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작적 조건 형성
2. 스키너의 실험
3. 행동주의적 치료 - 행동 수정
2. 스키너의 실험
3. 행동주의적 치료 - 행동 수정
본문내용
통제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 학습된 무력감 (learned helplessness)
강화물에는 정적 강화물과 부적 강화물이 있다. 반응이 수반될 때 반응의 재현 확률을 증가시켜주는 것(보상)이 정적 강화물이고 반응 다음에 그것이 제거될 때 반응의 재현확률을 증가시키는 것(벌)이 부적 강화물이다. 벌은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빼앗거나 원하지 않는 것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벌이나 일상생활에서 겪게되는 실패경험으로 환경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을 때 마침내 그러한 환경을 통제하려는 의지와 노력을 포기하게 되는 것을 학습된 무력감이라고 한다. 따라서 행동 수정의 방법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가 있다.
다. 학습된 무력감 (learned helplessness)
강화물에는 정적 강화물과 부적 강화물이 있다. 반응이 수반될 때 반응의 재현 확률을 증가시켜주는 것(보상)이 정적 강화물이고 반응 다음에 그것이 제거될 때 반응의 재현확률을 증가시키는 것(벌)이 부적 강화물이다. 벌은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빼앗거나 원하지 않는 것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벌이나 일상생활에서 겪게되는 실패경험으로 환경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을 때 마침내 그러한 환경을 통제하려는 의지와 노력을 포기하게 되는 것을 학습된 무력감이라고 한다. 따라서 행동 수정의 방법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가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심리-행동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와 교수-학습이론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에 관하여
Thorndike, Skinner, Bandura의 학습이론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행동주의 인지주의 인본주의 학습이론의 비교jo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실제 사례분석
사회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유아발달] 학습이론의 교육적 접근의 장단점을 기술하고, 유아를 위한 바람직한 교육적 적용...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이론 비교와 시사점
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2017C]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