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불안
2. 리비도설과 나르시시즘
3. 감정의 전이
2. 리비도설과 나르시시즘
3. 감정의 전이
본문내용
의 자아와 리비도 사이의 갈등이 끝나고, 그의 자아가 다시 리비도를 뜻대로 할 수 있게 되면 그는 건강을 되찾을 것이다. 그러므로 치료의 사명은 자아에서 멀어져 있는 현재의 속박에서 리비도를 해방하여, 그것을 다시 자아에 종속시키는 데 있다. 노이로제 환자의 꿈은 본질적으로는 정상인의 꿈과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노이로제와 건강의 차이가 낮에만 해당되며, 꿈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노이로제 환자의 꿈과 증상 사이에는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들이 분명히 밝혀 낸 많은 가설을 우리는 건강인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우리는 건강인도 꿈이나, 꿈과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소지를 정신생활 속에 갖고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또 우리는 건강인도 억압을 하고, 그것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며, 그 무의식 체계에는 에너지를 보충받은 억압된 충당된 충동을 감추고 있으며, 그리고 그의 리비도의 일부는 그 사람의 자아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건강인도 잠재적인 노이로제 환자이다.정신분석의 해로운 결과는,대체적으로 분석을 잘 하지 못했거나 분석을 도중에서 중단했을 때 나타나는 갈등이 증대하여 생긴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우리의 노력이 과연 영구적인 장해를 가져다 주는 것인지 아닌지는 스스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물론 장신 분석의 남용은 여러 방면에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전이는, 비양심적인 의사의 손으로 이루어착이라고 비난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어진다면 위험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하지만 어떤 치료법도 이 남용을 막을 수는 없다.
추천자료
광기의 예술인들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상담심리학의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적 치료, 인간중심의 치료, 행동수정을 비교
[정신분석학]프로이드와 코핫의 핵심개념 흐름에 관한 비교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
프로이드의 일생과 정신분석학의 주요 개념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A+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에 세살부터 다섯살까지 오이디푸스콤플렉스 작용에 의해서 자기 ...
프로이드 정신분석학에서의 성과 리비도
아동발달 이론에서 정신분석학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
아동발달 이론에서 정신분석학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프로이드이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
도덕성 발달의 정신분석학적 관점, 사회학습이론적 관점, 인지발달론적 관점, 도덕성 발달이...
여성주의이론(정신분석학 여성주의이론, 실존주의 여성이론, 포스트모던 여성주의이론, 에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