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내압상승(icpp) 간호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두개내압상승(icpp)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예측할 수 있는 증상은?

2. Dexamethasone이 처방된 이유는?

3. 그 외 처방 가능한 약물은?

4. 어떤 간호중재(수술전)가 필요한가?

5. 실제적, 잠재적, 가능한 간호진단은 무엇인가?

6. 각각의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중재는? 이론적 근거는?

7. 각 간호중재 시행 시 수반되는 핵심간호술은?

8. 핵심간호술의 방법은?

본문내용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밥한공기는 300gm, 국 한그릇은 200gm, 반찬은 한 접시에 70gm, 물한컵이나 작은 우유 한팩은 200mg 이다.
섭취량
- 침상에 눈금이 있는 컵을 놓고 섭취하기 전 모든 액체를 컴으로 측정하게 한다.
- 반고형 음식 섭취량은 퍼센트나 양의 비율로 기록, 대부분 기관은 표준 비율을 사용한다.
- 구강으로 섭취되는 모든 것을 측정한다.
- 위관영양 주입량을 측정한다
- 모든 정맥내 용액을 섭취량으로 측정한다.
-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섭취한 총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한다.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배설량
- 배액량에 따라 눈금 있는 용기를 1개 이상 방에 놓는다. 적은 양의 배액일 때에는(상처의 배액이나 적은 비위관 배액), 정확히 눈금표시가 된 컵을 놓아 둔다.
- 소변기에서 소변량을 측정하거나 소변을 눈금 있는 용기에 부어서 측정한다.
- 유치도뇨를 한 대상자는 각 근무시간 끝에 소변주머니를 비워서 소변의 양을 기록한다.
- 아래의 배설량을 측정한다.
① 상처배액
② 흉관배액
③ 구토
④ 설사
⑤ 혈액이나 장배액
- 실습의 경우 그 횟수를 기록하고 발한이 심한 경우에는 환의와 홑이불의 교환 횟수를 기록한다.
-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배설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한다.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이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 총 배설량을 섭취량과 비교하고 전날의 양과도 비교한다.
- 부적당한 섭취와 배설이 있으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 사정한 자료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성인의 소변 배출량은 1시간에 25mL 이하, 즉 24시간에 600mL 미만이면 의사에게 알린다.
*Cushing's triad 평가
뇌압상승에 대한 연수-혈관활성중추(medullary vasoactive center)의 반응으로 혈압이 상승되고 맥박수가 감소된다(cushing triad= 혈압상승, 맥박수의 감소, 호흡억제)
*ICP monitoring
①일반적 지지요법 : 생리적 항상성 유지
- position : 두부를 약간 올린 자세
- 동맥혈 산소분압 : 100mmHg, 동맥혈 가스분압 : 27~30mmHg 유지
- 고농도의 산소 투여
②과호흡(hyperventilation)
- 동맥혈의 탄산가스분압↓→뇌혈관 축소 →뇌혈액량 감소 →두개강 감압 효과
③뇌실의 뇌척수액 배액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3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