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 장단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구 장단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장단

1. 명칭
2. 악기의 분류
3. 유래와 문헌
4. 오늘날
5. 장구의 구조와 명칭
6. 장구의 재료

Ⅱ. 장단

1. 장단의 개념
2. 장구 기보법
3. 정악 장단
4. 민속악 장단

본문내용

지름은 30(최소29cm)를 사용한다.
3) 별신굿장구
별신굿 장구는 풍어와 동제에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그 모양이나 사용이 특이하다. 장구의 길이는 43cm, 궁편 23(최저22cm), 채편 22.5(최저21.5)로 만들어지며, 가죽은 개가죽과 암소가죽을 쓴다.
Ⅱ. 장단
1. 장단의 개념
장단(長短)이란 국악에서 박자, 빠르기, 리듬의 주기들을 지정해 주고, 때로는 악장을 의미하는 일종의 리듬형을 말한다.
2. 장구 기보법
서양음악에서는 3/4이니 6/8이니 하는 박자 기호를 써서 박자를 표시하지만 국악에서의 장단은 주로 장구나 북과 같은 타악기의 고법으로 장단을 기보한다.
<장구 표기법>
3. 정악 장단
가. 기악곡의 장단
(1) 한 장단 20박형
정악에 쓰이는 장단 중 한 장단 20박으로 이루어진 곡은 '영산회상'의 상령산, 중령산, '여민락'의 초장~3장, '현악 보허자'의 초장~4장, '관악 보허자'등이다.
(2) 한 장단 10박형
한 장단이 10박으로 이루어진 곡은 '영산회상'의 '세령산, 가락덜이', '여민락'의 제4장~제7장, '현악 보허자'의 제5장~제7장에서 쓰인다.
(3) 한 장단 6박형
한 장단이 6박으로 이루어진 장단은 '영산회상' 중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밑도드리, 웃도드리'등에 사용된다.
(4) 한 장단 12박형
(가) 타령장단
'영산회상'중에 타령, 군악과 '계면가락도드리'들과 행악중 '길타령', '별우조타령'들에 사용된다.
(나) 취타 장단
'취타', '대취타'에 사용된다.
(5) 한 장단 4박형
'천년만세'중 양청도드리에 사용된다.
(6) 한 장단 8박형
'길군악'에 사용된다.
(7) 불규칙한 장단형
(가) 수제천
수제천의 장단은 '수제천'과 '동동'에 사용된다.
(나) 보태평정대업
'보태평'과 '정대업'과 같은 종묘 제례악은 자주 박자가 변하여 악절마다 박수가 불규칙하다.
나. 정악의 가악 장단
(1) 가곡
가곡 장단은 10점 16박과 10박으로 된 2가지가 있다. 16박 장단은 '초수대엽'~'삼수대엽', '소용', '언롱', '평롱'등 대부분의 가곡에서 사용되며 원형에 속한다. 10박으로 된 것은 '편수대엽', '언편', '편락'등 가곡 중 '편'에 쓰이고 3분박의 보통 빠른 속도이다.
<10점 16박 장단과 10점 10박 장단>
(2) 가사
가사 중 ‘백구사, 춘면곡, 어부사, 황계사, 길군악, 수양산가, 죽지사'는 도드리 장단을 사용한다. '상사별곡, 처사가, 양양가'와 같은 곡은 5박자로 되어 있다. '상사별곡'은 첫박에 덩, 제3, 4박에 덕을 친다. '처사가, 양양가'는 첫박에 덩, 제3박에 덕, 제4, 5박에 쿵을 친다.
<가사의 6박 장단> <가사의 5박장단: 처사가, 양양가>
(3) 시조
시조는 5박과 8박을 섞어 치며, 2분박인지 3분박인지 분명하지 않으나 흔히 3분박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3점 5박장단> <5점 8박장단>
4. 민속악 장단
가. 판소리와 산조의 장단
판소리와 산조에 사용되는 장단으로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 엇중모리 등이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고법은 기본형이 있기는 하나, 소리를 맺고 푸는 데 따라 변주하여 사용한다. 대개 악절의 처음에는 덩을 치고, 채편을 굴리고, 맺는 박에 채편을 크고 강하게 치고, 풀때는 쿵을 친다.
(1) 진양조 장단
진양조 장단은 3분 박으로 된 느린 6박이 한 각을 이룬다.
(2) 중모리 장단
중모리장단은 산조의 두 번째 악장에 해당되고, 판소리에는 노래말이 서술적인 장면에 주로 사용된다.
(3) 중중모리 장단
중중모리 장단은 산조의 세 번째 악장이고 판소리에서는 춤추는 장면, 통곡하는 장면, 활보하는 장면에 주로 사용된다.
(4) 자진모리 장단
자진모리 장단은 산조의 네 번째 악장이고, 판소리에서는 여러 가지를 나열하거나 긴박한 장면에 주로 사용한다.
(5) 휘모리 장단
휘모리 장단은 산조의 다섯 번째 악장이고, 판소리에서는 분주한 장면에 사용된다.
(6) 엇모리 장단
엇모리 장단은 산조에 가끔 쓰이고, 판소리에서는 신비한 인물이 나올 때 쓰인다.
(7) 엇중모리 장단
엇중모리 장단은 판소리에서 주로 뒷풀이할 때 쓰인다.
나. 민속악의 가악 장단
(1) 세마치 장단
'경기 입창, 서도 입창, 경기 긴잡가'등과 '진도 아리랑, 밀양아리랑'등 여러 민요에 두루 쓰인다.
(2) 굿거리 장단
'창부타령, 자진 농부가, 쾌지나 칭칭'등에 두루 쓰이고 경기 농악에서는 길군악칠채, 굿거리, 삼채인 덩덕궁이, 자진가락, 마당일채 등의 장단이 쓰인다.
3. 장구 장단을 정간보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정악 장단의 종류
(가) 영산회상 중 상령산중령산, 여민락 23장, 현악 보허자 1~4장, 관악 보허자

i





(나)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 여민락 1장
i

i






(다) 세령산가락덜이, 여민락 4~7장, 현악 보허자 5~7장







i

(라) 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







i
(마) 밑도드리웃도드리

i





(바) 염불도드리

i

i
(사) 타령군악, 계면가락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

i


i

(아) 양청도드리


i
(자) 취타(吹打)







(차) 길군악






i




(카)
① 가곡의 16박 장단







i








② 가곡의 10박 장단







i








(타) 가사
① 가사의 6박 장단








② 가사의 5박 장단 - 처사가(處士歌)양양가(襄陽歌)




(파) 시조
① 시조의 5박 장단







② 시조의 8박 장단







i

나. 민속악 장단의 종류
(가) 진양조 장단



(나) 중모리 장단



!
i




!
i
(다) 중중모리 장단




















(라) 자진모리 장단















(마) 휘모리 장단







(4/4박으로 연주할 경우)



-

-

(12/8박으로 연주할 경우)
(바) 엇모리 장단






(사) 엇중모리 장단






(아) 세마치 장단





(자) 굿거리 장단


i






i







i

i
i

키워드

장구,   장단,   국악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