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다. 실제로 저자의 이야기도 그런 내용이 많다. “살아가는 일은 끊임없는 판단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자신의 판단기준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그 판단기준은 ‘도리와 윤리, 인간으로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하는 원리원칙’이 되어야 한다.” “훌륭한 인생을 만들어나가려면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는 판단력을 갖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판단을 하는 데 척도가 되는 건강한 철학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철학이란 공정이요, 정의요, 성실이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중요하고 보편적인 것들은 대개 지루하고 재미없으며 뜬구름 잡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음을 깨달아 가고 있다. 뉴스를 무슨 재미로 보냐며 어른의 취향을 이해하지 못했던 철없던 어린이가 만화 대신 뉴스를 찾게 되듯이, 이제 나도 조금씩 인생을 진지하게 바라보는 어른으로 성장한 모양이다. 그래서일까? 이제는 그 속에서 하나라도 놓치지 않고 내 것으로 만들고 싶은 욕구가 강해지고 있다. 평생의 지혜를 한 번 읽고 내 것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에 앞으로도 옆에 두고 하나씩 실천해 나가면서, 언젠가는 나의 인생 후배들에게 이나모리 기즈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중요하고 보편적인 것들은 대개 지루하고 재미없으며 뜬구름 잡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음을 깨달아 가고 있다. 뉴스를 무슨 재미로 보냐며 어른의 취향을 이해하지 못했던 철없던 어린이가 만화 대신 뉴스를 찾게 되듯이, 이제 나도 조금씩 인생을 진지하게 바라보는 어른으로 성장한 모양이다. 그래서일까? 이제는 그 속에서 하나라도 놓치지 않고 내 것으로 만들고 싶은 욕구가 강해지고 있다. 평생의 지혜를 한 번 읽고 내 것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에 앞으로도 옆에 두고 하나씩 실천해 나가면서, 언젠가는 나의 인생 후배들에게 이나모리 기즈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