄지손가락과 가운데손가락을 뻗어 돌려서 이것을 반경으로 원을 그리고, 그 그린 땅바닥을 자기 것으로 한다.
2) 이와 같이 몇 번이고 되풀이하여 땅바닥이 좁아지거나 모두 다 빼앗기면 지는 것이다.
3. 유의점
1) 땅이 너무 마른 날은 피한다.
Ⅶ.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7 꼬리잡기
1. 목적
협동심, 과감성, 순발력, 흥미로움
2. 대상
1,2학년 남, 여
3. 준비물
없음
4. 놀이방법
1) 각 모둠은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한 줄로 늘어선다.
2) 맨 앞사람이 머리가 되고, 맨 뒤가 꼬리가 된다.
3) 시작과 함께 머리인 사람은 상대 모둠의 꼬리를 쫓는다.
5. 판정
줄이 끊어지거나 꼬리를 먼저 잡힌 모둠이 진다.
6. 유의점
머리인 사람은 수비와 공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한꺼번에 넘어져 다치기 쉬우므로 앞사람과 보조를 잘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참고문헌
문은식 외 1명(2009), 전통마당놀이 활동이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석천학인(1994), 한국민간전승유희지, 한국민속학회
이세희(2011), 전통놀이의 활용 효과와 계승 방안, 우석대학교
이미영(2008), 놀이 활동을 통한 전래동요 지도안의 개발 및 적용, 건국대학교
편해문(2007), 인도 및 네팔과 한국 어린이 놀이문화의 비교연구, 비교민속학회
현지애(2007),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한양대학교
ㆍ ‘쌀’이라고 외쳤을 때 잡히면 술래가 된다.
Ⅴ.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5 까막잡기
①3명 이상이면 할 수 있고, 수업 시에는 8-10명 정도가 적당하다.
②조용하고 장애물이 없는 곳을 정해서 그 안에서만 놀기로 한다.
③가위바위보 등 적당한 방법으로 술래를 한 명 정한다.
④술래는 보이지 않게 수건이나 눈가리개로 눈을 가린다.
⑤술래를 제외한 나머지 아이들은 손뼉을 치면서 술래를 피해 다닌다.
⑥술래에게 잡힌 사람은 술래가 되어 놀이를 다시 시작한다.
⑦세 번 이상 잡힌 사람은 벌칙을 정하여 벌을 받게 하는 것이 좋다.
Ⅵ.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6 땅빼앗기
1. 준비물
작은 돌
2. 방법 및 활동 내용
1) 큰 원을 그리고 가위. 바위. 보를 하여 이긴 사람은 둥글게 그린 원의 한 귀퉁이에서 안쪽에 엄지손가락과 가운데손가락을 뻗어 돌려서 이것을 반경으로 원을 그리고, 그 그린 땅바닥을 자기 것으로 한다.
2) 이와 같이 몇 번이고 되풀이하여 땅바닥이 좁아지거나 모두 다 빼앗기면 지는 것이다.
3. 유의점
1) 땅이 너무 마른 날은 피한다.
Ⅶ.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7 꼬리잡기
1. 목적
협동심, 과감성, 순발력, 흥미로움
2. 대상
1,2학년 남, 여
3. 준비물
없음
4. 놀이방법
1) 각 모둠은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한 줄로 늘어선다.
2) 맨 앞사람이 머리가 되고, 맨 뒤가 꼬리가 된다.
3) 시작과 함께 머리인 사람은 상대 모둠의 꼬리를 쫓는다.
5. 판정
줄이 끊어지거나 꼬리를 먼저 잡힌 모둠이 진다.
6. 유의점
머리인 사람은 수비와 공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한꺼번에 넘어져 다치기 쉬우므로 앞사람과 보조를 잘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참고문헌
문은식 외 1명(2009), 전통마당놀이 활동이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석천학인(1994), 한국민간전승유희지, 한국민속학회
이세희(2011), 전통놀이의 활용 효과와 계승 방안, 우석대학교
이미영(2008), 놀이 활동을 통한 전래동요 지도안의 개발 및 적용, 건국대학교
편해문(2007), 인도 및 네팔과 한국 어린이 놀이문화의 비교연구, 비교민속학회
현지애(2007),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한양대학교
추천자료
전통놀이
전통놀이와 이론
한국의 전통놀이
일본전통놀이 - 하네츠키, 스고로쿠, 카미후센, 가루타, 가라오케 등
[유아교육,보육]학습지도안(전통놀이영역 투호놀이)
한국의 전통놀이
한국의 전통민속놀이 자료집 (2010년 05월)
전통놀이 활동계획안
93전통놀이교육의필요성-보고서
정신지체아 적응행동 정의와 특성, 정신지체아 적응행동 문제원인, 정신지체아 적응행동과 치...
프로젝트 접근법과 전통놀이 지도
한국의 전통놀이를 조사하고 그 진행을 위한 지도방법을 정리하기
관광학과-우리문화의 이해(한국_전통_놀이)
[일본문화 연구] 일본문화 (일본의 음식,의복,주거문화,집단주의문화,전통놀이문화,게이샤,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