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 공간의 비 일상화 - 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상적 공간의 비 일상화 - 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상적 공간의 비 일상화
-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 사람이 개를 물면 뉴스가 되고, 스토리가 된다

2.1. 일상과 비 일상이 뒤섞인 공간 - 엘리베이터
2.2. 다양한 텍스트에 등장하는 엘리베이터 살피기
 (1) 공포
 (2) 폭력, 액션
 (3) 단절
 (4) 안식
 (5) 우연, 계기
2.3. 인식과 체험에서의 엘리베이터 살피기

3. 나오며

본문내용

그런 상황이면 1분도 1시간같은 / 같이 탄사람들 다 기겁하고 그땐 핸드폰도 잘 안쓰던 시기여서 / 근데 전 재밌었어요 ㅋㅋ / 사촌언니랑 이모는 막 울었지만 / 그냥 어려서 그랬던거같아요 전 일본있을때 대지진낫을때도 신나햇어요../ --
어렸을적에 겪은 엘리베이터의 고장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에서 재미있는 점은 같은 사건이라고 해도 사람에 따라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드러나 있다는 점이다. 스토리텔러 본인은 함께 있던 사람들과 다르게 상황을 재미있는 것으로 받아들인 이유에 대해 어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반대로 어릴 적 엘리베이터에 갇힌 경험 때문에 엘리베이터에 대한 공포의 강박관념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인터넷에 올라오는 엘리베이터 관련 질문의 다수는 이러한 공포의 극복 방안에 대한 것이다.
⑥ 대학선배의 스토리텔링
난 / 아파트같은데 / 살아본적이없어서 / 엘리베이터를 / 그다지 / 많이탈일이없음
음... / 올라가는 / 엘리베이터인줄알고 / 아무도안탔는데 / 나만탔지 / 그냥혹시나해서 / 문이유리로되어있었는데 / 내가1층을누르니까 / 내려가는게야 / 엘리베이터내려가니까 / 사람들 / 벙찐표정
엘리베이터의 비일상적인 성격이 빚어내는 코믹한 상황에 대한 이야기이다. 스토리텔러는 이야기를 처음 요청 받았을 때엔 아파트에 살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야기를 바로 시작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내 엘리베이터와 관련한 자신의 체험담을 이야기 해 주었는데 이는 지나치게 확대 해석 하자면 엘리베이터가 그만큼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는 가까운 존재가 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 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는 다수가 받아들이는 일상적 상황이 순식간에 비일상적인 것이 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비 일상성을 발생시킨 본인도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재미를 찾을 수 있다.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요청하기 전까지 이야기의 패턴은 대부분 괴담일 것으로 예상 되었다. 인터넷에 떠도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이야기 중 가장 많은 것이 괴담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집 결과 괴담보다는 직접 겪은 이야기를 더 많이 접할 수 있었다. 많은 수집을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지만 본 수집과 분석을 통해 엘리베이터라는 공간이 갖는 의미가 개인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상적 공간의 비 일상화를 통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면서 문자 구술적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지는 체계와 과정에 대해 좀 더 연구 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3. 나오며
일상의 비 일상화가 가져오는 스토리의 발생을 공간을 중심으로, 그중에서도 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스토리는 일상의 비 일상화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비 일상의 작용은 사건이나 행동이 아닌 공간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공간은 스토리에서마다 그 역할과 기능을 달리하며 의미를 형성한다.
엘리베이라는 공간의 경우 엘리베이터가 갖는 특성들의 활용 의해 상황에 따른 의미가 다르게 형성되었다. 이는 여기서 다루지 못한 다른 공간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공간이 형성하는 의미가 사회현상으로까지 나타나는 시점에서, 스토리텔링에서의 공간이 어떠한 의미를 어떻게 형성해 가는지에 대한 탐구는 유의미할 것이다.
공간이라는 주제를 선택해 겉핥기를 면하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 더불어 2.2에서 다룬 엘리베이터의 의미들이 2.3의 탐구과정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으나 부족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야기들이 어떻게 변형되고 재생산되는지를 다루지 못했다. 다양한 텍스트를 다루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탐구대상이 영상물에 집중된다는 한계도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13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