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배드민턴의 연혁
Ⅲ. 배드민턴의 라켓
Ⅳ. 배드민턴의 경기장 규격
1. 코트
2. 네트와 포스트
Ⅴ. 배드민턴의 경기 수와 1게임 득점 수
1. 경기 수
2. 세팅(setting)
Ⅵ. 배드민턴의 플라이트
1. 클리어(clear)
2. 스매시(smash)
3. 드롭 샷(drop short)
4. 드라이브(drive)
5. 푸시(push)
6. 헤어핀(hair pin)
Ⅶ. 배드민턴의 풋 워크
Ⅷ. 배드민턴의 더블스
Ⅸ. 배드민턴의 교육방법
1. 목표
1) 심동적 목표
2) 인지적 목표
3) 정의적 목표
2. 준비 운동 및 보강운동
3. 셔틀 익히기
4. 그립 익히기
1) 이스턴 그립(eastern grip)
2) 웨스턴 그립(western grip)
5. 평가 및 클리닉
1) 평가
2) 클리닉
3) 과제
Ⅹ. 결론
참고문헌
Ⅱ. 배드민턴의 연혁
Ⅲ. 배드민턴의 라켓
Ⅳ. 배드민턴의 경기장 규격
1. 코트
2. 네트와 포스트
Ⅴ. 배드민턴의 경기 수와 1게임 득점 수
1. 경기 수
2. 세팅(setting)
Ⅵ. 배드민턴의 플라이트
1. 클리어(clear)
2. 스매시(smash)
3. 드롭 샷(drop short)
4. 드라이브(drive)
5. 푸시(push)
6. 헤어핀(hair pin)
Ⅶ. 배드민턴의 풋 워크
Ⅷ. 배드민턴의 더블스
Ⅸ. 배드민턴의 교육방법
1. 목표
1) 심동적 목표
2) 인지적 목표
3) 정의적 목표
2. 준비 운동 및 보강운동
3. 셔틀 익히기
4. 그립 익히기
1) 이스턴 그립(eastern grip)
2) 웨스턴 그립(western grip)
5. 평가 및 클리닉
1) 평가
2) 클리닉
3) 과제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손가락은 핸들 옆면의 가장 넓은 절단면에 닿도록 하고, 새끼손가락은 핸들의 하단을 쥔다.
그립은 유연하게 하고, 셔틀을 치는 순간에 힘을 주어 꽉 쥐었다가 치고 난 후 다시 힘을 빼어 가볍게 쥔다.
이때 손목의 동작은 손목을 중심으로 해서 전완과 라켓 자루가 V자 형을 만들도록 손목을 가볍게 구부린다. 손목을 유연하게 해서 타구 순간에 스냅이 듣도록 한다.
라켓을 꽉 잡고 있으면, 타구 순간에 어깨에 힘이 너무 들어가 스냅을 충분히 줄 수 없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포핸드 그립보다 손의 위치를 헤드의 왼쪽으로 약간 비껴 잡는다.
엄지를 그립 측면의 가장 넓은 면에 대고 그립을 따라서 가볍게 편다.
타구를 할 때에는 엄지로 라켓을 누르듯이 하여 스냅을 살려서 친다.
셰이크 핸드 그립 방식으로 쥐고 엄지손가락만을 세워 그립에 대는 방식이 섬업이다.
포핸드 쪽의 먼 곳까지 커버할 수 있지만 반대쪽은 커버하기 어렵다. 따라서, 백 사이드로 날아가는 셔틀을 칠 때에는 섬업(thumb up), 즉 엄지를 위로 세워 쳐야 한다.
배드민턴은 손목기술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립과 동시에 익히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리스트 콕이다. 리스트 콕은 그립한 상태로 손목을 첫째 손가락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라켓을 몸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이다.
2) 웨스턴 그립(western grip)
그립
웨스턴 그립
학습내용
라켓을 지면에 눕혀 두고 그대로 감싸 쥔다.
엄지와 네 손가락의 V자가 3시 방향을 향하게 한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익숙하고 편리하며 특히 오른쪽으로 오는 셔틀을 칠 때(포핸드 스트로크)는 강하게 칠 수 있어 유리하지만 왼쪽으로 오는 셔틀의 타구(백핸드 스트로크)시에는 불리하다.
강타와 푸싱 샷(밀어 쳐넣기)에는 유리하다.
웨스턴 그립은 라켓을 코트의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놓고 바로 그립을 쥔다.
초보자들에게 흔히 볼 수 있는 그립이다.
라켓의 한쪽 면만을 사용하게 되어 백핸드로 칠 경우는 불리하다. 그러나 몸의 바로 정면으로 날아온 셔틀을 치기에는 이스턴 그립보다 유리하다.
5. 평가 및 클리닉
1) 평가
다음의 평가에서 \'상\'은 가장 이상적인 동작을 의미하며 \'중\'은 지속적으로 교정을 필요로 하지만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수준이며, \'하\'는 클리닉을 참고로 하여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한 수준을 나타낸다.
등급
상
중
하
평가기준
이스턴이나 웨스턴 그립에서 엄지와 검지 모양이 V자로 자연스럽게 쥔다.
섬업과 리스트 콕을 정확하게 구사한다.
팔과 어깨 특히 손목에 힘을 빼고 가볍게 쥔다.
이스턴이나 웨스턴 그립에서 엄지와 검지 모양이 V자가 되지 못한다.
손목에 힘을 주어 동작이 부자연스럽다.
손목과 어깨에 과도하게 힘을 주고 있다.
그립의 형태가 이스턴인지 웨스턴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 있고 주먹을 쥐듯이 그립을 하고 있다.
2) 클리닉
동작
그립
수정내용
엄지와 검지 모양이 V자를 이루며 자연스럽게 쥔다.
오른손 검지손가락이 건그립(gun grip)이 되도록 한다.
섬업과 리스트 콕을 정확하게 구사한다.
팔과 어깨 특히 손목에 힘을 빼고 가볍게 쥔다.
3) 과제
그립을 자연스럽게 취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라켓을 상하좌우로 흔든다.
라켓을 8자 형태로 흔들어 본다.
라켓의 앞뒷면을 번갈아 가며 셔틀을 공중으로 높이 튀겨 본다.
셔틀콕 줍기 연습을 하고 숙달되도록 한다.
스윙 익히기 지도시 요점
옆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랠리는 상대방이 받기 쉬운 곳으로 보내서 오래 계속되도록 한다.
라켓 면이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그립을 확인한다.
반작용의 원리:백핸드를 구사하기 위해 오른팔을 왼쪽으로 당길 때, 왼팔은 가슴을 껴안듯이 가슴 앞에서 양팔을 교차시킨 후 포워드 스윙 시 오른팔이 네트 방향을 향할 때 왼팔은 왼쪽으로 돌아온다. 이 반작용이 오른팔의 스윙에 더욱 많은 힘을 부여하게 되므로 백핸드에서 매우 중요하다.
Ⅹ. 결론
현대 산업 사회는 인간의 정신과 육체 양면에서 문제를 야기하고, 더욱이 운동 부족에 의한 건강 약화, 체력의 저하 현상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허약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의 필연적인 건강과 체력 증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다.
오늘날 산업의 기계화, 자동화에 의한 근무시간의 단축, 정년의 조기화로 활동 시간의 증가, 경제적 윤택으로 생업에의 투여 시간 감소 등으로 여가 시간이 증대 되었다. 또한, 과거 스포츠 인구는 남성, 특히 학생이나 부유층중심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여성, 노동자, 농어민 신체 장애자등에게 까지 그 폭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여가 시간 및 여가를 즐기는 사람의 수가 동시에 증가함으로써 스포츠가 일상생활에 확산되어 가고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현대인들은 외면적 보상 때문에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 만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의 체육관 형성과 운동 참여가 습성화되고 생활화됨으로써 긍정적인 방향으로 태도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사회의 도시화와 인구 집중은 환경의 오염을 심화시키고 신체 활동의 공간 제한을 가져와 다양한 야외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어쩔 수 없이 파괴되어 가고 있는 인간성을 회복하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전인적 인간 완성을 지향하는 수단으로써 체육 진흥이 절실히 요구되어 진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와 같이 급격한 사회 변동을 통해 전통 사회에서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현대 사회로 넘어옴으로써 체육 활동이 일반화되지 못하고 사회화되지 못한 나라에 있어서 체육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자 : 배드민턴 선수들의 상해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1991
서원식 외 1명 : 배드민턴 규정 변화에 대한 인식과 경기운영, 한국스포츠학회, 2012
이순득 외 3명 : ㅍ배드민턴 기능 평정척도의 타당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3
장은정 : 배드민턴 소비행동에 관한연구, 군산대학교, 2009
정희정 : 배드민턴 동호인의 대인관계 성향 분석, 인하대학교, 2005
황혜영 : 배드민턴 여자단식 선수의 위치별 성공률 비교, 경남대학교, 2006
그립은 유연하게 하고, 셔틀을 치는 순간에 힘을 주어 꽉 쥐었다가 치고 난 후 다시 힘을 빼어 가볍게 쥔다.
이때 손목의 동작은 손목을 중심으로 해서 전완과 라켓 자루가 V자 형을 만들도록 손목을 가볍게 구부린다. 손목을 유연하게 해서 타구 순간에 스냅이 듣도록 한다.
라켓을 꽉 잡고 있으면, 타구 순간에 어깨에 힘이 너무 들어가 스냅을 충분히 줄 수 없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포핸드 그립보다 손의 위치를 헤드의 왼쪽으로 약간 비껴 잡는다.
엄지를 그립 측면의 가장 넓은 면에 대고 그립을 따라서 가볍게 편다.
타구를 할 때에는 엄지로 라켓을 누르듯이 하여 스냅을 살려서 친다.
셰이크 핸드 그립 방식으로 쥐고 엄지손가락만을 세워 그립에 대는 방식이 섬업이다.
포핸드 쪽의 먼 곳까지 커버할 수 있지만 반대쪽은 커버하기 어렵다. 따라서, 백 사이드로 날아가는 셔틀을 칠 때에는 섬업(thumb up), 즉 엄지를 위로 세워 쳐야 한다.
배드민턴은 손목기술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립과 동시에 익히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리스트 콕이다. 리스트 콕은 그립한 상태로 손목을 첫째 손가락 방향으로 구부리면서 라켓을 몸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이다.
2) 웨스턴 그립(western grip)
그립
웨스턴 그립
학습내용
라켓을 지면에 눕혀 두고 그대로 감싸 쥔다.
엄지와 네 손가락의 V자가 3시 방향을 향하게 한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익숙하고 편리하며 특히 오른쪽으로 오는 셔틀을 칠 때(포핸드 스트로크)는 강하게 칠 수 있어 유리하지만 왼쪽으로 오는 셔틀의 타구(백핸드 스트로크)시에는 불리하다.
강타와 푸싱 샷(밀어 쳐넣기)에는 유리하다.
웨스턴 그립은 라켓을 코트의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놓고 바로 그립을 쥔다.
초보자들에게 흔히 볼 수 있는 그립이다.
라켓의 한쪽 면만을 사용하게 되어 백핸드로 칠 경우는 불리하다. 그러나 몸의 바로 정면으로 날아온 셔틀을 치기에는 이스턴 그립보다 유리하다.
5. 평가 및 클리닉
1) 평가
다음의 평가에서 \'상\'은 가장 이상적인 동작을 의미하며 \'중\'은 지속적으로 교정을 필요로 하지만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수준이며, \'하\'는 클리닉을 참고로 하여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한 수준을 나타낸다.
등급
상
중
하
평가기준
이스턴이나 웨스턴 그립에서 엄지와 검지 모양이 V자로 자연스럽게 쥔다.
섬업과 리스트 콕을 정확하게 구사한다.
팔과 어깨 특히 손목에 힘을 빼고 가볍게 쥔다.
이스턴이나 웨스턴 그립에서 엄지와 검지 모양이 V자가 되지 못한다.
손목에 힘을 주어 동작이 부자연스럽다.
손목과 어깨에 과도하게 힘을 주고 있다.
그립의 형태가 이스턴인지 웨스턴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 있고 주먹을 쥐듯이 그립을 하고 있다.
2) 클리닉
동작
그립
수정내용
엄지와 검지 모양이 V자를 이루며 자연스럽게 쥔다.
오른손 검지손가락이 건그립(gun grip)이 되도록 한다.
섬업과 리스트 콕을 정확하게 구사한다.
팔과 어깨 특히 손목에 힘을 빼고 가볍게 쥔다.
3) 과제
그립을 자연스럽게 취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라켓을 상하좌우로 흔든다.
라켓을 8자 형태로 흔들어 본다.
라켓의 앞뒷면을 번갈아 가며 셔틀을 공중으로 높이 튀겨 본다.
셔틀콕 줍기 연습을 하고 숙달되도록 한다.
스윙 익히기 지도시 요점
옆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랠리는 상대방이 받기 쉬운 곳으로 보내서 오래 계속되도록 한다.
라켓 면이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그립을 확인한다.
반작용의 원리:백핸드를 구사하기 위해 오른팔을 왼쪽으로 당길 때, 왼팔은 가슴을 껴안듯이 가슴 앞에서 양팔을 교차시킨 후 포워드 스윙 시 오른팔이 네트 방향을 향할 때 왼팔은 왼쪽으로 돌아온다. 이 반작용이 오른팔의 스윙에 더욱 많은 힘을 부여하게 되므로 백핸드에서 매우 중요하다.
Ⅹ. 결론
현대 산업 사회는 인간의 정신과 육체 양면에서 문제를 야기하고, 더욱이 운동 부족에 의한 건강 약화, 체력의 저하 현상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허약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의 필연적인 건강과 체력 증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다.
오늘날 산업의 기계화, 자동화에 의한 근무시간의 단축, 정년의 조기화로 활동 시간의 증가, 경제적 윤택으로 생업에의 투여 시간 감소 등으로 여가 시간이 증대 되었다. 또한, 과거 스포츠 인구는 남성, 특히 학생이나 부유층중심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여성, 노동자, 농어민 신체 장애자등에게 까지 그 폭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여가 시간 및 여가를 즐기는 사람의 수가 동시에 증가함으로써 스포츠가 일상생활에 확산되어 가고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현대인들은 외면적 보상 때문에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 만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의 체육관 형성과 운동 참여가 습성화되고 생활화됨으로써 긍정적인 방향으로 태도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사회의 도시화와 인구 집중은 환경의 오염을 심화시키고 신체 활동의 공간 제한을 가져와 다양한 야외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어쩔 수 없이 파괴되어 가고 있는 인간성을 회복하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전인적 인간 완성을 지향하는 수단으로써 체육 진흥이 절실히 요구되어 진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와 같이 급격한 사회 변동을 통해 전통 사회에서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현대 사회로 넘어옴으로써 체육 활동이 일반화되지 못하고 사회화되지 못한 나라에 있어서 체육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자 : 배드민턴 선수들의 상해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1991
서원식 외 1명 : 배드민턴 규정 변화에 대한 인식과 경기운영, 한국스포츠학회, 2012
이순득 외 3명 : ㅍ배드민턴 기능 평정척도의 타당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3
장은정 : 배드민턴 소비행동에 관한연구, 군산대학교, 2009
정희정 : 배드민턴 동호인의 대인관계 성향 분석, 인하대학교, 2005
황혜영 : 배드민턴 여자단식 선수의 위치별 성공률 비교, 경남대학교,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