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상황분석
2. 커뮤니케이션 목표
Ⅱ. 본론
1. 마케팅 전략
2. 세부 실행전술
3. 마케팅 성과
Ⅲ. 결론
1. 성공요인
2. 문제점
3. 시사점
1. 상황분석
2. 커뮤니케이션 목표
Ⅱ. 본론
1. 마케팅 전략
2. 세부 실행전술
3. 마케팅 성과
Ⅲ. 결론
1. 성공요인
2. 문제점
3. 시사점
본문내용
제공하는 등에 제한적 유통라인 전략을 사용하였다.
중반기 : 초장기에서 조금 넓어진 형태로 주유소나 공연장 등지에서 판매하였다.
후반기 : 대중적 인지도와 소비층을 구축한 이후 대형매장에서 판매를 개시 하였다.
2. 세부 실행전술
레드불 창업자 마테쉬츠는 레드불의 성공요인이 마케팅에 있었다고 말하며 “레드불의 이미지는 명확히 어떤 식품과도 연결되지 않으며, 대신 사치품이나 라이프스타일 같은 것들을 연상시킨다.” 라고 주장한다. 이런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기 위해 레드불은 다양한 마케팅 촉진기법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레드불의 마케팅 기법은 기존의 마케팅과는 다른 신선함을 보여준다. 레드불은 전문가의 손으로 만들어져 대중에게 침투함으로써 특정한 이미지를 구축한 것이 아니다. 미국에 상륙할 때 광고 캠페인이나 전국적인 대규모 판촉활동을 전혀 계획하지 않았다. 아무런 광고도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제품이 어떤 것인지, 누가 왜 이 음료를 마셔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조차 없었다. 그 대신 이 기업은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자체 이벤트와 시합을 계획하고 그 비용을 부담하는 방법으로 이벤트를 전개하였다. 사전 언론보도나 입소문 마케팅이나 일체의 판촉활동도 없었다. 그러나 매년 거의 2배 가까운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 세계 점유율 1위의 글로벌 음료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이 과정에서 레드불은 매출의 30%이상을 마케팅과 스포츠 후원에 지출하는데 이는 코카콜라사의 9%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중이다.
최근까지 레드불이 활용하고 있는 마케팅기법에는 바이럴 마케팅, 스포츠 마케팅, 이벤트 마케팅 등이 있다.
(1) 바이럴 마케팅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은 누리꾼이 이메일이나 다른 전파 가능한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어떤 기업이나 기업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널리 퍼뜨리는 마케팅 기법으로, 컴퓨터 바이러스처럼 확산된다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바이럴 마케팅은 2000년 말부터 확산되면서 새로운 인터넷 광고 기법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레드불은 요즘 한창 뜨고 있는 SNS를 통해 “○○○에 레드불 박스가 떴다.” 라는 문구를 퍼저나가게 하여 공짜 레드불을 원하는 소비자가 직접 그곳에 가서 레드불을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공짜로 레드불은 얻은 사람들도 자신의 SNS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레드불에 관한 이야기를 하게 되고, 이는 제품 몇 캔 대비 엄청난 홍보 효과를 얻게 되었다.
또한 일반인들의 서핑대회에 기습하여 레드불 티셔츠와 제품을 나눠주기도 하고, 슈퍼볼 경기장 화장실에 레드불의 빈 깡통을 엄청나게 버리는 등 기이하고 신기한 행동을 보여 많은 사람들이 레드불에 호기심을 갖게하는 효과를 얻었다.
(2) 이벤트 마케팅
레드불은 매우 많은 이벤트를 후원한다. 다른 기업들도 여러 가지 이벤트를 후원하고 있지만 레드불은 재미있고 신선한 이벤트를 많이 후원하고 있다. 수많은 클럽 파티, 세계 4대 비보이 배틀인 \'레드불 BC One\' 등 타겟층인 젊은층이 주로 찾는 이벤트 뿐 아니라, 종이비행기 날리기 대회 신기하고 기발한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레드불이 후원하는 이벤트는 재미있다. 고로 레드불은 재미있다.” 라는 인식을 갖게 하여 레드불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최근 오스트리아의 스카이다이버 펠릭스 비움가르트너의 39km 성층권 스카이다이빙도 레드불의 후원에서 시작된 것으로 레드불은 이를통해 1783억원의 광고효과를 거뒀다.
레드불이 후원하는 이벤트는 모두 “레드불이 날개를 달아줄거야” 라는 브랜드 메시지에 부합되는 이벤트들로써 확고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효과를 주고 있다.
필립모리스의 브랜드 중독 모델 개발에 따르면 틀에 박히거나 노동을 하는 기간 해당하는 일상적 단계’보다 주말이나 새로운 즐거움을 누리는 ‘꿈의 단계’에서 사람들은 새로 나온 제품 등을 체험하거나 구매한다. 이후 소비자는 일상으로 돌아와서도 그 제품이 제공하는 ‘감성적’ 신호들을 두뇌 속으로 받아들임으로써 확실하게 브랜드가 기억에 남게 되며 빨리 주말이 돌아와 업무모드에서 벗어나 꿈의 단계로 돌아가길 바라는 마음에 꿈에 단계에서 체험한 브랜드를 재구매 하게 된다고 한다. 레드불의 마케팅이 하나같이 꾸준한 즐거움과 신선함을 추구하는 효과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3) 스포츠 마케팅
레드불은 수많은 익스트림 스포츠경기를 후원하며 많은 프로 스포츠팀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들은 F1레이싱팀인 레드불 레이싱, 미국 축구팀 뉴욕 레드불스, 독일 축구팀인 레드불 라이프치히 등이 있다.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 페라리가 음료회사인 레드불에게 자동차경주(F1그랑프리)에서 3년연속 패배한 장면은 연간 7,000억 원의 경제 파급효과를 지닌 F1경주의 하이라이트라고 볼 수 있다. 현재 레드불 레이싱팀은 F1그랑프리 3년 연속 우승에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레드불이 얻게 되는 마케팅 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 지난 10월 서울 잠수교에서열린 레드불 레이싱팀의 F1쇼런 행사에서도 레드불은 특유의 홍보용 자동차를 동원한 무료 시음행사를 통해 레드불 브랜드를 홍보하기도 하였다.
또한 레드불은 여러 익스트림 스포츠를 꾸준히 후원하고있는데, 영화에서 볼법한 아찔한 장면에서 레드불 로고를 접하는 것은 이제 흔히 있는 일이 되었다.
레드불은 여러 가지 스포츠를 꾸준히 후원함으로써 스포츠가 지니는 패기, 젊음, 지치지 않는 열정이라는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브랜드 이미지로 흡수시켰으며 해당 스포츠를 즐기는 젊은이들에게 자연스레 이 스포츠를 할 때 필요한 음료라는 점을 강조하고 하고 있다.
3. 마케팅 성과
위에서 살펴본 신선하고 재미있는 마케팅을 통해 레드불은 출시 첫 해에 약 80만 유로의 매출액에서 매년 거의 2배 가까운 성장을 거듭하여 2011년 42억5300만 유로의 매출을 올렸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펠릭스 비움가르트너의 성층권 다이빙의 경우 50개 국가 40개 방송국에 생중계 되었으며, 소셜미디어 사이트를 통해 엄청난 관심과 조명을 받았고, 레드불의 레드불TV를 통하여 전세계에 생중계 되었다. 유튜브를 통해 8백만명이 동시에 시
중반기 : 초장기에서 조금 넓어진 형태로 주유소나 공연장 등지에서 판매하였다.
후반기 : 대중적 인지도와 소비층을 구축한 이후 대형매장에서 판매를 개시 하였다.
2. 세부 실행전술
레드불 창업자 마테쉬츠는 레드불의 성공요인이 마케팅에 있었다고 말하며 “레드불의 이미지는 명확히 어떤 식품과도 연결되지 않으며, 대신 사치품이나 라이프스타일 같은 것들을 연상시킨다.” 라고 주장한다. 이런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기 위해 레드불은 다양한 마케팅 촉진기법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레드불의 마케팅 기법은 기존의 마케팅과는 다른 신선함을 보여준다. 레드불은 전문가의 손으로 만들어져 대중에게 침투함으로써 특정한 이미지를 구축한 것이 아니다. 미국에 상륙할 때 광고 캠페인이나 전국적인 대규모 판촉활동을 전혀 계획하지 않았다. 아무런 광고도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제품이 어떤 것인지, 누가 왜 이 음료를 마셔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조차 없었다. 그 대신 이 기업은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자체 이벤트와 시합을 계획하고 그 비용을 부담하는 방법으로 이벤트를 전개하였다. 사전 언론보도나 입소문 마케팅이나 일체의 판촉활동도 없었다. 그러나 매년 거의 2배 가까운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 세계 점유율 1위의 글로벌 음료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이 과정에서 레드불은 매출의 30%이상을 마케팅과 스포츠 후원에 지출하는데 이는 코카콜라사의 9%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중이다.
최근까지 레드불이 활용하고 있는 마케팅기법에는 바이럴 마케팅, 스포츠 마케팅, 이벤트 마케팅 등이 있다.
(1) 바이럴 마케팅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은 누리꾼이 이메일이나 다른 전파 가능한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어떤 기업이나 기업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널리 퍼뜨리는 마케팅 기법으로, 컴퓨터 바이러스처럼 확산된다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바이럴 마케팅은 2000년 말부터 확산되면서 새로운 인터넷 광고 기법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레드불은 요즘 한창 뜨고 있는 SNS를 통해 “○○○에 레드불 박스가 떴다.” 라는 문구를 퍼저나가게 하여 공짜 레드불을 원하는 소비자가 직접 그곳에 가서 레드불을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공짜로 레드불은 얻은 사람들도 자신의 SNS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레드불에 관한 이야기를 하게 되고, 이는 제품 몇 캔 대비 엄청난 홍보 효과를 얻게 되었다.
또한 일반인들의 서핑대회에 기습하여 레드불 티셔츠와 제품을 나눠주기도 하고, 슈퍼볼 경기장 화장실에 레드불의 빈 깡통을 엄청나게 버리는 등 기이하고 신기한 행동을 보여 많은 사람들이 레드불에 호기심을 갖게하는 효과를 얻었다.
(2) 이벤트 마케팅
레드불은 매우 많은 이벤트를 후원한다. 다른 기업들도 여러 가지 이벤트를 후원하고 있지만 레드불은 재미있고 신선한 이벤트를 많이 후원하고 있다. 수많은 클럽 파티, 세계 4대 비보이 배틀인 \'레드불 BC One\' 등 타겟층인 젊은층이 주로 찾는 이벤트 뿐 아니라, 종이비행기 날리기 대회 신기하고 기발한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레드불이 후원하는 이벤트는 재미있다. 고로 레드불은 재미있다.” 라는 인식을 갖게 하여 레드불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최근 오스트리아의 스카이다이버 펠릭스 비움가르트너의 39km 성층권 스카이다이빙도 레드불의 후원에서 시작된 것으로 레드불은 이를통해 1783억원의 광고효과를 거뒀다.
레드불이 후원하는 이벤트는 모두 “레드불이 날개를 달아줄거야” 라는 브랜드 메시지에 부합되는 이벤트들로써 확고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효과를 주고 있다.
필립모리스의 브랜드 중독 모델 개발에 따르면 틀에 박히거나 노동을 하는 기간 해당하는 일상적 단계’보다 주말이나 새로운 즐거움을 누리는 ‘꿈의 단계’에서 사람들은 새로 나온 제품 등을 체험하거나 구매한다. 이후 소비자는 일상으로 돌아와서도 그 제품이 제공하는 ‘감성적’ 신호들을 두뇌 속으로 받아들임으로써 확실하게 브랜드가 기억에 남게 되며 빨리 주말이 돌아와 업무모드에서 벗어나 꿈의 단계로 돌아가길 바라는 마음에 꿈에 단계에서 체험한 브랜드를 재구매 하게 된다고 한다. 레드불의 마케팅이 하나같이 꾸준한 즐거움과 신선함을 추구하는 효과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3) 스포츠 마케팅
레드불은 수많은 익스트림 스포츠경기를 후원하며 많은 프로 스포츠팀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들은 F1레이싱팀인 레드불 레이싱, 미국 축구팀 뉴욕 레드불스, 독일 축구팀인 레드불 라이프치히 등이 있다.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 페라리가 음료회사인 레드불에게 자동차경주(F1그랑프리)에서 3년연속 패배한 장면은 연간 7,000억 원의 경제 파급효과를 지닌 F1경주의 하이라이트라고 볼 수 있다. 현재 레드불 레이싱팀은 F1그랑프리 3년 연속 우승에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레드불이 얻게 되는 마케팅 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 지난 10월 서울 잠수교에서열린 레드불 레이싱팀의 F1쇼런 행사에서도 레드불은 특유의 홍보용 자동차를 동원한 무료 시음행사를 통해 레드불 브랜드를 홍보하기도 하였다.
또한 레드불은 여러 익스트림 스포츠를 꾸준히 후원하고있는데, 영화에서 볼법한 아찔한 장면에서 레드불 로고를 접하는 것은 이제 흔히 있는 일이 되었다.
레드불은 여러 가지 스포츠를 꾸준히 후원함으로써 스포츠가 지니는 패기, 젊음, 지치지 않는 열정이라는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브랜드 이미지로 흡수시켰으며 해당 스포츠를 즐기는 젊은이들에게 자연스레 이 스포츠를 할 때 필요한 음료라는 점을 강조하고 하고 있다.
3. 마케팅 성과
위에서 살펴본 신선하고 재미있는 마케팅을 통해 레드불은 출시 첫 해에 약 80만 유로의 매출액에서 매년 거의 2배 가까운 성장을 거듭하여 2011년 42억5300만 유로의 매출을 올렸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펠릭스 비움가르트너의 성층권 다이빙의 경우 50개 국가 40개 방송국에 생중계 되었으며, 소셜미디어 사이트를 통해 엄청난 관심과 조명을 받았고, 레드불의 레드불TV를 통하여 전세계에 생중계 되었다. 유튜브를 통해 8백만명이 동시에 시
추천자료
동양제과의 중국시장진출사례분석
한국기업의 중국시장진출전략과 사례분석
<전략경영>숙취해소제품 틈새시장 공략 사례분석
BBQ 의 세계화 전략 - 비비큐,bbq,세계화글로벌전략,중국시장진출,일본시장진출,브랜드마케팅...
글로벌마케팅,오로라월드 기업소개,(중국,인도네시아 시장 진출),해외시장진출,브랜드마케팅,...
아이스크림시장-베스킨라빈스-나뚜루-끌레도르,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
마이스페이스 한국시장진출 마케팅실패 사례분석 및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
미쟝센’신제품 및 프로모션 개발-세계화장품시장 성장률,국내 화장품 시장,신제품 개발,브랜...
LG생활건강- 중국 브랜딩 전략,중국시장 진출 전략,중국시장 브랜드전략,중국 진출 및 연혁,...
LG생활건강,중국 브랜딩 전략,중국시장 진출 전략,중국시장 브랜드전략,중국 진출 및 연혁,브...
현대자동차 프랑스시장 실패 사례분석
현대자동차의 독일시장현대자동차 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레드페이스 아웃도어시장레드페이스 마케팅광고레드페이스 브랜드인지도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
스타벅스 커피시장스타벅스 커피 마케팅스타벅스 프랜차이즈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소개글