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측할 수 있는 증상은?
2. Dexamethasone이 처방된 이유는?
3. 그 외 처방 가능한 약물은?
4. 어떤 간호중재(수술전)가 필요한가?
5. 실제적, 잠재적, 가능한 간호진단은 무엇인가?
6. 각각의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중재는? 이론적 근거는?
7. 각 간호중재 시행 시 수반되는 핵심간호술은?
8. 핵심간호술의 방법은?
2. Dexamethasone이 처방된 이유는?
3. 그 외 처방 가능한 약물은?
4. 어떤 간호중재(수술전)가 필요한가?
5. 실제적, 잠재적, 가능한 간호진단은 무엇인가?
6. 각각의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중재는? 이론적 근거는?
7. 각 간호중재 시행 시 수반되는 핵심간호술은?
8. 핵심간호술의 방법은?
본문내용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밥한공기는 300gm, 국 한그릇은 200gm, 반찬은 한 접시에 70gm, 물한컵이나 작은 우유 한팩은 200mg 이다.
섭취량
- 침상에 눈금이 있는 컵을 놓고 섭취하기 전 모든 액체를 컴으로 측정하게 한다.
- 반고형 음식 섭취량은 퍼센트나 양의 비율로 기록, 대부분 기관은 표준 비율을 사용한다.
- 구강으로 섭취되는 모든 것을 측정한다.
- 위관영양 주입량을 측정한다
- 모든 정맥내 용액을 섭취량으로 측정한다.
-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섭취한 총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한다.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배설량
- 배액량에 따라 눈금 있는 용기를 1개 이상 방에 놓는다. 적은 양의 배액일 때에는(상처의 배액이나 적은 비위관 배액), 정확히 눈금표시가 된 컵을 놓아 둔다.
- 소변기에서 소변량을 측정하거나 소변을 눈금 있는 용기에 부어서 측정한다.
- 유치도뇨를 한 대상자는 각 근무시간 끝에 소변주머니를 비워서 소변의 양을 기록한다.
- 아래의 배설량을 측정한다.
① 상처배액
② 흉관배액
③ 구토
④ 설사
⑤ 혈액이나 장배액
- 실습의 경우 그 횟수를 기록하고 발한이 심한 경우에는 환의와 홑이불의 교환 횟수를 기록한다.
-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배설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한다.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이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 총 배설량을 섭취량과 비교하고 전날의 양과도 비교한다.
- 부적당한 섭취와 배설이 있으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 사정한 자료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성인의 소변 배출량은 1시간에 25mL 이하, 즉 24시간에 600mL 미만이면 의사에게 알린다.
*Cushing's triad 평가
뇌압상승에 대한 연수-혈관활성중추(medullary vasoactive center)의 반응으로 혈압이 상승되고 맥박수가 감소된다(cushing triad= 혈압상승, 맥박수의 감소, 호흡억제)
*ICP monitoring
①일반적 지지요법 : 생리적 항상성 유지
- position : 두부를 약간 올린 자세
- 동맥혈 산소분압 : 100mmHg, 동맥혈 가스분압 : 27~30mmHg 유지
- 고농도의 산소 투여
②과호흡(hyperventilation)
- 동맥혈의 탄산가스분압↓→뇌혈관 축소 →뇌혈액량 감소 →두개강 감압 효과
③뇌실의 뇌척수액 배액
섭취량
- 침상에 눈금이 있는 컵을 놓고 섭취하기 전 모든 액체를 컴으로 측정하게 한다.
- 반고형 음식 섭취량은 퍼센트나 양의 비율로 기록, 대부분 기관은 표준 비율을 사용한다.
- 구강으로 섭취되는 모든 것을 측정한다.
- 위관영양 주입량을 측정한다
- 모든 정맥내 용액을 섭취량으로 측정한다.
-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섭취한 총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한다.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배설량
- 배액량에 따라 눈금 있는 용기를 1개 이상 방에 놓는다. 적은 양의 배액일 때에는(상처의 배액이나 적은 비위관 배액), 정확히 눈금표시가 된 컵을 놓아 둔다.
- 소변기에서 소변량을 측정하거나 소변을 눈금 있는 용기에 부어서 측정한다.
- 유치도뇨를 한 대상자는 각 근무시간 끝에 소변주머니를 비워서 소변의 양을 기록한다.
- 아래의 배설량을 측정한다.
① 상처배액
② 흉관배액
③ 구토
④ 설사
⑤ 혈액이나 장배액
- 실습의 경우 그 횟수를 기록하고 발한이 심한 경우에는 환의와 홑이불의 교환 횟수를 기록한다.
-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배설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한다.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이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 총 배설량을 섭취량과 비교하고 전날의 양과도 비교한다.
- 부적당한 섭취와 배설이 있으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 사정한 자료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성인의 소변 배출량은 1시간에 25mL 이하, 즉 24시간에 600mL 미만이면 의사에게 알린다.
*Cushing's triad 평가
뇌압상승에 대한 연수-혈관활성중추(medullary vasoactive center)의 반응으로 혈압이 상승되고 맥박수가 감소된다(cushing triad= 혈압상승, 맥박수의 감소, 호흡억제)
*ICP monitoring
①일반적 지지요법 : 생리적 항상성 유지
- position : 두부를 약간 올린 자세
- 동맥혈 산소분압 : 100mmHg, 동맥혈 가스분압 : 27~30mmHg 유지
- 고농도의 산소 투여
②과호흡(hyperventilation)
- 동맥혈의 탄산가스분압↓→뇌혈관 축소 →뇌혈액량 감소 →두개강 감압 효과
③뇌실의 뇌척수액 배액
키워드
추천자료
재활간호(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기초간호=골절=
지주막하출혈 성인간호학 SAH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피부이식][Skin Graft][화상환자간호]문헌고찰
★ 성인간호학 - 궤양성대장염 ( 크론병과 비교, 궤양성대장염, 역학, 진단, 중증도의 분류, ...
★ 성인간호학 - 탈장 ( 정의, 종류,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간호, 예방방법 )
★ 성인간호학 - 기흉 ( 기흉의 종류 , 임상증상, 기흉의 진단, 기흉의 치료, 기흉의 합병증,...
★ 성인간호학 ( CASE STUDY ) - 대퇴 경부 골절 ( 대퇴 경부 골절, 고관절 수술, 대상자 자...
★ 성인간호학 - 폐렴 ( 정의, 분류, 병태생리, 원인과 위험요인, 발생빈도, 임상증상, 진단, ...
★ 성인간호학 - 폐암 ( 정의, 종류, 원인, 예방,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
[성인간호학 공통]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대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장...
★ 성인간호학 - 울혈성 심부전 ( 울혈성 심부전, Acorn Cardiac Support Device, 간호과정, ...
[성인간호학]]혈액투석과_간호
[성인간호학] 호흡기계 질환에 대한 일반적 간호중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